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속 부산시장출마가 가장 이상적인 형태
중앙정치에 예속된 지방정치는 바람직 못해"
[시민일보]오는 6월 부산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하는 오거돈 전 해양수산부 장관이 자신의 통합신당 참여 여부에 대해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형태”라며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오 전 장관은 11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지금 부산시민들이 제게 바라는 최선의 선택이 바로 무소속 시민후보라고 저는 확신하고 있다. 그래서 제가 출마하게 된 자체도 기성정당에 대한 실망감이 이번에는 정당이 아닌 인물을 선택해보자는 시민들의 희망이 저로 하여금 분출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통합신당에 대해서는 “일부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고 또 그것이 성공하길 바란다”면서도 “그러나 지방은 지방 나름대로 여러 가지 어려움들을 안고 있고 특수성을 안고 있기 때문에 이번 선거에서 적어도 부산에서는 이겨야 한다는 절체절명의 과제를 안고 있다. 부산시민들이 저에게 무소속의 길을 더 많이 요구하고 있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아마 안철수 의원쪽에서도 이런 부분에 대해 충분히 이해를 하고 있으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부산지역에서는 지역구도의 벽을 넘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데,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이번 통합신당만으로는 우리 부산시민의 뜻을 수렴하기에는 부족하다”며 “그래서 통 큰 연대를 만들어야 하는 것인데, 시민사회단체, 정당, 아울러 새누리당을 지지했던 많은 분들까지 저의 통 큰 연대에 같이 포함을 시켜 우리가 부산 발전을 위해 힘을 모아나가도록 하는 모양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기본적으로 중앙정치에 예속된 지방정치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중앙에서 여야가 갈려서 싸우고 정치, 정파들끼리 싸운다고 할지라도 지역의 발전을 위해 부산지역내에서는 적어도 여야, 또 심지어는 진보와 보수, 세대간의 격차, 이런 부분들이 하나로 여과될 수 있는 시장을 뽑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것이 바로 중앙정치와는 독립된 지방정치의 새로운 모양을 만들어나가는 또 하나의 시도”라며 “이런 의미에서 이게 큰 의미가 있는 것이고 제가 그 부분을 이번에 실천해보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여당 후보인 새누리당 서병수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당내 경선룰 논란과 관련, “더 이상 거론하는 것은 크게 의미가 없다”고 주장했다.
서 의원은 “정당정치라는 것은 정치철학이 비슷하고 정책적 노선이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여서 자기의 정치적 성향을 정책이라든가 비전 등을 통해 국민들에게 알리고 그것을 통해 선출하는 것인데, 그런 입장에서 본다면 당의 후보를 선출하는데 있어서 당의 정체성을 완전 무시할 순 없다”며 “승리하기 위해서는 우리 국민들의 의사, 의중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인데 그런 것을 절묘하게 안배를 해서 만들어놓은 것이 현행의 경선룰”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2:3:3:2라고 하는 룰이 결국 50%는 당원들의 의사, 당의 정체성을 반영하는 것이고 나머지 50%는 국민들의 의사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여론조사가 70% 정도는 돼야 한다’는 권철현 전 대사의 주장에 대해서는 “정치를 오래하신 분이고 과거 한나라당에서 광역시장 경선에 두 번이나 참여하신 분이다. 그때와 지금 입장이 다르다고 해서 또 다른 룰을 고집하는 것은 도리에 맞지 않다”며 “이미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를 통과한 안이기 때문에 변경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그는 권 전 대사의 무소속 출마 가능성에 대해서는 “본인이 어떤 의사결정을 하는가에 달려 있겠지만 처음부터 우리 경선룰이 이렇다고 하는 것을 이미 인지하고 나오셨고 그렇기 때문에 계속해서 우리가 우리 당내 경선을 제대로 컨벤션 효과라든가 이런 것을 누리기 위해서는 같이 참여해서 끝까지 완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중앙정치에 예속된 지방정치는 바람직 못해"
[시민일보]오는 6월 부산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하는 오거돈 전 해양수산부 장관이 자신의 통합신당 참여 여부에 대해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형태”라며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오 전 장관은 11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지금 부산시민들이 제게 바라는 최선의 선택이 바로 무소속 시민후보라고 저는 확신하고 있다. 그래서 제가 출마하게 된 자체도 기성정당에 대한 실망감이 이번에는 정당이 아닌 인물을 선택해보자는 시민들의 희망이 저로 하여금 분출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통합신당에 대해서는 “일부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고 또 그것이 성공하길 바란다”면서도 “그러나 지방은 지방 나름대로 여러 가지 어려움들을 안고 있고 특수성을 안고 있기 때문에 이번 선거에서 적어도 부산에서는 이겨야 한다는 절체절명의 과제를 안고 있다. 부산시민들이 저에게 무소속의 길을 더 많이 요구하고 있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아마 안철수 의원쪽에서도 이런 부분에 대해 충분히 이해를 하고 있으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부산지역에서는 지역구도의 벽을 넘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데,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이번 통합신당만으로는 우리 부산시민의 뜻을 수렴하기에는 부족하다”며 “그래서 통 큰 연대를 만들어야 하는 것인데, 시민사회단체, 정당, 아울러 새누리당을 지지했던 많은 분들까지 저의 통 큰 연대에 같이 포함을 시켜 우리가 부산 발전을 위해 힘을 모아나가도록 하는 모양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기본적으로 중앙정치에 예속된 지방정치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중앙에서 여야가 갈려서 싸우고 정치, 정파들끼리 싸운다고 할지라도 지역의 발전을 위해 부산지역내에서는 적어도 여야, 또 심지어는 진보와 보수, 세대간의 격차, 이런 부분들이 하나로 여과될 수 있는 시장을 뽑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것이 바로 중앙정치와는 독립된 지방정치의 새로운 모양을 만들어나가는 또 하나의 시도”라며 “이런 의미에서 이게 큰 의미가 있는 것이고 제가 그 부분을 이번에 실천해보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여당 후보인 새누리당 서병수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당내 경선룰 논란과 관련, “더 이상 거론하는 것은 크게 의미가 없다”고 주장했다.
서 의원은 “정당정치라는 것은 정치철학이 비슷하고 정책적 노선이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여서 자기의 정치적 성향을 정책이라든가 비전 등을 통해 국민들에게 알리고 그것을 통해 선출하는 것인데, 그런 입장에서 본다면 당의 후보를 선출하는데 있어서 당의 정체성을 완전 무시할 순 없다”며 “승리하기 위해서는 우리 국민들의 의사, 의중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인데 그런 것을 절묘하게 안배를 해서 만들어놓은 것이 현행의 경선룰”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2:3:3:2라고 하는 룰이 결국 50%는 당원들의 의사, 당의 정체성을 반영하는 것이고 나머지 50%는 국민들의 의사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여론조사가 70% 정도는 돼야 한다’는 권철현 전 대사의 주장에 대해서는 “정치를 오래하신 분이고 과거 한나라당에서 광역시장 경선에 두 번이나 참여하신 분이다. 그때와 지금 입장이 다르다고 해서 또 다른 룰을 고집하는 것은 도리에 맞지 않다”며 “이미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를 통과한 안이기 때문에 변경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그는 권 전 대사의 무소속 출마 가능성에 대해서는 “본인이 어떤 의사결정을 하는가에 달려 있겠지만 처음부터 우리 경선룰이 이렇다고 하는 것을 이미 인지하고 나오셨고 그렇기 때문에 계속해서 우리가 우리 당내 경선을 제대로 컨벤션 효과라든가 이런 것을 누리기 위해서는 같이 참여해서 끝까지 완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