![]() |
||
[시민일보] 여권 잠룡들이 속속 대권도전 의사를 밝히면서 “오픈프라이머리(국민참여경선)를 도입하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김문수 경기지사는 22일 대선출마를 공식선언하면서 "지금 상태, 현행 당원에 의한 대통령 (후보 경선) 선거에서는 지나치게 어렵지 않나라고 생각해 국민참여경선에 대해 이재오 의원과 일치를 보게 됐다"고 밝혔다.
국민참여경선 주장이 당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를 묻는 질문에는 "받아들여질 것으로 본다"며 "합리적으로, 대선 본선에 이기려면 국민참여경선을 받아들일 것"고 강조했다.
앞서 김 지사는 전날에도 "박 전 대표가 만들어 놓은 대의원 80%, 여론조사 20% 방식은 '조직표'에 불과하다"며 "이런 방식으로는 국민의 뜻을 반영하기 어렵다"고 지적한 바 있다.
정몽준 전 대표도 지난 19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대선 출마선언을 한 뒤 대선 예비후보로 등록하겠다"며 "대선에서는 항상 새로운 경선 방법을 시도한 정당이 승리했다"고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왕의 남자' 이재오 의원도 다음달 15일 열리는 전당대회를 전후해 대선출마를 선언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들 비박(非朴)계 3인방은 ‘오픈프라이머리’를 위해 연대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실제 정 전 대표는 이 의원과 19일 회동을 가졌으며 이 의원은 김 지사와 수차례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들은 ‘수도권 대표론’이 부각하는 틈을 타, 자신들과 비교적 지근거리에 있는 쇄신파 대표를 옹립하고, 그들의 입을 통해 오픈프라이머리를 관철시킬 것으로 보인다.
이미 쇄신파들은 오픈프라이머리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행 룰은 대의원과 당원 투표, 국민여론조사 방식을 섞어서 후보를 뽑도록 하고 있는 만큼 이들의 움직임은 조만간 당헌·당규 개정 요구로 이어질 전망이다.
실제 김 지사와 가까운 차명진 의원은 전날 "4·11총선 공천을 통해 특정후보의 특정계파가 당을 장악했으니, 그런 상황에서 탄생한 후보가 과연 국민의 대표가 될 수 있겠냐"며 "오픈 프라이머리로 당헌당규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친이계 김용태 의원도 "지난 총선에서 과반 의석을 넘는 승리를 거뒀지만 정당득표율과 수도권 및 부산경남(PK)의 정치지형 등을 감안할 때 대선승리를 장담할 수 없게 됐다"며 "박근혜 위원장과 치열하게 경쟁하는 구도를 만들어야 본선에서 경쟁력 있는 후보가 탄생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특히 “안철수 원장이 포함된 야권의 대권구도를 감안할 때 경선시기를 당헌당규에 규정된 8월보다 더 늦추고 흥행을 위해 후보선출 기간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친 이재오계인 권택기 의원 역시 "후보가 누가 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새누리당이 치열하게 움직인다는 인식을 국민들에게 심어줄 필요가 있다"고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의 필여성을 역설했다.
이에 따라 비박계 진영은 이번 총선 과정에서 나타난 박 위원장의 수도권 한계를 공략 포인트로 삼을 전망이다.
김 지사는 대선 경선 출마를 선언하며 "이번 총선에서 박 위원장의 리더십 등으로 과반을 차지했지만 대통령 선거에선 이대로 가면 진다"며 "수도권과 젊은층에 호소력있는 사람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