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정부 인사검증시스템 부실, 청문회대상자 낙마율 15.8%"

    정당/국회 / 전용혁 기자 / 2014-08-25 17:29:02
    • 카카오톡 보내기
    민병두 "개선안 강구해야"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박근혜정부 들어 국회 인사청문회 대상자 낙마율은 15.8%로 노무현 정부의 3.8%, 이명박 정부의 9.0%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박근혜정부의 고위공직자 인사검증시스템의 미흡과 사전 인사검증의 부실을 입증하는 것이라는 지적이다.

    25일 새정치민주연합 민병두 의원이 역대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고위공직자 인사청문요청안 및 임명동의안 제출 처리현황을 조사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박근혜정부 출범이후 현재까지 57명의 국회 인사청문회 대상자 가운데 9명이 중도 낙마했다.

    지난 2000년 국회 인사청문회 도입이후 현재까지 국회 인사청문대상자는 모두 258명이었다. 이 가운데 24명이 부결, 철회, 인사청문요청안 제출 전후 자진 사퇴 등으로 청문절차를 통과하지 못했다.

    노무현 정부의 국회 인사청문대상자는 78명으로 이중 3명이, 이명박 정부의 국회 인사청문대상자는 111명으로 이중 10명이 낙마했다.

    국무총리의 제청 절차를 거치는 국무위원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대상자 낙마율도 박근혜정부 들어 30명의 국무위원후보자 가운데 4명이 낙마해 13.3%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박근혜정부의 국무위원 후보자 낙마율은 노무현 정부의 국무위원후보자 28명중 1명이 낙마한 3.6%, 이명박 정부의 국무위원후보자 56명중 5명이 낙마한 8.9%에 비해 2~3배의 낙마율을 기록하는 것이다.

    민 의원은 "박근혜정부의 국회 인사청문대상자 중도 낙마 사유로 부동산 투기의혹, 병역면제의혹, 공금 유용의혹, 전관예우, 역사관문제, 논문 표절의혹, 음주운전, 사생활 의혹, 거짓말 등 중대한 문제가 제기됐다"며 "사전 인사 검증에서 전혀 걸러지지 않았다는데 그 심각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박근혜 대통령 인사정책의 폐쇄성과 부실한 사전 검증 절차에서 기인하는 것"이라며 "인사청문대상 고위공직자들에 대한 철저한 사전 검증을 위해 청와대 사전검증자료의 국회 제출 의무화, 국무총리의 국무위원후보자 제청 관련 사전검증 절차 도입 등 제도적 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