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국가정보원 대선개입 의혹에 대한 국회 국정조사 특위 소속 민주당 김현·진선미 의원이 17일 결국 특위 위원직에서 사퇴했다.
이에 따라 공전을 거듭하던 국정원 국조가 가동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새누리당은 '국정원 여직원 인권유린' 혐의로 고발된 이해 당사자라는 이유로 김현·진선미 의원을 특위 위원에서 배제하라고 강하게 요구했다.
이에 대해 두 의원은 전날 열린 국정원 국정조사 특위 회의에서 "국민이 주신, 국민으로부터 부여받은 진상조사위원으로서의 권리는 어떤 상황이 도래하더라도 명백히 이 자리를 굳건히 지킬 것"이라며 완강한 자세를 보였었다.
특히 민주당 지도부가 지난 15일 국조 정상화를 위해 두 의원의 사퇴가 불가피하다는 쪽으로 사실상 입장을 정리했으나 두 의원을 포함해 특위 위원들이 반발, 결론을 내리지 못했었다.
이날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김현·진선미 의원의 국회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위원직을 사퇴한 것에 대해 "지도부로서는 두 분의 결단을 안타깝지만 고맙게 받아들인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우리당 의원의 말실수 때문에 지도부가 유감을 표하는 것과 아무 잘못 없는 우리 당의 국조특위 위원을 물러나게 하는 것은 완전히 다른 일"이라며 "국정원 국조도 중요하지만 국정원 대선개입 밝혀
내는데 가장 공이 큰 김현·진선미 의원을 국조 특위에서 빠지라고 말할 수는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어젯밤 늦게 김현·진선미 의원이 선당후사의 자세로 자진사퇴를 결단했다는 말을 들었다"라
며 "앞으로도 두분이 국조를 뒷받침하는 당 차원의 지원단에서 활약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는 "국조 특위에서 두 사람이 빠지는 게 아니라 오히려 두 사람이 늘어나는 셈이 되는 것"이라며 "이번국정원 대선개입 국조에서 국민이 기대하는 성과를 이끌어내는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전병헌 원내대표도 "두 의원의 자기희생적 결단과 헌신에 감사한다"며 "국조를 위해 헌신하고 노력했는데도 새누리당의 트집잡기에 걸림돌이 되서 그게 제대로 헛바퀴가 돌아가고 있는 건 참으로 안타깝고 울분을 감추기 어려운 심정이었다"고 토로했다.
전 원내대표는 "도대체 말도 안되는 이유로 두 의원에게 시비걸고 있는 자체가 더더욱 가슴을 치게 했다"며 "두 의원들이 지혜롭고 현명한 자기결단을 내려줘서 더이상 새누리당의 인위적 요구에 국정원 국조를 방해할 수 없도록 만들어 준 것에 대해 전 당원의 이름으로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에서도 두 의원의 사퇴에 대한 입장표명이 있었다.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 참석해 "늦었지만 두 의원이 사퇴 한 것은 다행"이라며 "이를 계기로 국정원 국정조사가 원만하게 진행돼 사실관계가 명명백백하게 밝혀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최 원내대표 "새누리당이 두 위원의 특위위원 사퇴를 요구한 것은 두 위원이 국정원 국정조사 대상인 여직원 감금 사건의 피고발인 신분이었기 때문"이라며 "지금까지 국정원 국정조사가 답보 상태에 빠져 있었던 원인이 해소됐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경제가 어렵고, 수해가 발생한 상황에서 여야 정쟁을 그만두고 민생 살리기라는 국회 본연의 역할을 해줄 것을 야당에 촉구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정조사 특별위원인 김현·진선미 의원의 사퇴로 민주당은 김민기·박남춘 의원을 국정원 국조특위 위원 선임했다.
이에 따라 야당 소속 특위 위원은 김민기 박남춘 의원을 비롯해 정청래·박범계·박영선·신경민·전해철(이상 민주당), 이상규(통합진보당) 의원 등 8명이며 새누리당 소속 특위 위원은 권성동·김재원·김진태·김태흠·윤재옥·이장우·경대수·김도읍·조명철 의원 등 9명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