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새누리당 대선주자인 이재오 의원이 당내 대선후보 경선룰과 관련, “완전국민경선제가 도입되지 않을 경우 중대사태가 일어날 수도 있을 것”이라며 ‘경선불참’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 의원은 18일 오전 SBS 라디오 <서두원의 시사초점>과의 인터뷰에서 ‘만일 완전국민경선제가 도입이 되지 않고 현행 룰로 경선이 진행이 된다면 그래도 경선에 참여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이같이 대답했다.
그는 “대게 대선 예비후보들이 결정이 되면 후보 진영의 실무자들 한사람씩 내어서 조정회의를 한다. 거기에서 후보의 경선 룰이나 경선 시기 등을 후보 진영이 참여하는 회의에서 논의를 하는데, 그것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당권파들이 한다면, 그것은 매우 우려스러운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당권을 잡은 사람들이 현행대로 가자고 하면 당의 지도부 구성이나 당내 원내위원장들의 구성이 거의 당권파 일색으로 돼 있기 때문에 그렇게 갈 수도 있지만 본선에 그러한 경선의 방식이 치열한 본선에서 꼭 유리하겠느냐, 그리고 그러한 경선의 방식이 현재 중도에 머무르고 있는 많은 계층들에게 과연 도움이 될 것인지 의문”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그는 “새누리당의 당면 과제는 경선룰에 의해 누가 유리하냐 불리하냐의 문제가 아니고 본선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표의 확장성, 표의 포용성이 시급하기 때문에 국민들의 대의를 물어보는 것이 옳다고 보는 것”이라며 “각종 여론조사에서 완전국민경선제로 하는 것이 옳다고 나오는데 이걸 당권파가 겸허하게 받아들여야지, 후보가 되기 쉽다고 본선을 염두에 두지 않는 것은 매우 염려스럽다”고 꼬집었다.
그는 ‘현행 방식으로 경선이 강행돼서 박근혜 위원장이 새누리당의 대선후보로 뽑힐 경우 지원할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당 경선에 참여하는 사람이 뽑히면 그가 누구든 적극적으로 도와서 정권을 창출하는 게 도리지만 경선의 방법을 일방적으로 모든 주자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어느 한 쪽이 유리하게 해 나간다면 그것은 그때 가봐서 생각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