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총론에는 동의하나 구체적 해법 없어"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독일 드레스덴 선언과 관련, 여야 정치권이 엇갈린 입장을 드러냈다.
새누리당은 이번 박 대통령의 선언에 대해 전반적으로 호평했지만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은 구체적 해법을 찾을 수 없다며 비판하고 나섰다.
새누리당 박대출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지난 대통령 신년연설의 '통일 대박론'을 뒷받침하고 진전된 한반도 평화 통일 구상을 담은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독트린' 공표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50년 전 독일에서 아버지 대통령이 '경제 부흥의 기회'를 얻어와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했듯이 이제 딸 대통령이 통일 한국의 기회를 다시 얻어와 통일 고속도로를 건설할 수 있도록 계기가 마련된 것으로 높이 평가할 만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박 대통령은 남북한 주민들의 인도적 문제 해결, 공동번영을 위한 민생 인프라 구축, 동질성 회복 등 3대 제안을 통해 이산가족 정례화, 남북경협의 다변화, 남북교류협력 사무소 설치 등 구체적인 통일 방법론을 조목조목 제시했다"며 "남북이 물리적ㆍ화학적 결합을 심화시켜 공동번영의 경제공동체를 이뤄내 체제와 정신이 하나된 통일 한국을 이룩한다면 전세계가 부러워할 선진 강국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그러면서 "우리 정치권도 통일은 멀지 않았다는 점을 공감하고 통일 한국을 대비해 통일의 전과정과 관련한 심도있는 연구와 논의를 통해 박근혜정부의 강한 통일 의지가 실행에 옮겨질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의 한정애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총론에는 동의하나 구체적 해법이 안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이 독일 드레스덴에서 밝힌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구상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은 연설의 총론에는 동의하지만 설득력 있는 해법이 보이지 않는 것 역시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오늘 연설에서 비핵화나 북의 인권개선 등 북을 압박하는 표현 대신 인도주의, 공동번영, 통합의 원칙 등을 의미있게 밝힌 점은 눈에 띌만 하지만 오늘 연설에서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나오도록 구체적이고도 명쾌한 설득의 청사진이 제시되지 못한 점은 무척 아쉽다"고 꼬집었다.
또한 그는 "오늘 드레스덴 연설이나 통일준비위원회 구성 등을 놓고 협력의 파트너인 야당과의 소통이 거의 없었다는 점 역시 아쉬운 대목"이라며 "새정치민주연합은 일명 '통일대박론'을 통해 정부가 지나치게 통일문제에 대해 경제적으로 가볍게 접근할 것이 아니라 민족의 화해와 통합이라는 민족적이고도 역사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독일 드레스덴 선언과 관련, 여야 정치권이 엇갈린 입장을 드러냈다.
새누리당은 이번 박 대통령의 선언에 대해 전반적으로 호평했지만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은 구체적 해법을 찾을 수 없다며 비판하고 나섰다.
새누리당 박대출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지난 대통령 신년연설의 '통일 대박론'을 뒷받침하고 진전된 한반도 평화 통일 구상을 담은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독트린' 공표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50년 전 독일에서 아버지 대통령이 '경제 부흥의 기회'를 얻어와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했듯이 이제 딸 대통령이 통일 한국의 기회를 다시 얻어와 통일 고속도로를 건설할 수 있도록 계기가 마련된 것으로 높이 평가할 만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박 대통령은 남북한 주민들의 인도적 문제 해결, 공동번영을 위한 민생 인프라 구축, 동질성 회복 등 3대 제안을 통해 이산가족 정례화, 남북경협의 다변화, 남북교류협력 사무소 설치 등 구체적인 통일 방법론을 조목조목 제시했다"며 "남북이 물리적ㆍ화학적 결합을 심화시켜 공동번영의 경제공동체를 이뤄내 체제와 정신이 하나된 통일 한국을 이룩한다면 전세계가 부러워할 선진 강국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그러면서 "우리 정치권도 통일은 멀지 않았다는 점을 공감하고 통일 한국을 대비해 통일의 전과정과 관련한 심도있는 연구와 논의를 통해 박근혜정부의 강한 통일 의지가 실행에 옮겨질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의 한정애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총론에는 동의하나 구체적 해법이 안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이 독일 드레스덴에서 밝힌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구상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은 연설의 총론에는 동의하지만 설득력 있는 해법이 보이지 않는 것 역시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오늘 연설에서 비핵화나 북의 인권개선 등 북을 압박하는 표현 대신 인도주의, 공동번영, 통합의 원칙 등을 의미있게 밝힌 점은 눈에 띌만 하지만 오늘 연설에서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나오도록 구체적이고도 명쾌한 설득의 청사진이 제시되지 못한 점은 무척 아쉽다"고 꼬집었다.
또한 그는 "오늘 드레스덴 연설이나 통일준비위원회 구성 등을 놓고 협력의 파트너인 야당과의 소통이 거의 없었다는 점 역시 아쉬운 대목"이라며 "새정치민주연합은 일명 '통일대박론'을 통해 정부가 지나치게 통일문제에 대해 경제적으로 가볍게 접근할 것이 아니라 민족의 화해와 통합이라는 민족적이고도 역사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