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오는 6월 부산시장 선거에 출마하는 민주당 김영춘 전 최고위원이 14일 무소속 출마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오거돈 전 장관에게 야권후보 단일화를 제안하겠다고 밝혔다.
김 전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오 전 장관이 만약 신당후보로 선출되면 그 상태에서 오거돈 후보에게 야권후보로서의 정체성을 요구하고 그 전제 하에서 야권후보 단일화를 제안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제가 오 후보께 마침 새로운 차원으로 창당이 되니까 그 신당에 합류를 해서 명실상부한 야권후보로서 같이 경선을 해서 선거에 임하자고 제안을 드렸는데 오 후보님은 계속 무소속의 길을 고집하는 것 같다”며 “그것도 그분의 자유로운 선택이지만 저는 무소속으로 가신다고 하면 그분이 과연 야권후보인지 아니면 여권 무소속인지 그런 정체성을 분명히 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그는 “지금까지 그 분이 말씀하신 부산시정에 대한 얘기나 부산발전 비전을 보면 (여권인지 야권인지)분간이 잘 안 되는 상황”이라며 “그런 점에서 저는 우선 조금 더 기다려볼 생각이지만 그분이 마이웨이를 하신다고 하면 신당은 신당대로 신당의 후보를 선출하는 절차에 들어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 분이 과거 열린우리당 시장후보로 두 번이나 출마를 하셨었고 또 노무현 대통령 시절에 그 분 밑에서 해수부 장관까지 하셨는데 그래서 당연히 부산의 야당후보로 나설 용의가 있으실 거라는 기대를 갖고 제안한 것인데 그렇지 않은 행보를 보이시니까 과연 그분이 무소속으로 설령 가시더라도 야권 성향의 무소속인지 그 자체는 나중에 따져봐야 될 문제”라고 설명했다.
그는 오 전 장관이 최근 ‘오히려 당선 됐다고 하더라도 당선 이후에는 당적을 버리는 것이 옳다’고 말한 것에 대해 “오 후보님이 기본적으로 정당 정치에 대한 이해가 많이 부족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그는 “물론 정당이 없이 정치적 바람을 타지 않고 시장을 그냥 공평무사하게 운영한다는 것은 이상적인 생각이기도 하지만 이 세상에서 견제받지 않는 권력이 부패하듯이 또 정치적인 책임을 지는 정당의 존재 없이 시정을 운영한다는 것도 다분히 탁상공론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개인도 출중하고 능력이 있을 수 있지만 그 개인이 속한 정당의 이름으로 책임을 지고 또 잘하면 잘하는대로 재신임을 받고 못하면 시민들에 의해 재평가되고 심판을 받는 자체가 단지 개인이 아니라 정당과 함께 연계가 될 때 책임정당이 탄생하고 그 정치가 이뤄질 수 있는 것”이라며 “개인보다는 정당이 함께 하는, 그 책임을 위해서는 정당 소속의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 전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오 전 장관이 만약 신당후보로 선출되면 그 상태에서 오거돈 후보에게 야권후보로서의 정체성을 요구하고 그 전제 하에서 야권후보 단일화를 제안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제가 오 후보께 마침 새로운 차원으로 창당이 되니까 그 신당에 합류를 해서 명실상부한 야권후보로서 같이 경선을 해서 선거에 임하자고 제안을 드렸는데 오 후보님은 계속 무소속의 길을 고집하는 것 같다”며 “그것도 그분의 자유로운 선택이지만 저는 무소속으로 가신다고 하면 그분이 과연 야권후보인지 아니면 여권 무소속인지 그런 정체성을 분명히 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그는 “지금까지 그 분이 말씀하신 부산시정에 대한 얘기나 부산발전 비전을 보면 (여권인지 야권인지)분간이 잘 안 되는 상황”이라며 “그런 점에서 저는 우선 조금 더 기다려볼 생각이지만 그분이 마이웨이를 하신다고 하면 신당은 신당대로 신당의 후보를 선출하는 절차에 들어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 분이 과거 열린우리당 시장후보로 두 번이나 출마를 하셨었고 또 노무현 대통령 시절에 그 분 밑에서 해수부 장관까지 하셨는데 그래서 당연히 부산의 야당후보로 나설 용의가 있으실 거라는 기대를 갖고 제안한 것인데 그렇지 않은 행보를 보이시니까 과연 그분이 무소속으로 설령 가시더라도 야권 성향의 무소속인지 그 자체는 나중에 따져봐야 될 문제”라고 설명했다.
그는 오 전 장관이 최근 ‘오히려 당선 됐다고 하더라도 당선 이후에는 당적을 버리는 것이 옳다’고 말한 것에 대해 “오 후보님이 기본적으로 정당 정치에 대한 이해가 많이 부족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그는 “물론 정당이 없이 정치적 바람을 타지 않고 시장을 그냥 공평무사하게 운영한다는 것은 이상적인 생각이기도 하지만 이 세상에서 견제받지 않는 권력이 부패하듯이 또 정치적인 책임을 지는 정당의 존재 없이 시정을 운영한다는 것도 다분히 탁상공론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개인도 출중하고 능력이 있을 수 있지만 그 개인이 속한 정당의 이름으로 책임을 지고 또 잘하면 잘하는대로 재신임을 받고 못하면 시민들에 의해 재평가되고 심판을 받는 자체가 단지 개인이 아니라 정당과 함께 연계가 될 때 책임정당이 탄생하고 그 정치가 이뤄질 수 있는 것”이라며 “개인보다는 정당이 함께 하는, 그 책임을 위해서는 정당 소속의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