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새누리당 서상기 국회 정보위원장이 국정원 문서 위조 의혹과 관련, “사건이 문서조작사건으로 비화돼버렸는데 가장 중요한 건 유우성이 간첩이냐 아니냐 여기에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 위원장은 24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이 사건 자체가 뇌물사건이나 흔히 있는 청탁사건, 이런 게 아니고 그야말로 국가안보와 관련된 사건이고 이 국정원이 활동하는 범위에서 생긴 것이기 때문에 이 사건은 조금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볼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지금 핵심을 벗어나고 있는 것은 분명하고 빨리 유우성이 간첩이냐 아니냐, 이 문제를 초점을 맞춰야 할 때”라고 밝혔다.
그는 현재 국정원 내부에서까지 ‘특검’ 도입 요구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 “얼마나 답답했으면 국정원에서 특검까지 나오겠는가”라며 “그런 차원에서 이해해주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특검에 대해서는 야당이 걸핏하면 특검, 특검하는 바람에 제 개인적으로는 특검에 대해 상당히 거부감을 많이 가지고 있다”며 “또 여태까지 특검해서 제대로 성공한 사례가 없다. 국민들 혈세만 낭비하고 시간만 소비하고 그래서 이번 일도 특검하고 관련지어서는 좀 더 신중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위조 의혹이 제기된 문서 전달과정에 모두 관여한 김 과장의 상관, 이 모 대공수사팀장이 문건 위조를 전혀 몰랐다고 진술한 부분에 대해 “국가정보기관이기 때문에 다른 기관보다도 업무에 대해 더 많이 소상하게 알 수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고 또 정보기관이기 때문에 옆에 있는 사람도 모르고 집안 식구도 모르고 직속상관도 모르는 일도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워낙 사안 자체가 복잡하고 이런 사건 자체가 없었던 초유의 일이기 때문에 아마 관련되시는 분들도 판단하는데 여러 가지 혼란을 겪었을 것”이라며 “일반적인 잣대로 국정원에서 벌어지는 일을 재단하는 것은 우리가 오류를 범하기 쉬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검찰에서 강도 높은 수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일부 부작용이 있더라도 진실을 밝혀지리라 믿고 있고 어디까지나 국가정보기관이기 때문에 정보기관으로서 해야 될 일, 정보기관으로서 우리가 보호해줘야 될 이런 부분은 보호해가면서 수사를 해야지, 전체를 완전히 노출시키면 엄청난 손실을 가져올 우려가 많기 때문에 여러 가지 세심한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 위원장은 24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이 사건 자체가 뇌물사건이나 흔히 있는 청탁사건, 이런 게 아니고 그야말로 국가안보와 관련된 사건이고 이 국정원이 활동하는 범위에서 생긴 것이기 때문에 이 사건은 조금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볼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지금 핵심을 벗어나고 있는 것은 분명하고 빨리 유우성이 간첩이냐 아니냐, 이 문제를 초점을 맞춰야 할 때”라고 밝혔다.
그는 현재 국정원 내부에서까지 ‘특검’ 도입 요구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 “얼마나 답답했으면 국정원에서 특검까지 나오겠는가”라며 “그런 차원에서 이해해주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특검에 대해서는 야당이 걸핏하면 특검, 특검하는 바람에 제 개인적으로는 특검에 대해 상당히 거부감을 많이 가지고 있다”며 “또 여태까지 특검해서 제대로 성공한 사례가 없다. 국민들 혈세만 낭비하고 시간만 소비하고 그래서 이번 일도 특검하고 관련지어서는 좀 더 신중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위조 의혹이 제기된 문서 전달과정에 모두 관여한 김 과장의 상관, 이 모 대공수사팀장이 문건 위조를 전혀 몰랐다고 진술한 부분에 대해 “국가정보기관이기 때문에 다른 기관보다도 업무에 대해 더 많이 소상하게 알 수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고 또 정보기관이기 때문에 옆에 있는 사람도 모르고 집안 식구도 모르고 직속상관도 모르는 일도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워낙 사안 자체가 복잡하고 이런 사건 자체가 없었던 초유의 일이기 때문에 아마 관련되시는 분들도 판단하는데 여러 가지 혼란을 겪었을 것”이라며 “일반적인 잣대로 국정원에서 벌어지는 일을 재단하는 것은 우리가 오류를 범하기 쉬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검찰에서 강도 높은 수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일부 부작용이 있더라도 진실을 밝혀지리라 믿고 있고 어디까지나 국가정보기관이기 때문에 정보기관으로서 해야 될 일, 정보기관으로서 우리가 보호해줘야 될 이런 부분은 보호해가면서 수사를 해야지, 전체를 완전히 노출시키면 엄청난 손실을 가져올 우려가 많기 때문에 여러 가지 세심한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