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삼성 문건 공개, 다루지 않으면 국회의원 사명 저버리는 것”

    정당/국회 / 전용혁 기자 / 2013-10-16 15:39:03
    • 카카오톡 보내기
    “헌법 위에 군림하는 삼성은 더 이상 시대가 수용하기 어려워”

    [시민일보] 삼성이 노조무력화 전략을 조직적으로 이행해 왔음이 문건을 통해 사실로 확인됐다며 이건희 삼성 회장을 국감 증인으로 요청한 정의당 심상정 원내대표가 “이 정도의 문건이 공개됐음에도 다루지 않는다면 국회의원의 사명을 저버리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심 원내대표는 16일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이 문건을 국회에서 적극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문제인식은 이제 헌법 위에 군림하는 삼성은 더 이상 시대가 수용하기 어렵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실정법상에 여러 가지 문제들도 많이 있지만 그런 문제 이전에 대한민국 경제의 중심이고, 또 초 일류기업인 삼성이 변해야 대한민국이 미래로 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지금 경제민주화가 시대정신인데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말하자면 경제 권력의 정점에 있는 삼성이 사회적 책임의 의지를 갖지 않는다면, 또 그것을 정치권이 설득해 내지 못한다면 경제민주화는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2012년 삼성그룹 노사전략’이라는 제목의 문건에 대해 “가장 핵심적인 것은 노동조합 결성을 사전에 저지하고 또 사후에 방어하는 실천계획서라고 보면 될 것”이라며 “충격적인 것이 그것을 위해 직원들을 사실상 사찰하는 ‘100과사전’이라고 하는 이름의 실행프로그램을 갖고 있다는 것이고, 직원들을 문제 인력과 건전 인력으로 나눠서 노조 와해를 위한 준군사적 조직 운영까지도 하고 있다는 것이 매우 충격적”이라고 밝혔다.



    그는 “개인 취향이라든지 자산, 지인 관계, 심지어 주량까지 파악을 해서 이걸 일명 ‘100과 사전’이라고 이름 지었고, 이 ‘100과 사전’을 운영해 활용하고 있다”며 “이것은 업무범위 밖에 있는 것이지만 직원들을 관리하고 또 통제하기 위한 무기로, 그런 수단으로 개인 정보들을 불법적으로 취합하고 있는 게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노조와해용은 아니다’라는 삼성측 해명에 대해서는 “110쪽에 이르는 문건에 보면 ‘노조 와해’, ‘조기 와해’, ‘고사화’ 이런 단어들이 다 등장하고, ‘알박기 노조’, 심지어는 PU라고 해서 ‘페이퍼 노조’가 4개 있다, 이런 불법적이고 탈법적인 실체에 대해서도 적시해 놓고 있다”며 “이 문건은 직원들의 인격을 존중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직원들을 철저히 관리의 대상으로 취급하는 전근대적인 노사관이 적나라하게 드러나 있는 그런 인식을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삼성이 이번 기회를 꼐기로 근본적인 전환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며 “경제민주화라는 것은 법 앞에 만인이 평등한 것, 노동3권을 존중하는 것인데, 이런 구체적인 불법사항에 대해서도 수사가 이뤄져야 하고, 또 노동부가 부당 노동행위에 대한 감독이 실시가 돼야 하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삼성의 개혁 의지를 촉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