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지난해 부채금액 증가 상위 10개 공공기관 중 8개가 이른바 ‘친박’인사가 기관장, 감사, 이사로 투입된 공공기관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예산결산위원회 소속인 새정치민주연합 민병두 의원(서울 동대문을)은 13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국회 예산정책처 ‘공공기관 결산평가’와 ‘친박인명사전’을 비교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민 의원에 따르면 2013년 부채금액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공공기관은 한국전력공사(9조원) 한국토지주택공사(4조2000억원), 한국철도공사(3조3000억원), 한국가스공사(2조5000억원), 한국철도시설공단(2조2000억원), 한국장학재단(1조3000억원), 한국광물자원공사(1조2000억원), 예금보험공사(8000억원), 한국농어촌공사(7000억원), 한국도로공사(6000억원)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 가운데 친박 인사가 감사, 이사 등으로 투입된 공공기관은 한국가스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만을 제외한 나머지 8곳으로 확인됐다.
민 의원은 “2013년 부채금액 증가 상위 10개 공공기관의 증가 부채 총액은 25조8000억원으로 ‘박피아’(친박인사)가 투입된 8개 공공기관의 증가 부채금액은 21조1000억원으로 82%를 차지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기획재정부의 2013년도 공공기관에 대한 경영실적 평가 결과 30개 공기업 중 낙제 점수인 D등급, E등급을 받은 공기업이 13개로 드러났다”며 “이 가운데 9개 공기업(69%)이 친박인사가 투입된 공기업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그는 “박근혜정부의 친박인사 낙하산 ‘박피아’의 공공기관 대거 투입은 박 대통령의 대선공약 파기이며, 전문성이 결여된 인사이며 현 정부의 공공기관 개혁 방침과도 배치된 것”이라며 “‘관련업무 경력 5년 이상’에 한해 기관장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임원추천위원회 회의록의 공개를 법률로 명확히 규정하는 등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개정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회 예산결산위원회 소속인 새정치민주연합 민병두 의원(서울 동대문을)은 13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국회 예산정책처 ‘공공기관 결산평가’와 ‘친박인명사전’을 비교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민 의원에 따르면 2013년 부채금액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공공기관은 한국전력공사(9조원) 한국토지주택공사(4조2000억원), 한국철도공사(3조3000억원), 한국가스공사(2조5000억원), 한국철도시설공단(2조2000억원), 한국장학재단(1조3000억원), 한국광물자원공사(1조2000억원), 예금보험공사(8000억원), 한국농어촌공사(7000억원), 한국도로공사(6000억원)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 가운데 친박 인사가 감사, 이사 등으로 투입된 공공기관은 한국가스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만을 제외한 나머지 8곳으로 확인됐다.
민 의원은 “2013년 부채금액 증가 상위 10개 공공기관의 증가 부채 총액은 25조8000억원으로 ‘박피아’(친박인사)가 투입된 8개 공공기관의 증가 부채금액은 21조1000억원으로 82%를 차지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기획재정부의 2013년도 공공기관에 대한 경영실적 평가 결과 30개 공기업 중 낙제 점수인 D등급, E등급을 받은 공기업이 13개로 드러났다”며 “이 가운데 9개 공기업(69%)이 친박인사가 투입된 공기업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그는 “박근혜정부의 친박인사 낙하산 ‘박피아’의 공공기관 대거 투입은 박 대통령의 대선공약 파기이며, 전문성이 결여된 인사이며 현 정부의 공공기관 개혁 방침과도 배치된 것”이라며 “‘관련업무 경력 5년 이상’에 한해 기관장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임원추천위원회 회의록의 공개를 법률로 명확히 규정하는 등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개정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