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새누리당 심재철 최고위원이 역사교과서 논란과 관련, “국사에 한해서는 국정교과서 한 가지로 가는 것이 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심 최고위원은 8일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해방 직후 좌우 대결시대를 뺨칠 정도로 아주 좌편향이다, 우편향이다 거세게 논쟁이 불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해서는 우리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역사관을 줄 수가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현재의 검인정교과서는 교과서마다 저자가 제 각각이다. 다시 말해 저자가 자기 쓰고 싶은 대로 교과서를 만들면 상관이 없다. 아무런 제재가 없는데 그러나 국정교과서가 되면 그 단 하나의 교과서에 뭐라고 서술할 것이냐를 가지고 치열하게 토론이 될 수밖에 없고 그렇기 때문에 학문적 토론과 논쟁이 훨씬 더 아주 질적으로 수준 높게 전개될 수밖에 없고 아주 정제된 표현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어느 정부가 들어서느냐에 따라 국사가 계속 바뀔 가능성이 있다’는 일부 우려에 대해서는 “국정교과서라는 게 채택이 되면 상당시간이 갈 수밖에 없는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이것은 신문보도처럼 즉각 변화되거나 언론보도처럼 굴곡이 심하거나 전혀 그렇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정권의 성격에 따라 바라보는 시각이 조금씩은 차이가 있을 수는 있겠지만 기본줄거리는 어차피 동일하게 마찬가지인 것이고 그것도 지금의 역사보다도 현대사들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그런 시각이 나타날 수 있는 것인데 그런 시각들은 당연한 것”이라며 “다양한 시각들을 글로 어떻게 표현할 것이냐에 대해서는 치열하게 논쟁이 붙을 수밖에 없는 것이고 그 자체가 굉장히 한국사를 발전시키는 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교과서 또는 교사에 따라 그냥 놔두는 경우 ‘나는 이 사관이 옳다. 내가 보기에는 이렇게 기술하는 게 맞다’고 해서 그쪽으로 모두 가게 되면 그야말로 무책임하게 아이들에게 역사를 가르쳐주게 되는 것일 수밖에 없는 것”이라며 “그것보다는 논쟁과 토론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 논쟁과 토론을 거쳐 스크린 돼서 표현되는 역사 사실이 훨씬 더 바람직한 것”이라고 말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