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12월 대통령선거와 같이 치러지는 경남도지사 보궐선거에 출마한 홍준표 새누리당 후보와 권영길 무소속 후보가 27일 ‘도청 이전’ 문제를 두고 의견차를 보였다.
홍준표 후보와 권영길 후보는 이날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 출연, 각각의 입장을 밝혔다.
홍 후보는 우선 “경남도의 예산이 부채가 1조1000억원이다. 6조 예산에 1조1000억원이 부채라면 도 운영을 할 수가 없다”며 “도청부지가 7만평인 것을 좀 팔아서 하겠다는 것인데, 경기도청도 수원시 팔달구에서 영통구로 2014년 이전을 하는데, 거기도 도 부채도 탕감하고 판교신도시 균형발전을 위해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마찬가지로 창원시도 통합창원시가 되고 난 뒤에 워낙 마산과 창원, 진해가 지금 갈등이 심해서 그 시청사 이전 문제로 갈등이 심한데, 시청사는 그대로 두고 오히려 돈 되는 도청사를 팔자, 지금 경남도청사는 대한민국에서 7만평의 땅을 가진 도청사가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 도청 주변 상인들의 반발에 대해서는 “지금 도청을 빼면 상권이 더 활성화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해야지 상권이 죽으면 되겠는가”라며 “도청이라는 게 1700명 공무원들이 점심 식사하는 도청 구내식당에서 한다. 아침은 집에서 먹고 오고 저녁은 퇴근하면 집으로 간다. 도청 때문에 상권이 활성화 되는 게 아니라 오히려 도청이 있음으로써 상권이 덜 활성화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공약 이행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에 기회가 오면 다시 도지사 재선에 나가서 마무리 지을 것”이라고 밝혔다.
권영길 후보는 홍준표 후보의 ‘도청 이전’ 공약에 대해 “박완수 창원시장의 표현을 덧붙인다면 황당무개한 공약”이라고 평가 절하했다.
권 후보는 “도청을 지금 현재 도청의 여건과 그 주위 환경, 그리고 선진성의 의미 등을 홍준표 후보께서는 몰랐던 것 같다”며 “서울에서 정치활동을 하다가 동대문에서 떨어져 내려와서 급한 김에 도청 이전을 내걸었던 것”이라고 꼬집어 비판했다.
그는 “창원은 게획된 도시이고, 일반적으로 공업도시라고 돼 있지만 공업도시에서 전원도시의 형태를 갖춘다. 그 중심에 경남도청이 있다”며 “경남도청을 중심으로 모든 도시기능이 발휘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 서울의 청와대쪽에 북한산이 좋은데 그것을 어디에 팔아버리겠다, 미국의 백악관을 팔아버리겠다는 것과 같은 것”이라며 “또 1조5000억원을 주고 땅을 살 수 있는 사람이 재벌일 것인데, 그 재벌이 그것을 사서 거기에 상권을 형성하도록 하겠다는 것인데 그런 면은 계획된 창원도시가 완전히 붕괴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1조5000억원을 지불하고 땅을 산 재벌들이 형성하는 상권은 현재의 창원에 있는 중소상인들이 재래식 시장골목 상가가 완전 죽어서 아우성인데, 완전 숨통을 끊어버리게 한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