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상털기식 청문회 개선 필요성, 통과 되더라도 누더기 총리 돼"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새누리당 김태호 의원이 최근 문창극 총리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과 관련, “국무총리제보다는 정ㆍ부통령제로 가는 게 맞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이명박정부에서 총리 후보자로 지명됐다가 청문회를 통과하지 못해 낙마한 바 있는 김 의원은 16일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저도 3년 전에 40대 국무총리로 지명됐던 사람인데, 신상털기식 청문회로 설사 후보자가 통과되더라도 이미 누더기 총리로, 바보총리가 된다. 일을 하려면 국민들의 신뢰를 전제로 해야 되는데 이미 신뢰가 깨진 상태로 가버리기 때문에 이런 청문회 제도는 개선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오히려 국민들이 대통령을 뽑을 때 사실상의 부대통령이 책임총리 책임을 갖게 하고, 그래서 총리를 국민이 선택하면 대통령이 눈치도 그렇게 보지 않고 견제도 하면서 정말 국민만 바라보면서 임기 보장되면 일할 수 있지 않겠는가”라며 “제도의 변화가 이뤄지는 게 좋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래서 화합형으로 세대를 아우를 수도 있고, 또 지역을 아우를 수도 있고, 남녀 성별을 아우를 수 있으며, 남북의 문제, 통일까지도 고려할 수 있는 제도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문창극 후보자 논란에 대해서는 “총리 자격 기준은 엄격해야 하지만 또 완벽한 사람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개인적으로 볼 때 종교적으로 문 후보의 발언에 대해서는 이해가 되지만 총리 후보자의 자격으로 봤을 때 문제가 된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또 후보자가 충분히 사과하고 있고 반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은 고려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가의 역사인식이라든지 국가 정치적 부분에서는 심각하고 면밀하게 따져야 하지만 내용적으로 보면 종교인의 자세로, 종교인 입장에서 보면 또 이해되는 부분도 있다”며 “그런 부분에 대해 또 사과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것을 끝까지 문제 삼아 국가 전체로 봤을 때 국정 운영에 나름대로 고려할 부분도 있지 않겠는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문제가 있으면 청문회 과정에서 후보자의 소명을 통해 국민들에게 정확하게 알려질 것이고 국민에게 또 판단의 기회도 줘야 할 것”이라며 “그 사람의 전체 과정을 보면서, 또 발전된 모습의 과정도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번 부분은 청문회 과정에서 충분히 국민들이 한 번 판단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새누리당 김태호 의원이 최근 문창극 총리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과 관련, “국무총리제보다는 정ㆍ부통령제로 가는 게 맞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이명박정부에서 총리 후보자로 지명됐다가 청문회를 통과하지 못해 낙마한 바 있는 김 의원은 16일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저도 3년 전에 40대 국무총리로 지명됐던 사람인데, 신상털기식 청문회로 설사 후보자가 통과되더라도 이미 누더기 총리로, 바보총리가 된다. 일을 하려면 국민들의 신뢰를 전제로 해야 되는데 이미 신뢰가 깨진 상태로 가버리기 때문에 이런 청문회 제도는 개선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오히려 국민들이 대통령을 뽑을 때 사실상의 부대통령이 책임총리 책임을 갖게 하고, 그래서 총리를 국민이 선택하면 대통령이 눈치도 그렇게 보지 않고 견제도 하면서 정말 국민만 바라보면서 임기 보장되면 일할 수 있지 않겠는가”라며 “제도의 변화가 이뤄지는 게 좋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래서 화합형으로 세대를 아우를 수도 있고, 또 지역을 아우를 수도 있고, 남녀 성별을 아우를 수 있으며, 남북의 문제, 통일까지도 고려할 수 있는 제도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문창극 후보자 논란에 대해서는 “총리 자격 기준은 엄격해야 하지만 또 완벽한 사람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개인적으로 볼 때 종교적으로 문 후보의 발언에 대해서는 이해가 되지만 총리 후보자의 자격으로 봤을 때 문제가 된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또 후보자가 충분히 사과하고 있고 반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은 고려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가의 역사인식이라든지 국가 정치적 부분에서는 심각하고 면밀하게 따져야 하지만 내용적으로 보면 종교인의 자세로, 종교인 입장에서 보면 또 이해되는 부분도 있다”며 “그런 부분에 대해 또 사과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것을 끝까지 문제 삼아 국가 전체로 봤을 때 국정 운영에 나름대로 고려할 부분도 있지 않겠는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문제가 있으면 청문회 과정에서 후보자의 소명을 통해 국민들에게 정확하게 알려질 것이고 국민에게 또 판단의 기회도 줘야 할 것”이라며 “그 사람의 전체 과정을 보면서, 또 발전된 모습의 과정도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번 부분은 청문회 과정에서 충분히 국민들이 한 번 판단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