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민련 "무한 책임지고 대책까지 내놓고 가야"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세월호 침몰 사고의 총체적 책임을 지고 정홍원 국무총리가 사의를 표명했지만 정치권에서는 여야를 불문하고 ‘전면 개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새누리당 홍일표 의원은 29일 오전 KBS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사건으로 인해 정부에 대한 국민의 불신, 신뢰가 크게 떨어졌기 때문에 정부가 아주 전면 개각이라는 어떤 국정쇄신 의지를 표명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서 “(사고가)빨리 수습이 되고 수습이 된 후 정부가 세월호 참사 이전과 이후는 전부 달라져야 한다는 각오로 바뀌어야 되는데 그런 점에서 국정 쇄신의 강력한 의지 표명을 위해 개각을 해야 된다고 보지만 그 시기가 사고 수습이 언제 됐다고 볼 수 있느냐에 달려있는 것이지, 지방선거 일정을 고려해서 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홍 의원은 이번 정홍원 총리의 사의 표명에 대해서는 “총리는 내각의 총괄책임자이기 때문에 이번 사고에 대해 무한책임을 진다는 의사를 표명하다보니까 사의 표명으로 나온 것으로 보여지고, 이번 사건에 대해 정부에 문제가 없었다면 이걸 고치기 위해서는 내각 총사퇴라는 얘기까지 나오는 마당에 총리가 그만둬야 할 때냐 하는 얘기가 나오는 것 같다”며 “총리로서는 어쨌든 책임진다는 자세 표명이 지금 이 순간이라도 나와야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렇게 한 것으로 이해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 문제에 대해서도 “대통령도 지금 사과의 시기와 방법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그는 “문제는 국민들이 지금 보고 싶은 게 국가적 위기를 당했을 때 정치권이 여야를 떠나 초당적으로 협력하면서 사태를 수습해가는 모습”이라며 “대통령이 사고 직후 현장에 갔고 사고 수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야당은 대통령을 중심으로 빨리 수습해나가자는 태도를 보이는 게 적절했지, 대통령 흔들기로 보이는 것은 적절하지 못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현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먼저 정홍원 국무총리의 사의 표명에 대해 “정홍원 국무총리는 사건을 수습하고 현장을 지휘하고 감독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으신 분인데, 이분이 개인적으로 왜 책임을 통감하지 않겠냐만 그것의 방법을 사퇴라고 들고 나왔는데 지금은 사건을 수습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대통령을 보좌해서 대통령의 명을 받아 행정부의 기능을 강화해 이 사건을 수습해야 되는데 선장이 배를 떠나오듯이 저는 항해사가 배를 떠나오는 것이라고 비유를 하고 싶다”며 “지금 국무총리는 중앙재해대책본부장으로 대통령에게 명을 받았는데 17일 오후 그 역할을 하다가 다시 해수부 장관에게 그 권한을 넘겼다. 그렇게 하면 안 되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그는 개각 문제에 대해서는 “라면 먹는 장관, 경찰 임용식의 사진을 찍기 위해 긴급한 상황이라는 보고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 뒤늦게 도착한 장관, 사건을 책임지고 관리감독, 현장에서 지휘해야 될 차관, 또는 해수부 장관의 무능함 등 많다”며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지금은 그것을 물을 때가 아니고 사건을 수습하고 그 다음에 국민들의 무너져 내리는 가슴을 다시 한 번 쓸어내리는 것을 행정부의 수반들이 해야 될 역할이고, 그 다음에 책임을 물어도 늦지 않다”며 “그 책임은 스스로가 무한하게 지고 앞으로 어떻게 할 건지에 대한 대책까지도 내놓고 가는 것이 공직자의 자세”라고 말했다.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세월호 침몰 사고의 총체적 책임을 지고 정홍원 국무총리가 사의를 표명했지만 정치권에서는 여야를 불문하고 ‘전면 개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새누리당 홍일표 의원은 29일 오전 KBS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사건으로 인해 정부에 대한 국민의 불신, 신뢰가 크게 떨어졌기 때문에 정부가 아주 전면 개각이라는 어떤 국정쇄신 의지를 표명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서 “(사고가)빨리 수습이 되고 수습이 된 후 정부가 세월호 참사 이전과 이후는 전부 달라져야 한다는 각오로 바뀌어야 되는데 그런 점에서 국정 쇄신의 강력한 의지 표명을 위해 개각을 해야 된다고 보지만 그 시기가 사고 수습이 언제 됐다고 볼 수 있느냐에 달려있는 것이지, 지방선거 일정을 고려해서 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홍 의원은 이번 정홍원 총리의 사의 표명에 대해서는 “총리는 내각의 총괄책임자이기 때문에 이번 사고에 대해 무한책임을 진다는 의사를 표명하다보니까 사의 표명으로 나온 것으로 보여지고, 이번 사건에 대해 정부에 문제가 없었다면 이걸 고치기 위해서는 내각 총사퇴라는 얘기까지 나오는 마당에 총리가 그만둬야 할 때냐 하는 얘기가 나오는 것 같다”며 “총리로서는 어쨌든 책임진다는 자세 표명이 지금 이 순간이라도 나와야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렇게 한 것으로 이해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 문제에 대해서도 “대통령도 지금 사과의 시기와 방법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그는 “문제는 국민들이 지금 보고 싶은 게 국가적 위기를 당했을 때 정치권이 여야를 떠나 초당적으로 협력하면서 사태를 수습해가는 모습”이라며 “대통령이 사고 직후 현장에 갔고 사고 수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야당은 대통령을 중심으로 빨리 수습해나가자는 태도를 보이는 게 적절했지, 대통령 흔들기로 보이는 것은 적절하지 못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현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먼저 정홍원 국무총리의 사의 표명에 대해 “정홍원 국무총리는 사건을 수습하고 현장을 지휘하고 감독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으신 분인데, 이분이 개인적으로 왜 책임을 통감하지 않겠냐만 그것의 방법을 사퇴라고 들고 나왔는데 지금은 사건을 수습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대통령을 보좌해서 대통령의 명을 받아 행정부의 기능을 강화해 이 사건을 수습해야 되는데 선장이 배를 떠나오듯이 저는 항해사가 배를 떠나오는 것이라고 비유를 하고 싶다”며 “지금 국무총리는 중앙재해대책본부장으로 대통령에게 명을 받았는데 17일 오후 그 역할을 하다가 다시 해수부 장관에게 그 권한을 넘겼다. 그렇게 하면 안 되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그는 개각 문제에 대해서는 “라면 먹는 장관, 경찰 임용식의 사진을 찍기 위해 긴급한 상황이라는 보고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 뒤늦게 도착한 장관, 사건을 책임지고 관리감독, 현장에서 지휘해야 될 차관, 또는 해수부 장관의 무능함 등 많다”며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지금은 그것을 물을 때가 아니고 사건을 수습하고 그 다음에 국민들의 무너져 내리는 가슴을 다시 한 번 쓸어내리는 것을 행정부의 수반들이 해야 될 역할이고, 그 다음에 책임을 물어도 늦지 않다”며 “그 책임은 스스로가 무한하게 지고 앞으로 어떻게 할 건지에 대한 대책까지도 내놓고 가는 것이 공직자의 자세”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