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가 몸통으로 바뀐 檢 수사다"
새누리 김진태 의원 "남재준 국정원장 사퇴? 전쟁중 장수 교체법 없다"
새민련 박범계 의원 "남재준 원장 몰랐다면 지휘 관리 책임 물어야"
[시민일보=전용혁 기자]검찰이 공무원 간첩사건 증거조작 의혹과 관련, 남재준 국정원장 등 국정원 핵심 간부들이 증거조작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가운데 여야 정치권이 이를 두고 날선 공방을 벌이고 있다.
새누리당 김진태 의원은 15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검찰의 발표가)마음에 안 든다”며 “지금 기소된 사람들도 상당부분 무죄가 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검찰이 어떤 목표를 정해놓고 워낙 여론이 안 좋아지니까 나중에 이 수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특검에 갈지도 모른다고 해서 무리하게 수사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며 “뻔히 간첩재판을 받는데 증거가 부족해서 1심에서 무죄를 받는 이런 상황에 대해 국정원 일부 직원이 조금 일탈행위를 했을 수는 있는데 이제 그건 재판을 받아봐야 하는 것이고 그것이 국정원 조직적으로 상부에서 다 알고 이렇게 했다는 건 상상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조작이 밝혀진 사안에 대해서는 “국정원 직원이 협조자가 위조했다는 걸 알고 했는지 그게 문제인데 그것도 국정원에서 부인하고 있다”며 “그런데 그 위에 고위간부들까지 다 연루되지 않았느냐 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인정하기가 어려운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물론 증거조작을 해도 된다는 건 아니지만 이 사건의 비중, 어떤 것이 본질인가를 봐야 하는 것”이라며 “정말 만약 간첩을 제대로 재판하지 못하게 됐을 때 국정원이 약화되고 국가 안보가 약화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런 것도 충분히 알려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국정원 직원의 관리감독 문제에 대해서는 “그건 형사적인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국정원 2차장이 사표를 냈다고 보면 되는 것”이라며 “그걸 왜 처음 국정원 감찰 기능이 발동했어야 되는데 이게 미흡하지 않았냐고 하는데 지금 검찰이 나서서 강도 높게 수사해서 국정원 권 과장은 자살기도까지 했는데 이걸 국정원이 당초에 감찰했다고 하면 그걸 누가 믿으려고 했겠는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남재준 국정원장의 책임론에 대해서는 “전쟁 중 장수를 바꾸는 법은 없다. 만약 남재준 원장이 사퇴한다고 하면 야당에서 잘했다고 하겠는가. 그때는 또 다시 국정원 수사권 폐지하자고 주장할 것”이라며 “여기에 휘둘릴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박범계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양치기 소년 우화에도 있듯이 국정원의 정상적인 수사조차도 의심을 받게 돼 결국 헌법수호기관이 헌법을 제대로 지키지 못하는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검찰 수사 결과를 보면 남재준 원장은 유임이고, 2차장은 사표, 3급의 팀장은 불구속 기소, 4급의 김 모 과장은 구속 기소인데 이것은 꼬리가 몸통으로 바뀐 수사”라며 “이것을 조사한 검사들도 스스로 부끄러운 수사라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질타했다.
그는 국정원 윗선 개입 가능성에 대해서는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은 국정원장과 3차장, 심리전단장, 즉 지휘부서를 기소를 했고 휘하에 실제로 여론조작을 했던 사람들은 다 기소유예나 불기소 처분을 했다”며 “이 사건은 간첩 사건으로서 박근혜 정권이 들어서는 그 해에 야심차게 기획한 사건인데 무죄가 났으니 굉장히 큰 난리가 난 것이다. 그러면 이것이 과연 3급 팀장까지만 보고됐을까 이것은 상식에 반하는 얘기라고 말씀드리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남 국정원장 책임론에 대해서는 “과연 서천호 2차장의 사표만으로 이 문제를 봉합할 수 있는 것인지, 만약에 국정원장이, 또 서천호 2차장이 이것을 몰랐다면 국정원에 심각한 조직보고체계의 왜곡이 발생한 것”이라며 “이것 자체만으로도 지휘 관리 책임을 국정원장이 져야 하는 것”이라고 사퇴를 촉구하고 나섰다.
새누리 김진태 의원 "남재준 국정원장 사퇴? 전쟁중 장수 교체법 없다"
새민련 박범계 의원 "남재준 원장 몰랐다면 지휘 관리 책임 물어야"
[시민일보=전용혁 기자]검찰이 공무원 간첩사건 증거조작 의혹과 관련, 남재준 국정원장 등 국정원 핵심 간부들이 증거조작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가운데 여야 정치권이 이를 두고 날선 공방을 벌이고 있다.
새누리당 김진태 의원은 15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검찰의 발표가)마음에 안 든다”며 “지금 기소된 사람들도 상당부분 무죄가 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검찰이 어떤 목표를 정해놓고 워낙 여론이 안 좋아지니까 나중에 이 수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특검에 갈지도 모른다고 해서 무리하게 수사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며 “뻔히 간첩재판을 받는데 증거가 부족해서 1심에서 무죄를 받는 이런 상황에 대해 국정원 일부 직원이 조금 일탈행위를 했을 수는 있는데 이제 그건 재판을 받아봐야 하는 것이고 그것이 국정원 조직적으로 상부에서 다 알고 이렇게 했다는 건 상상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조작이 밝혀진 사안에 대해서는 “국정원 직원이 협조자가 위조했다는 걸 알고 했는지 그게 문제인데 그것도 국정원에서 부인하고 있다”며 “그런데 그 위에 고위간부들까지 다 연루되지 않았느냐 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인정하기가 어려운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물론 증거조작을 해도 된다는 건 아니지만 이 사건의 비중, 어떤 것이 본질인가를 봐야 하는 것”이라며 “정말 만약 간첩을 제대로 재판하지 못하게 됐을 때 국정원이 약화되고 국가 안보가 약화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런 것도 충분히 알려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국정원 직원의 관리감독 문제에 대해서는 “그건 형사적인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국정원 2차장이 사표를 냈다고 보면 되는 것”이라며 “그걸 왜 처음 국정원 감찰 기능이 발동했어야 되는데 이게 미흡하지 않았냐고 하는데 지금 검찰이 나서서 강도 높게 수사해서 국정원 권 과장은 자살기도까지 했는데 이걸 국정원이 당초에 감찰했다고 하면 그걸 누가 믿으려고 했겠는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남재준 국정원장의 책임론에 대해서는 “전쟁 중 장수를 바꾸는 법은 없다. 만약 남재준 원장이 사퇴한다고 하면 야당에서 잘했다고 하겠는가. 그때는 또 다시 국정원 수사권 폐지하자고 주장할 것”이라며 “여기에 휘둘릴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박범계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양치기 소년 우화에도 있듯이 국정원의 정상적인 수사조차도 의심을 받게 돼 결국 헌법수호기관이 헌법을 제대로 지키지 못하는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검찰 수사 결과를 보면 남재준 원장은 유임이고, 2차장은 사표, 3급의 팀장은 불구속 기소, 4급의 김 모 과장은 구속 기소인데 이것은 꼬리가 몸통으로 바뀐 수사”라며 “이것을 조사한 검사들도 스스로 부끄러운 수사라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질타했다.
그는 국정원 윗선 개입 가능성에 대해서는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은 국정원장과 3차장, 심리전단장, 즉 지휘부서를 기소를 했고 휘하에 실제로 여론조작을 했던 사람들은 다 기소유예나 불기소 처분을 했다”며 “이 사건은 간첩 사건으로서 박근혜 정권이 들어서는 그 해에 야심차게 기획한 사건인데 무죄가 났으니 굉장히 큰 난리가 난 것이다. 그러면 이것이 과연 3급 팀장까지만 보고됐을까 이것은 상식에 반하는 얘기라고 말씀드리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남 국정원장 책임론에 대해서는 “과연 서천호 2차장의 사표만으로 이 문제를 봉합할 수 있는 것인지, 만약에 국정원장이, 또 서천호 2차장이 이것을 몰랐다면 국정원에 심각한 조직보고체계의 왜곡이 발생한 것”이라며 “이것 자체만으로도 지휘 관리 책임을 국정원장이 져야 하는 것”이라고 사퇴를 촉구하고 나섰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