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시중 금품수수 파문확산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2-04-25 13:19:00
    • 카카오톡 보내기
    이범준 “굳이 여론조사 용처 언급...청와대에 사인 보낸 것”
    김종배 “여당 조바심 낼 이유 없다...박근혜-MB 차별화 효과”
    [시민일보]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의 금품수수가 일부 사실로 밝혀지면서 파장이 점차 커지고 있는 양상이다.

    특히 최 전 위원장 스스로 그 돈의 일부를 2007년 대선자금으로도 썼다고 언급함에 수사가 점차 확대될 것이란 관측이다.

    2002년도부터 복합물류단지로 조성 되고 있는 서울 서초구 양재동 화물터미널의 시행사 대표인 이정배씨는 지난 2005년부터 당시 한국갤럽 회장이었던 최 전 위원장을 상대로 로비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씨는 최 전 위원장 등 서울시에 힘을 쓸 수 있는 사람들에게 61억 5000만 원을 줬다고 주장하고 있고, 검찰은 그 가운데 11억 5000만 원 정도를 전달한 것으로 보고 있는 상황이다.

    경향신문 검찰청 출입기자인 이범준 기자는 25일 “이 사건은 시행사 대표인 이정배씨가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을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중간에 이동률이라는 브로커를 한 명 끼워넣었다. 이동률씨는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의 포항 고향후배이고, 구룡포 중학교의 학교후배”라며 “이분을 통해서 돈을 줬다는 건 이미 목적을 갖고 줬다는 걸 어느 정도 드러내는 것”이라고 사실상 대가성 금품수수라는 점을 지적했다.

    이 기자는 이날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최시중 당시 갤럽회장이 돈을 받고 나서 권재진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이나 권혁세 금감원장에게 전화를 했다는 진술도 나오고 있기 때문에 (검찰은)이런 것들을 가지고 대가성을 입증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른바 ‘왕차관’으로 불리던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도 조만간 소환 조사할 예정이라고 알려진 것과 관련, 이 기자는 “박영준 차관이 등장하는 것은 당시 서울시의 정무국장이었기 때문”이라며 “결국 이정배 파이시티 회장으로부터 이동률 브로커, 그 다음 다시 최시중 전 위원장, 다시 박영준 전 차관으로 이어지는 구도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최 전 위원장이 금품 수수한 돈을 대통령선거 당시 여론조사 하는데 썼다고 밝힌 이유에 대해서는 “최시중 위원장이 돈을 받고 청탁을 해주면 알선수재라는 죄가 적용이 되고, 그 돈을 받아서 정치자금으로 쓰면 정치자금법이 적용되는데 둘 다 시효는 같고, 또 둘 다 입증하기엔 별 차이가 없다. 그런데 굳이 본인이 그 돈을 ‘여론조사 하는데 썼다’ 하고 밝힌 것은 청와대에 일정한 사인을 보내는 게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기자는 “검찰 입장에서는 지금 정권 말기이고 특히 중수부 같은 경우 노무현 대통령 서거 이후에 존재자체가 의미가 없어졌다는 얘기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좋은 기회가 생긴다면 놓치려고 할 것 같진 않다”며 검찰수사가 이명박 대선자금까지 확대될 것이란 전망을 내어 놓았다.

    같은 날 같은 방송에서 김종배 시사평론가는 최 전 위원장이 금품수수 사실을 시인하면서 여론조사 자금이라는 용처까지 밝힌 것에 대해 “일반적으로 돈을 받았다면 전면 부인부터 하는 게 지금까지 일반적인 패턴이었는데 이것과는 다르다. 돈 수수 사실을 덮을 여지가 없었다고 판단을 한 것 같다. 사법처리를 면할 길은 없다고 역시 판단했다면 최시중 전위원장 입장에서는 최대한 낮은 처벌을 받는 게 가장 중요한 문제 아니겠느냐. 그런 점에서 청와대한테 시그널을 보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다만 그는 “그건 최시중 위원장의 일방적인 희망사항인 거고, 이것이 불거지기 전, 다시 말해서 내사단계에서 조용히 수사가 진행되는 과정이었다면 또 모르겠으나 이게 다 공개된 상태에서 그렇게 조율이 가능하겠느냐”고 반문했다.

    김씨는 이번 사건과 관련, 새누리당의 입장에 대해 “박근혜 위원장이나 새누리당 입장에서 대선전략 1호는 MB의 그림자를 지워내는 거다. 그 그림자를 대선 투표일에 임박해서가 아니라 하루라도 빨리 지워내는 것이 이제 더 좋다는 점에서 불감청고소원이라고 봐야 된다”며 “다른 측면에서 봐도 새누리당이 조바심을 낼 이유가 없다. 대선자금 문제는 MB의 문제이지 박근혜 위원장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설령 검찰이 전면적인 대선자금 수수에 나서고 부득이 야권까지 건드린다 하더라도 새누리당 입장에서는 자기들에게 직접 불똥이 튀는 건 아니라고 판단할 수도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결과적으로 박근혜 위원장과 MB의 차별화에 유효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