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계, “시정잡배나 쓰는 말을 여당 원내대표가 한 것”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의 ‘막말 논란’을 두고 여야 공방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새누리당 김진태 의원은 4일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그때 본회의장에서 여러 사람이 얘기하고 야당 의원들이 더 많이 야유했는데 왜 갑자기 최경환 대표 한마디 한 것만 가지고 이렇게 되는지 좀 의아스러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야당이 했던 것을 생각해보면 귀태 발언했던 국회의원이 징계 받았는가, 아직도 처리 안 되고 있다”며 “거기다 남재준 국정원장 보고 뒤부터 제가 몇 개 예를 들어보니 그냥 다 욕설이다. 욕을 하던 사람들이 반말했다고 난리치는 형국”이라고 되받아쳤다.
그는 ‘윤리위에 제소하겠다’는 야당 측 입장에 대해 “반말했다고 윤리위에 제소한다고 하는데 윤리위에 지금 제소돼 있는 이석기 제명안부터 처리하라”며 “거기에 대해서는 협조도 하고 있지 않으면서 그저 우리 당 흠집내기에만 혈안이 돼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전후 사정을 보면 이해되는 면도 충분히 있는데, 안철수 의원이 최경환 원내대표에게 ‘그걸 왜 대통령 대신 사과합니까, 충정입니까, 월권입니까’라고 얘기를 했는데 ‘충정입니까, 월권입니까’가 아주 안 좋은 내용”이라며 “충정이라고 하는 것은 말 표현은 그럴 듯 해보이지만 ‘대통령에게 충성하는 거냐’라는 뜻으로 아주 인격적으로 모욕적인 표현”이라고 지적했다.
또 그는 “‘월권이냐’라고 하는 것은 당신이 무슨 권한으로 그걸 대신 사과하냐는 뜻인데 기초공천제 폐지하고 하는 게 전부 다 법을 만들어야 되는 것이다. 여당의 원내대표가 할 수 있는 제일 중요한 업무”라며 “월권 아니고 범위내에 있는 것이고, 오히려 그렇게 말하는 안철수 대표가 월권하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이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박범계 의원은 “전혀 반성의 기미가 없다”고 비난하고 나섰다.
박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새누리당의 최경환 원내대표가 본인이 정당공천폐지 공약을 지키지 않겠다고 공식적으로 천명을 한 것에 대해 안철수 대표께서 그것은 대통령에 대한 충정이냐, 월권이냐 이렇게 얘기를 한 것”이라며 “이것은 정당한 비판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격모독’이라는 김진태 의원의 비판에 대해 “그렇다면 입을 봉해야 되는 것인가”라며 “이 기초선거 정당공천폐지 문제는 굉장히 중요한 그냥 단순한 약속 정도가 아니고 적어도 기초선거는 풀뿌리 민주주의의 문제고 풀뿌리 민주주의가 정당에 예속되는 폐해를 막고자 하는 여야 공통의 공약이었다. 민주주의의 문제인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여야를 막론하고 일반 의원들이 상대 당의 대표, 혹은 대통령의 연설 중 비아냥거린다든지 조롱한다든지 또는 야유를 보내는 좋지 못한 관계가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너나 잘해’라는 시정잡배나 쓰는 그러한 말을 일반 의원이 하는 것도 참으로 듣기 민망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그러면서 “여든 야든 당의 대표나 원내대표가 이러한 막말을 한 사례가 있는지 되묻고 싶다”며 “야우와 비아냥 조롱이 있는 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집권 여당 원내대표가 한다는 것은 도가 한참 지나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경환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안철수 대표의 교섭단체 연설에서 나의 부적절한 발언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리게 됐다”며 “국민 여러분과 안철수 대표에게 사과드린다”고 공식 사과했다.
그는 “나도 할 말이 많지만 여당 원내대표로서 말의 품격을 지켰어야 했는데 그렇지 못해서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의 ‘막말 논란’을 두고 여야 공방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새누리당 김진태 의원은 4일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그때 본회의장에서 여러 사람이 얘기하고 야당 의원들이 더 많이 야유했는데 왜 갑자기 최경환 대표 한마디 한 것만 가지고 이렇게 되는지 좀 의아스러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야당이 했던 것을 생각해보면 귀태 발언했던 국회의원이 징계 받았는가, 아직도 처리 안 되고 있다”며 “거기다 남재준 국정원장 보고 뒤부터 제가 몇 개 예를 들어보니 그냥 다 욕설이다. 욕을 하던 사람들이 반말했다고 난리치는 형국”이라고 되받아쳤다.
그는 ‘윤리위에 제소하겠다’는 야당 측 입장에 대해 “반말했다고 윤리위에 제소한다고 하는데 윤리위에 지금 제소돼 있는 이석기 제명안부터 처리하라”며 “거기에 대해서는 협조도 하고 있지 않으면서 그저 우리 당 흠집내기에만 혈안이 돼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전후 사정을 보면 이해되는 면도 충분히 있는데, 안철수 의원이 최경환 원내대표에게 ‘그걸 왜 대통령 대신 사과합니까, 충정입니까, 월권입니까’라고 얘기를 했는데 ‘충정입니까, 월권입니까’가 아주 안 좋은 내용”이라며 “충정이라고 하는 것은 말 표현은 그럴 듯 해보이지만 ‘대통령에게 충성하는 거냐’라는 뜻으로 아주 인격적으로 모욕적인 표현”이라고 지적했다.
또 그는 “‘월권이냐’라고 하는 것은 당신이 무슨 권한으로 그걸 대신 사과하냐는 뜻인데 기초공천제 폐지하고 하는 게 전부 다 법을 만들어야 되는 것이다. 여당의 원내대표가 할 수 있는 제일 중요한 업무”라며 “월권 아니고 범위내에 있는 것이고, 오히려 그렇게 말하는 안철수 대표가 월권하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이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박범계 의원은 “전혀 반성의 기미가 없다”고 비난하고 나섰다.
박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새누리당의 최경환 원내대표가 본인이 정당공천폐지 공약을 지키지 않겠다고 공식적으로 천명을 한 것에 대해 안철수 대표께서 그것은 대통령에 대한 충정이냐, 월권이냐 이렇게 얘기를 한 것”이라며 “이것은 정당한 비판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격모독’이라는 김진태 의원의 비판에 대해 “그렇다면 입을 봉해야 되는 것인가”라며 “이 기초선거 정당공천폐지 문제는 굉장히 중요한 그냥 단순한 약속 정도가 아니고 적어도 기초선거는 풀뿌리 민주주의의 문제고 풀뿌리 민주주의가 정당에 예속되는 폐해를 막고자 하는 여야 공통의 공약이었다. 민주주의의 문제인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여야를 막론하고 일반 의원들이 상대 당의 대표, 혹은 대통령의 연설 중 비아냥거린다든지 조롱한다든지 또는 야유를 보내는 좋지 못한 관계가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너나 잘해’라는 시정잡배나 쓰는 그러한 말을 일반 의원이 하는 것도 참으로 듣기 민망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그러면서 “여든 야든 당의 대표나 원내대표가 이러한 막말을 한 사례가 있는지 되묻고 싶다”며 “야우와 비아냥 조롱이 있는 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집권 여당 원내대표가 한다는 것은 도가 한참 지나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경환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안철수 대표의 교섭단체 연설에서 나의 부적절한 발언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리게 됐다”며 “국민 여러분과 안철수 대표에게 사과드린다”고 공식 사과했다.
그는 “나도 할 말이 많지만 여당 원내대표로서 말의 품격을 지켰어야 했는데 그렇지 못해서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