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인사위원장 맡아··· 일정 정도 책임 있어"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의 사퇴와 관련, 여당인 새누리당에서도 청와대 인사위원장인 김기춘 비서실장의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새누리당 홍일표 의원은 30일 오전 tbs <열린아침 송정애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김기춘 실장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당연히 그래야 할 것”이라며 “이 엄중한 시기에 세월호 참사로 인해 대통령이 눈물을 보이면서 사과 담화까지 했고, 거기에 대한 개혁 작업의 첫 조치로 총리 인선을 했던 것인데 이것이 잘못 보좌돼서 이렇게 큰 잘못된 결과로 나온 것에 대해서는 책임 또한 반드시 물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번 안대희 전 후보자의 인사과정에 대해서는 “청와대 인사검증 라인에 있는 민정수석 비서관실 비서관 다섯 명 중 네 명이 대형 로펌 변호사 출신이라고 하는데 그렇다 보니 자기들 기준으로만 생각해서 예를 들면 대법관 출신으로서 이 정도면 과하지 않다고 생각하다 보니 국민 눈높이에 못 미쳤다, 집단적 사고를 벗어나지 못했다고 말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인사검증 과정에서의 부실이었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청와대의 인사시스템에 대해 “법조인 출신들이 검증라인에 많이 있었고 국민들과 생각을 같이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보완이 덜 돼 있었다”며 “한편으로는 이런 파동을 보면서 생각해봐야 할 것이 청문회의 기준이 점점 높아져서, 또 이런 청문회를 앞두고 후보자에 대한 검증을 하는 절차나 과정이 너무 좀 지나친 면이 있다고 보여진다”고 설명했다.
같은 당 주호영 정책위의장도 전날인 29일 오후 tbs <퇴근길 이철희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안대희 전 후보자의 사퇴와 관련한 김기춘 비서실장의 책임 문제에 대해 “인사위원장을 맡고 계셨기 때문에 일정 정도의 책임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단, 안대희 후보자를 총리로 결정하기까지의 과정이 각각 비율이 다를 것인데 검증하는 공직검증팀이라든지, 민정팀에서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 어떻게 보고됐는지 이런 것을 다 따져봐야 하기 때문에 책임자로서의 책임은 있지만 그 책임이 어느 정도일지는 그 과정을 다시 체크해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의 사퇴와 관련, 여당인 새누리당에서도 청와대 인사위원장인 김기춘 비서실장의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새누리당 홍일표 의원은 30일 오전 tbs <열린아침 송정애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김기춘 실장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당연히 그래야 할 것”이라며 “이 엄중한 시기에 세월호 참사로 인해 대통령이 눈물을 보이면서 사과 담화까지 했고, 거기에 대한 개혁 작업의 첫 조치로 총리 인선을 했던 것인데 이것이 잘못 보좌돼서 이렇게 큰 잘못된 결과로 나온 것에 대해서는 책임 또한 반드시 물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번 안대희 전 후보자의 인사과정에 대해서는 “청와대 인사검증 라인에 있는 민정수석 비서관실 비서관 다섯 명 중 네 명이 대형 로펌 변호사 출신이라고 하는데 그렇다 보니 자기들 기준으로만 생각해서 예를 들면 대법관 출신으로서 이 정도면 과하지 않다고 생각하다 보니 국민 눈높이에 못 미쳤다, 집단적 사고를 벗어나지 못했다고 말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인사검증 과정에서의 부실이었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청와대의 인사시스템에 대해 “법조인 출신들이 검증라인에 많이 있었고 국민들과 생각을 같이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보완이 덜 돼 있었다”며 “한편으로는 이런 파동을 보면서 생각해봐야 할 것이 청문회의 기준이 점점 높아져서, 또 이런 청문회를 앞두고 후보자에 대한 검증을 하는 절차나 과정이 너무 좀 지나친 면이 있다고 보여진다”고 설명했다.
같은 당 주호영 정책위의장도 전날인 29일 오후 tbs <퇴근길 이철희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안대희 전 후보자의 사퇴와 관련한 김기춘 비서실장의 책임 문제에 대해 “인사위원장을 맡고 계셨기 때문에 일정 정도의 책임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단, 안대희 후보자를 총리로 결정하기까지의 과정이 각각 비율이 다를 것인데 검증하는 공직검증팀이라든지, 민정팀에서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 어떻게 보고됐는지 이런 것을 다 따져봐야 하기 때문에 책임자로서의 책임은 있지만 그 책임이 어느 정도일지는 그 과정을 다시 체크해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