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지난 2011년 이후 자살한 경찰관이 62명이었고 매년 평균 16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대구 달서병)은 28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경찰관 자살 건수는 2011년 13건, 2012년 18건, 2013년 17건, 올해는 8월 말 현재까지 14건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자살 원인으로는 우울증과 가정불화가 각각 16명(26%)으로 가장 많았고, 신병비관이 8명(13%), 채무 등 금전문제 7명(11%), 직장문제 6명(10%), 질병 등 건강상 문제 5명(8%), 이성문제 4명(6%)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시 13명(21%), 경기 10명(16%), 부산 6명(10%) 순으로 나타났다.
조 의원은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인 우리나라 전체 자살률이 3300명 중 1명 꼴인데 경찰관은 2000명 중 1명 꼴로 더 높게 나타났다”며 “경찰업무 특성상 강력범죄부터 야간순찰, 주취자 문제, 각종 민원까지 업무 강도가 높은 현실을 고려해 근무환경 개선이 필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우울증과 가정불화, 신병비관, 직장문제 등 자살원인이 다양하게 나타남에 따라 자살을 개인의 문제로만 치부하기보다는 경찰 내부적인 심리 검사 및 치료방안 등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대구 달서병)은 28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경찰관 자살 건수는 2011년 13건, 2012년 18건, 2013년 17건, 올해는 8월 말 현재까지 14건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자살 원인으로는 우울증과 가정불화가 각각 16명(26%)으로 가장 많았고, 신병비관이 8명(13%), 채무 등 금전문제 7명(11%), 직장문제 6명(10%), 질병 등 건강상 문제 5명(8%), 이성문제 4명(6%)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시 13명(21%), 경기 10명(16%), 부산 6명(10%) 순으로 나타났다.
조 의원은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인 우리나라 전체 자살률이 3300명 중 1명 꼴인데 경찰관은 2000명 중 1명 꼴로 더 높게 나타났다”며 “경찰업무 특성상 강력범죄부터 야간순찰, 주취자 문제, 각종 민원까지 업무 강도가 높은 현실을 고려해 근무환경 개선이 필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우울증과 가정불화, 신병비관, 직장문제 등 자살원인이 다양하게 나타남에 따라 자살을 개인의 문제로만 치부하기보다는 경찰 내부적인 심리 검사 및 치료방안 등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