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신임 국무총리로 안대희 전 대법관이 임명된 것을 두고 여야가 미묘한 입장차를 드러냈다.
새누리당 조해진 비대위원은 23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이 시점에서 국민들께서 가장 바라시는 게 실질적인 권한을 가지고 책임을 다할 수 있는 책임총리인데 그런 측면에서는 잘 된 인선”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안대희 내정자께서는 책임총리의 역할을 잘 감당할 수 있는 분이고 그동안 쭉 살아온 경력을 보면 소신과 신념이 분명한 분”이라며 “대통령을 모시게 될 경우 국민의 마음을 가감 없이 그대로 전할 수 있는 분이고, 검사시절부터 그 뒤에 대법관 때나 이후 모든 과정에서 보면 개혁에 대한 의지와 비전이 분명한 분 같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대선과정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운 부분에 대해 “(안 내정자가)지난 대통령 선거 때 새누리당에서 정치쇄신위원장을 하셨는데 그때 본인의 개혁적인 주장이 당내 여러 가지 사정 때문에 안 받아들여졌을 때 그만두셨는데 그 때 그 분의 지향점이 분명히 보였다”며 “개혁해야 된다는 국민적 명분을 가지고 건의할 건 건의하고 여러 차례 고언을 했는데 안 될 경우 자리에 연연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에도 총리가 되신다면 저는 총리 자리에 연연해가지고 국민의 뜻을 제대로 전달 안 하고 굴절시키는 그런 일은 전혀 안 하실 분 같다”며 “단, 총리라는 지위가 워낙 막중하기 때문에 대통령과의 관계에서 최대한 국민의 뜻을 전하면서도 책임 있는 위치의 역할을 잘 할 수 있도록 정치력을 발휘할 것이고, 의도적으로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운다든가 하는 분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김기춘 비서실장의 유임 문제에 대해서는 “청와대 인사는 아직 뚜껑도 열리지 않은 상태인데 먼저 넘겨짚어서 누구는 바뀔 거다, 누구는 남을 거다라는 것을 전제로 해서 비판하는 건 옳지 않다”며 “이번에 총리나 국정원장, 청와대 안보실장까지 바꾸는 걸 보면 확실한 건 대통령께서 정부조직을 대대적으로 개편할 뜻은 분명히 갖고 계신 것 같다”고 말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우원식 최고위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안 내정자는)대통령이 좋아하시는 영남, 법조인, 대선캠프 출신인데 늘 대통령이 선택하는 기준 안에 계시는 분”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그는 “법조인 출신이 아무래도 특성상 소통이나 조정능력보다는 공권력 집행, 이런 데에 스타일 방점이 찍혀 있는데, 김기춘 비서실장을 비롯해 총리까지 검찰 출신으로 하는 것에 대해 지금이 딱 맞는가. 검찰 통치의 기조가 더욱 강화될 수밖에 없다는 걱정도 있다”며 “또 대법관 출신으로 처음 대선 캠프에 들어갈 때도 문제가 있었는데 이번에 총리로 기용함으로 해서 삼권분립정신을 훼손시키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안대희 내정자가 국가개조 작업에 필요한 인물이라는 박근혜 대통령의 평가에 대해 “안대희 후보가 검사인 시절에 검사로서의 역할 하는 것과 국무총리라고 하는 정치적 판단과 선택을 해야 하는 자리에 있어서 그건 굉장히 다른 일”이라며 “오히려 이런 문제까지를 포함해서 잘 관리하고 또 한편으로 국민들의 마음 닫힌 마음을 잘 수습하고 국민통합으로 나설 수 있도록 리더십이 필요한 측면이 있기 때문에 이런 것들을 조화롭게 할 수 있는 사람이 총리가 돼야 하는 게 맞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너무 한쪽 면만 강조해서 그것도 검사시절의 이미지만을 강조해서 그것을 곧바로 총리의 자리로 한다”며 “그건 썩 바람직한 일은 아니라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안보실장과 국정원장이 경질된 부분에 대해서는 “청와대 안보실장이 해임된 것은 청와대가 컨트롤타워가 아니라는 얘기이기 때문에 너무나 무책임하다. 이런 사건에 국가적 구조력을 만들려면 총리 또는 청와대, 대통령까지 나서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컨트롤타워가 아니라고 하면서 뒷짐 진 청와대의 문제제기 아닌가”라며 “그렇다면 안보실장 뿐 아니라 청와대를 책임지고 있는 김기춘 비서실장에게 책임을 물었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새누리당 조해진 비대위원은 23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이 시점에서 국민들께서 가장 바라시는 게 실질적인 권한을 가지고 책임을 다할 수 있는 책임총리인데 그런 측면에서는 잘 된 인선”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안대희 내정자께서는 책임총리의 역할을 잘 감당할 수 있는 분이고 그동안 쭉 살아온 경력을 보면 소신과 신념이 분명한 분”이라며 “대통령을 모시게 될 경우 국민의 마음을 가감 없이 그대로 전할 수 있는 분이고, 검사시절부터 그 뒤에 대법관 때나 이후 모든 과정에서 보면 개혁에 대한 의지와 비전이 분명한 분 같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대선과정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운 부분에 대해 “(안 내정자가)지난 대통령 선거 때 새누리당에서 정치쇄신위원장을 하셨는데 그때 본인의 개혁적인 주장이 당내 여러 가지 사정 때문에 안 받아들여졌을 때 그만두셨는데 그 때 그 분의 지향점이 분명히 보였다”며 “개혁해야 된다는 국민적 명분을 가지고 건의할 건 건의하고 여러 차례 고언을 했는데 안 될 경우 자리에 연연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에도 총리가 되신다면 저는 총리 자리에 연연해가지고 국민의 뜻을 제대로 전달 안 하고 굴절시키는 그런 일은 전혀 안 하실 분 같다”며 “단, 총리라는 지위가 워낙 막중하기 때문에 대통령과의 관계에서 최대한 국민의 뜻을 전하면서도 책임 있는 위치의 역할을 잘 할 수 있도록 정치력을 발휘할 것이고, 의도적으로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운다든가 하는 분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김기춘 비서실장의 유임 문제에 대해서는 “청와대 인사는 아직 뚜껑도 열리지 않은 상태인데 먼저 넘겨짚어서 누구는 바뀔 거다, 누구는 남을 거다라는 것을 전제로 해서 비판하는 건 옳지 않다”며 “이번에 총리나 국정원장, 청와대 안보실장까지 바꾸는 걸 보면 확실한 건 대통령께서 정부조직을 대대적으로 개편할 뜻은 분명히 갖고 계신 것 같다”고 말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우원식 최고위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안 내정자는)대통령이 좋아하시는 영남, 법조인, 대선캠프 출신인데 늘 대통령이 선택하는 기준 안에 계시는 분”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그는 “법조인 출신이 아무래도 특성상 소통이나 조정능력보다는 공권력 집행, 이런 데에 스타일 방점이 찍혀 있는데, 김기춘 비서실장을 비롯해 총리까지 검찰 출신으로 하는 것에 대해 지금이 딱 맞는가. 검찰 통치의 기조가 더욱 강화될 수밖에 없다는 걱정도 있다”며 “또 대법관 출신으로 처음 대선 캠프에 들어갈 때도 문제가 있었는데 이번에 총리로 기용함으로 해서 삼권분립정신을 훼손시키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안대희 내정자가 국가개조 작업에 필요한 인물이라는 박근혜 대통령의 평가에 대해 “안대희 후보가 검사인 시절에 검사로서의 역할 하는 것과 국무총리라고 하는 정치적 판단과 선택을 해야 하는 자리에 있어서 그건 굉장히 다른 일”이라며 “오히려 이런 문제까지를 포함해서 잘 관리하고 또 한편으로 국민들의 마음 닫힌 마음을 잘 수습하고 국민통합으로 나설 수 있도록 리더십이 필요한 측면이 있기 때문에 이런 것들을 조화롭게 할 수 있는 사람이 총리가 돼야 하는 게 맞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너무 한쪽 면만 강조해서 그것도 검사시절의 이미지만을 강조해서 그것을 곧바로 총리의 자리로 한다”며 “그건 썩 바람직한 일은 아니라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안보실장과 국정원장이 경질된 부분에 대해서는 “청와대 안보실장이 해임된 것은 청와대가 컨트롤타워가 아니라는 얘기이기 때문에 너무나 무책임하다. 이런 사건에 국가적 구조력을 만들려면 총리 또는 청와대, 대통령까지 나서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컨트롤타워가 아니라고 하면서 뒷짐 진 청와대의 문제제기 아닌가”라며 “그렇다면 안보실장 뿐 아니라 청와대를 책임지고 있는 김기춘 비서실장에게 책임을 물었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