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남양유업 사태로 불거진 대형 유통업체들의 횡포가 큰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이동주 전국유통상인연합회 정책기획실장은 9일 오전 PBC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그동안 남양유업에서 대리점들의 도움으로 주식도 성장했고 기업으로 성장했는데 그에 걸 맞는 기업윤리를 갖추지 못해 되돌아온 인과응보”라고 질타했다.
이 실장은 “단순히 해당 막말파문을 일으킨 직원을 해결한다고 될 문제는 아니고 기업성장의 이면에 같이 피땀 흘려 일해 온 대리점들의 피해부분을 정신적으로나 물질적으로 책임지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그는 이번 사태와 관련,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월 매출 목표액을 본사가 사전에 협의 없이 강제로 정해서 달성하지 못하면 대리점에게 페널티로 판매 장려금을 안 준다거나 소위 말하는 밀어내기처럼 본사의 영업 사원들이 상품 발주를 강제적으로 한다든가 혹은 대형마트 등에 납품할 때 판매사원에 대한 입금까지 대리점에 부담을 지운다거나 하는 문제는 늘상 단골로 나오는 것들”이라고 밝혔다.
그는 ‘유통업체들이 뒷돈을 챙기거나 대리점의 영업권을 침해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떡값 뒷돈 문제와 관련해서 남양유업측이 정도가 심했던 것 같고, 대리점 영업권을 침해하는 문제의 경우도 대부분 본사에서의 부당한 강매 요구를 잘 따르지 않는 소위 본사 눈 밖에 난 대리점들을 길들이는 방식으로 악랄하게 사용된다”며 “그 지역 대리점이 납품처임에도 불구하고 인근의 대리점에 물건을 대신 납품하게끔 손을 쓴다거나 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고 지적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해당 업체들에 대한 조사에 대해서는 “공정위가 발등에 떨어진 불이라도 꺼보자는 급한 마음에 응급조치만 하지 말고 독점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유통산업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규제 정책을 세웠으면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그러면서 “이제 막 환부가 드러나서 치유의 단계를 말하긴 이르지만 남양유업의 사태로 봐서는 안 된다는 것에 사회가 공감하기 때문에 갑과 을이 공정한 계약을 맺고 협력하면서 중소 상인과 중소기업도 서로 대기업과 공생하면서 서민경제에 함께 살 수 있는 환경을 갖추기 위해 다양한 경제민주화 관련법들도 국회에서 다뤄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