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권영세 녹취파일' 놓고 신경전

    정당/국회 / 전용혁 기자 / 2013-07-24 17:08:02
    • 카카오톡 보내기
    새누리 “국정원 국조 범위에 벗어난 내용” 지적

    민주당 “국조 범위 4개항과 무관치 않아” 반박



    [시민일보] 24일 국회에서 열린'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국정원 국조 특위)' 전체회의(법무부 기관보고)에서 민주당 박범계 의원이 공개한 이른바 '권영세 녹취파일'을 놓고 여야가 날선 신경전을 벌였다.


    새누리당 의원들은 국정원 국정조사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내용이라며 녹취록 공개를 강력하게 반발했고, 민주당 의원들은 국정원의 여론조작 사건과 국정원을 시발점으로 한 대선 NLL 대화록 불법유출사건이 같은 맥락에 있다고 맞섰다.


    이날 박범계 의원은 권영세 주중 대사가 지난해 12월10일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NLL 이야기를 해야 한다"며 열람 계획까지 논의했던 상황의 녹취 내용을 공개했다.
    이 녹취에는 특히 국정원이 원세훈 원장 취임 이후 문건의 내용을 다시 끼워 맞춰서 청와대에 보고했다는 내용까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권 대사는 "…NLL 관련된 얘기를 해야 하는데…(중략)…자료 구하는 건 문제가 아닌데 그거는 역풍가능성…(중략)…그냥 '컨틴전시 플랜'(Contingency plan·비상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근데 지금 소스가 청와대 아니면 국정원 아닙니까. 그게…(중략)…그래서 그걸 우리가 집권하게 되면 까고…"라며 "전해들은 얘기 가지고 쓸 수가 없겠지만 만약 이게 문서 뒷받침이 된다면 엄청난 얘기지"라고 말했다.


    이에 익명의 동석자가 "그렇겠네요. 이번에 되시면 바로 저희한테 주세요"라고 말하자 "언론을 통해서는 (공개) 안 할거야 아마... 분명... 정상회담록 공개하는 과정에서 2007년에 정상들이 도대체 가서 뭔 얘기를 하고 앉아 있는 거였는지.. 그때 가서 본다…"고 말했다.


    그는 또 새누리당 정문헌 의원의 문건 입수 경로와 관련, "국정원에서 그 때는... MB정부 원세훈으로 원장 바뀐 이후로 기억을 하는데 내용을 다시 끼워 맞췄거든요"라며 "아마 그 내용을 가지고...청와대에 보고를... 요약보고를 한 거지, 요약보고를 한 건데. 그걸 이제, 아마 어떤 경로로 정문헌 한테로 갔는데…"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이를 공개한 후 "국정원의 댓글 통한 여론조작 사건과 국정원을 시발점으로 한 대선 NLL 대화록 불법유출사건을 일란성 쌍둥이로 규정한다"며 "정권유지와 더 나아가 장기집권을 하기 위해 비상계획을 만들고 실행하는 시나리오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비상계획은 집권 전에도 있었지만 집권 후에도 유력한 수권야당을 적으로 돌리는 민주주의 파괴 공작행위가 있었다. 장기집권을 획책한 시나리오였다"며 "집권 전에 대화록을 불법 유출해 대선에서 악용하고 집권 후에도 남재준 원장에 의해 2차례 불법 공개된 시나리오에 기초한다는 강력한 근거"라고 강조했다.


    그러자 여야는 박범계 의원의 발언이 국정원 댓글 의혹 사건 국정조사 범위에 포함되는 내용이냐 아니냐를 놓고 뜨거운 설전을 벌였다.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은 의사진행발언을 통해 "박 의원의 질의 내용은 국가정보원 댓글의혹 진상규명을 위한 본 국정조사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내용"이라며 "이 부분에 대해 발언을 제지했어야 하는데 위원장이 제지 하지 않는 것에 대해 상당한 유감을 표한다. 이번 의제와 관계 없는 질의가 나오면 의사진행을 중단시켜 주시고 다시 한 번 나오면 국정조사를 계속할지 말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그러자 민주당 정청래 의원은 "이 엄청난 국기문란 내용은 어떤 것이라도 명명백백하고 정정당당하게 얘기를 해야 한다"며 "무엇이 공개될까 두려워서 어떤 질문은 되고 어떤 질문은 안된다는 새누리당 논리는 납득이 안된다"고 반박했다.


    이어 "박 의원 질의 내용이 여야 원내대표가 합의한 국정조사 범위 4가지 사항과 무관하지 않다"며 "위원장은 공평하고 공명정대하게 위원회를 진행해 달라"고 맞섰다.


    그러자 이번에는 새누리당 이장우 의원이 "국정원 댓글 의혹 사건 국정조사에 적합하지 않고, 애당초 여야 합의한 범위에 들어가 있지도 않다"며 "위원장은 애당초 갖고 있는 범위 내에서 질의를 하도록 제지를 해주시고 그렇지 않으면 논의가 진행되서는 안된다"고 반박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