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새누리당 7·14 전당대회 출마를 선언한 홍문종 의원이 24일 '오픈 프라이머리(국민참여경선)' 식의 상향식 공천을 "무책임하다"고 비판해 눈길을 끌었다.
홍 의원은 이날 <시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새누리당 강세 지역에선 여성이나 장애인, 청년, 정치신인 등 정치적 약자를 등용할 수 있는 문을 열어놓아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공천권 내려놓기'가 새누리당 전당대회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홍 의원의 이같은 발언은 서청원-김무성 의원이 ‘오픈프라이머리 정착’을 강조하는 것과 비교대는 대목이어서 주목된다.
이에 따라 전당대회를 앞두고 홍문종 발(發) 공천권 개혁 논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홍 의원은 “미국도 당이 괜찮은 후보를 골라 전략적으로 지원한다”면서 “지도부가 사심(私心)을 가지고 특정 인맥을 공천해서는 안 되지만, 국민의 뜻 잘 반영해 좋은 사람을 등용하는 길을 차단해서도 안 된다. 둘 사이를 헷갈리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당 대표를 하겠다는 분들이 모두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말한다. ‘국민 뜻에 따라 공천하겠다’는 맞는 말이지만 굉장히 무책임한 소리”라며 “실질적으로 그렇게 하면 당은 망하는 거다. 전략적 판단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새누리당 지지도가 높은 곳에는 청년과 여성, 사회적 소수자 등을 공천할 수 있는 분위기가 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특히 일부 언론에서 서청원 의원과 자신을 일종의 ‘러닝메이트’로 보는 시각에 대해 홍 의원은 "김무성 의원보다는 서 의원과 더 공통점이 많다고 볼 수 있으나 제 나름의 정치 철학이 있고 당을 바라보는 시선에 있어서는 서 의원과 좀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그는 "이번 전당대회는 친박(親朴)·비박(非朴)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이 정부의 성공을 이끌 수 있는 사람을 뽑는 선거"라며 "당을 하나로 통합할 50대가 당대표가 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홍 의원은 다른 당권주자들이 일제히 대통령과 청와대에 대해 대립각을 세우는 모습에 대해 "대통령을 때리고 청와대를 비판하는 것이 지나쳐서 자해 행위처럼 비쳐서는 안 된다"며 “‘대통령의 성공에 내가 적임자다’ ‘내가 효자다’라고 말하면서 하는 행동은 불효자와 똑같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전당대회에 여론조사 결과가 30% 반영된다. 그러다보니 바깥사람들의 인기를 얻기 위해서 집안에서 불효자처럼 행동을 하기도 한다”며 “그것이 무슨 성공한 대통령, 새누리당을 만드는 것인가. 개인뿐 아니라 당도 실패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당권 주자들이 다들 당과 대통령을 위한다고 하지만 개인적 인기나 정치적 야망을 좇는 경우가 많다”면서 “대통령이 잘못하는 점이 있으면 진정성 있게 쓴소리를 해줄 사람이 필요하다. 진짜 사심 없이 일할 사람은 홍문종”이라고 거듭 자신이 적임자임을 강조했다.
그는 ‘이번 전대에서 양강(兩强)으로 꼽히는 서청원·김무성 의원과 차별점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두 분은 어느 진영(친박·비박)을 대표하는 색깔이 짙지만 저는 계파 색이 제일 옅다"며 "일방적으로 한편의 이익만 대변하는 그런 사람이 아니다”라고 차별화를 시도했다.
또 그는 “두 분이 너무 경쟁을 하다 보니 여론조사 조작 의혹 등 당원과 국민의 눈쌀을 찌푸리게 하는 측면이 있다"며 "국민이 보기에 정신 못 차린 새누리당으로 비쳐질까 두렵다"고 꼬집었다.
홍의원은 교육감 직선제 재검토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전교조가 공천이 없는 교육감 선거에서 정당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며 "이번 선거에서도 전교조 지원을 받은 교육감 후보들이 13곳에서 당선되는 성과를 올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학부모나 교육 현장과 괴리된 결과를 막기 위해 러닝메이트 도입이나 정당 공천, 임명제 등의 대안책 마련이 불가피하다"고 역설했다.
홍 의원은 이날 <시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새누리당 강세 지역에선 여성이나 장애인, 청년, 정치신인 등 정치적 약자를 등용할 수 있는 문을 열어놓아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공천권 내려놓기'가 새누리당 전당대회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홍 의원의 이같은 발언은 서청원-김무성 의원이 ‘오픈프라이머리 정착’을 강조하는 것과 비교대는 대목이어서 주목된다.
이에 따라 전당대회를 앞두고 홍문종 발(發) 공천권 개혁 논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홍 의원은 “미국도 당이 괜찮은 후보를 골라 전략적으로 지원한다”면서 “지도부가 사심(私心)을 가지고 특정 인맥을 공천해서는 안 되지만, 국민의 뜻 잘 반영해 좋은 사람을 등용하는 길을 차단해서도 안 된다. 둘 사이를 헷갈리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당 대표를 하겠다는 분들이 모두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말한다. ‘국민 뜻에 따라 공천하겠다’는 맞는 말이지만 굉장히 무책임한 소리”라며 “실질적으로 그렇게 하면 당은 망하는 거다. 전략적 판단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새누리당 지지도가 높은 곳에는 청년과 여성, 사회적 소수자 등을 공천할 수 있는 분위기가 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특히 일부 언론에서 서청원 의원과 자신을 일종의 ‘러닝메이트’로 보는 시각에 대해 홍 의원은 "김무성 의원보다는 서 의원과 더 공통점이 많다고 볼 수 있으나 제 나름의 정치 철학이 있고 당을 바라보는 시선에 있어서는 서 의원과 좀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그는 "이번 전당대회는 친박(親朴)·비박(非朴)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이 정부의 성공을 이끌 수 있는 사람을 뽑는 선거"라며 "당을 하나로 통합할 50대가 당대표가 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홍 의원은 다른 당권주자들이 일제히 대통령과 청와대에 대해 대립각을 세우는 모습에 대해 "대통령을 때리고 청와대를 비판하는 것이 지나쳐서 자해 행위처럼 비쳐서는 안 된다"며 “‘대통령의 성공에 내가 적임자다’ ‘내가 효자다’라고 말하면서 하는 행동은 불효자와 똑같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전당대회에 여론조사 결과가 30% 반영된다. 그러다보니 바깥사람들의 인기를 얻기 위해서 집안에서 불효자처럼 행동을 하기도 한다”며 “그것이 무슨 성공한 대통령, 새누리당을 만드는 것인가. 개인뿐 아니라 당도 실패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당권 주자들이 다들 당과 대통령을 위한다고 하지만 개인적 인기나 정치적 야망을 좇는 경우가 많다”면서 “대통령이 잘못하는 점이 있으면 진정성 있게 쓴소리를 해줄 사람이 필요하다. 진짜 사심 없이 일할 사람은 홍문종”이라고 거듭 자신이 적임자임을 강조했다.
그는 ‘이번 전대에서 양강(兩强)으로 꼽히는 서청원·김무성 의원과 차별점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두 분은 어느 진영(친박·비박)을 대표하는 색깔이 짙지만 저는 계파 색이 제일 옅다"며 "일방적으로 한편의 이익만 대변하는 그런 사람이 아니다”라고 차별화를 시도했다.
또 그는 “두 분이 너무 경쟁을 하다 보니 여론조사 조작 의혹 등 당원과 국민의 눈쌀을 찌푸리게 하는 측면이 있다"며 "국민이 보기에 정신 못 차린 새누리당으로 비쳐질까 두렵다"고 꼬집었다.
홍의원은 교육감 직선제 재검토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전교조가 공천이 없는 교육감 선거에서 정당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며 "이번 선거에서도 전교조 지원을 받은 교육감 후보들이 13곳에서 당선되는 성과를 올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학부모나 교육 현장과 괴리된 결과를 막기 위해 러닝메이트 도입이나 정당 공천, 임명제 등의 대안책 마련이 불가피하다"고 역설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