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지금은 후보선정 과정… 본격 선거시기"
[시민일보] 청와대가 기념품으로 제작한 일명 ‘박근혜 시계’를 새누리당 의원들과 당협위원장에게 나눠준 것에 대해 여야 정치권이 선거법 위반 공방을 벌이고 있다.
새누리당 김태흠 원내대변인은 23일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이 시계문제가 왜 논란이 되는지 모르겠다”며 “이 시계는 과거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때처럼 대량 제작해서 배포하고 그러지 않았다. 전직 대통령 같은 경우 이게 많은 숫자로 시계를 제작해서 배포하는 게 관행이었고, 노무현 전 대통령 시계는 현재 다섯 종류의 시계가 네이버 사이트에서 중고로 거래가 될 정도라는데 이런 여러 종류의 시계가 다수 배부됐다는 걸 입증하는 것 아닌가. 이런 부분들이 극소수를 제작해서 국회의원과 당협위원장에게 제공했다는 게 뭐가 문제가 되나”라고 주장했다.
그는 ‘선거를 앞두고 선거를 독려하는 메시지와 함께 배포됐다’는 민주당의 문제제기에 대해 “선거를 독려하고 선거에 이용됐다고 하면 원외위원장과 국회의원들에게만 그렇게 여성용 5개, 남성용 5개 주는가”라며 “옛날 DJ 때나 노무현 때나 그전에도 그렇고 대통령들이 시계를 만들어서 대량 배포하고 했는데 중앙의 국회의원이나 원외위원장들하고 같이 했던 사람들과 같은 경우 ‘시계 하나도 없다는 불만들이 많다’ 이런 부분들을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고, 그러다보니 몇 개씩 이렇게 나온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선거에 입박한 민감한 시기에 줬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지금 선거가 임박했는가. 후보자들이니 뭐니 예비후보등록도 4개월 전에 하기로 돼 있고 그 다음 선거개시일에 하기로 돼 있는데 등록도 안 했다. 아직 5개월 가까이 남았는데 뭐가 선거전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민주당이 여기까지 무책임하게 아니면 말고 식의 정치공세가 어제, 오늘 일이냐”라며 “문제 있으면 선관위에서 조사할 것이고 선거법 위반인지 아닌지 조사할 것 아닌가. 이게 관례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선거법 위반 여부를 중앙선관위에 직접 질의한 민주당 김현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당협위원장에게 선거를 불과 3개월 앞둔 시점에서 여러 세트로 해서 나눠주고 그것을 집권당의 사무총장이 잘 활용하시라, 당협 운영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는 말을 당부의 말과 함께 첨부해서 시계를 준 것에 대해서는 명백하게 선거법 위반 여부에 대해 선관위가 판단을 내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량제작해서 배포하는 관행은 과거 정부에도 있었다’는 새누리당 김태흠 대변인의 주장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 참여정부 때는 대통령 시계와 관련해서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해 내부적으로 내규를 정해서 활용했다"며 "그래서 당시에는 대통령 행사일정에 오신 분들이나 청와대 파견 나왔던 공무원들이 복귀할 때 선물용도로 제작했고, 개수로 따지면 당협위원장이 250명 가량 되는데, 10개의 시계를 줬다고 하면 이 금액도 많거니와 수량도 많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방선거와 관련해서 민감한 시기가 아니라는 새누리당 주장에 대해서는 “지방선거와 관련, 기초단체의회 정당공천 문제가 지금 첨예하게 여야가 대립하고 있는 상황이고 2월이 되면 법의 개정여부가 확정되고 그 다음 각 당이 후보자들이 열심히 뛰고 있다”며 “선거는 6월4일이지만 후보가 선정되는 과정과 그 다음에 선거가 본격화되는 시기는 지금이라고 봐야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시민일보] 청와대가 기념품으로 제작한 일명 ‘박근혜 시계’를 새누리당 의원들과 당협위원장에게 나눠준 것에 대해 여야 정치권이 선거법 위반 공방을 벌이고 있다.
새누리당 김태흠 원내대변인은 23일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이 시계문제가 왜 논란이 되는지 모르겠다”며 “이 시계는 과거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때처럼 대량 제작해서 배포하고 그러지 않았다. 전직 대통령 같은 경우 이게 많은 숫자로 시계를 제작해서 배포하는 게 관행이었고, 노무현 전 대통령 시계는 현재 다섯 종류의 시계가 네이버 사이트에서 중고로 거래가 될 정도라는데 이런 여러 종류의 시계가 다수 배부됐다는 걸 입증하는 것 아닌가. 이런 부분들이 극소수를 제작해서 국회의원과 당협위원장에게 제공했다는 게 뭐가 문제가 되나”라고 주장했다.
그는 ‘선거를 앞두고 선거를 독려하는 메시지와 함께 배포됐다’는 민주당의 문제제기에 대해 “선거를 독려하고 선거에 이용됐다고 하면 원외위원장과 국회의원들에게만 그렇게 여성용 5개, 남성용 5개 주는가”라며 “옛날 DJ 때나 노무현 때나 그전에도 그렇고 대통령들이 시계를 만들어서 대량 배포하고 했는데 중앙의 국회의원이나 원외위원장들하고 같이 했던 사람들과 같은 경우 ‘시계 하나도 없다는 불만들이 많다’ 이런 부분들을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고, 그러다보니 몇 개씩 이렇게 나온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선거에 입박한 민감한 시기에 줬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지금 선거가 임박했는가. 후보자들이니 뭐니 예비후보등록도 4개월 전에 하기로 돼 있고 그 다음 선거개시일에 하기로 돼 있는데 등록도 안 했다. 아직 5개월 가까이 남았는데 뭐가 선거전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민주당이 여기까지 무책임하게 아니면 말고 식의 정치공세가 어제, 오늘 일이냐”라며 “문제 있으면 선관위에서 조사할 것이고 선거법 위반인지 아닌지 조사할 것 아닌가. 이게 관례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선거법 위반 여부를 중앙선관위에 직접 질의한 민주당 김현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당협위원장에게 선거를 불과 3개월 앞둔 시점에서 여러 세트로 해서 나눠주고 그것을 집권당의 사무총장이 잘 활용하시라, 당협 운영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는 말을 당부의 말과 함께 첨부해서 시계를 준 것에 대해서는 명백하게 선거법 위반 여부에 대해 선관위가 판단을 내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량제작해서 배포하는 관행은 과거 정부에도 있었다’는 새누리당 김태흠 대변인의 주장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 참여정부 때는 대통령 시계와 관련해서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해 내부적으로 내규를 정해서 활용했다"며 "그래서 당시에는 대통령 행사일정에 오신 분들이나 청와대 파견 나왔던 공무원들이 복귀할 때 선물용도로 제작했고, 개수로 따지면 당협위원장이 250명 가량 되는데, 10개의 시계를 줬다고 하면 이 금액도 많거니와 수량도 많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방선거와 관련해서 민감한 시기가 아니라는 새누리당 주장에 대해서는 “지방선거와 관련, 기초단체의회 정당공천 문제가 지금 첨예하게 여야가 대립하고 있는 상황이고 2월이 되면 법의 개정여부가 확정되고 그 다음 각 당이 후보자들이 열심히 뛰고 있다”며 “선거는 6월4일이지만 후보가 선정되는 과정과 그 다음에 선거가 본격화되는 시기는 지금이라고 봐야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