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국회 국방위원장으로 선출된 새누리당 유승민 의원이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과 관련, “현실적으로 대통령 선거 전에 다시 추진하는 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유 위원장은 10일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문제는)다음 정부가 국민 설득과정을 거쳐서 재추진할 문제”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번 정부의 추진과정에서 큰 논란이 일었던 것과 관련, 관계 장관의 사퇴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절차상의 문제에 중대한 잘못이 있었던 데 대해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사람이 외교부장관과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인데 두 사람은 책임을 지는 게(사퇴를 하는 게) 당연하다”며 “국방위에서 국방부장관과 국방부는 어떤 책임이 있는지를 따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외교부의 국장 한 분하고 청와대의 대외전략기획관 이 두 분이 사표를 내는 걸로 끝낼 문제가 아니다”라며 “이건 외교부장관,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국방부장관 세 분에게 큰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청와대만 하더라도 대외전략기획관이 있고 그 분이 아무리 실세라고 하더라도 책임은 수석한테 있는 것인데 지금 외교안보수석에 대해서는 말 한마디도 없다. 외교부도 마찬가지”라며 “국장 한 사람 사표 내고 장관이 숨을 일이 아니다. 국방부도 작년 1월부터 추진해 왔기 때문에 국방부도 분명히 책임이 있다. 이런 책임을 국회에서 철저히 따질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협정자체를 폐기해야 한다는 일부 주장에 대해서는 “협정자체는 필요하다고 보지만 워낙 추진과정이 엉망이 돼버려서 지금 너무 이슈를 키워놓은 측면이 있다”며 “우리가 일본하고 역사적 문제, 국민감정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그런 문제들을 상쇄할 만큼 국가 이익이 큰지를 따져봐야 할 것이기 때문에 지금 즉각 폐리를 주장하는 건 무책임한 것”이라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한편 그는 이날 공식적으로 대선 출마 선언을 한 박근혜 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에 대해 “의사 결정을 할 때 다양한 의견을 듣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충고했다.
그는 그러면서 대선 경선 룰 논란에 대해 “절충안으로 해결할 수 있었던 문제를 해결 못한 것 같아 안타깝다”며 “박근혜 전 대표 캠프측에서도 포용력이 부족했다. 경선에는 참여를 안 하시지만 두 분(이재오, 정몽준 의원)을 어떻게든 포용을 해서 같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