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소방공무원의 절반은 이미 질병을 갖고 있거나 별도의 관리가 필요한 건강이상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강기윤 의원(경남 창원을)이 소방방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현장에 출동한 전국 소방관서의 소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특수건강검진을 실시한 결과 검진자 3만5881명 가운데 53.5%인 1만9231명이 ‘건강이상자’ 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질병소견이 있어 사후관리가 필요한 ‘유소견자’가 7.9%인 2834명, 질병으로 진전될 우려가 있어 추적관찰이 필요한 ‘요관찰자’가 45.7%인 1만6397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의 건강이상자 판정비율(53.5%ㆍ1만9231명)은 2012년도 47.5%(1만6713명)보다 6%(2518명) 늘어나 소방공무원들의 보건안전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특수건강진단을 받은 소방공무원 중 주요 질환으로 진단받은 1만2324명을 유형별로 나눠보면 ‘눈ㆍ귀ㆍ유양돌기 질환’이 3416명으로 전체의 27.7%를 차지해 진단질환 중 가장 많았으며, 순환기계(2953명ㆍ24%), 호흡기계(2267명ㆍ18.4%) 질환 등이 뒤따랐다.
이에 대해 강 의원은 “소방방재청은 소방공무원의 질병과 소방활동 현장상 유해요인의 상관관계에 관해 직업성질환 역학조사를 적극 확대실시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라며 “이와 더불어 소방관들이 화재 등 각종 소방활동과 업무상 질병발생시 전문적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소방전문치료센터를 확대 지정ㆍ운영하는 동시에 각종 진료혜택을 대폭 제공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강기윤 의원(경남 창원을)이 소방방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현장에 출동한 전국 소방관서의 소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특수건강검진을 실시한 결과 검진자 3만5881명 가운데 53.5%인 1만9231명이 ‘건강이상자’ 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질병소견이 있어 사후관리가 필요한 ‘유소견자’가 7.9%인 2834명, 질병으로 진전될 우려가 있어 추적관찰이 필요한 ‘요관찰자’가 45.7%인 1만6397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의 건강이상자 판정비율(53.5%ㆍ1만9231명)은 2012년도 47.5%(1만6713명)보다 6%(2518명) 늘어나 소방공무원들의 보건안전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특수건강진단을 받은 소방공무원 중 주요 질환으로 진단받은 1만2324명을 유형별로 나눠보면 ‘눈ㆍ귀ㆍ유양돌기 질환’이 3416명으로 전체의 27.7%를 차지해 진단질환 중 가장 많았으며, 순환기계(2953명ㆍ24%), 호흡기계(2267명ㆍ18.4%) 질환 등이 뒤따랐다.
이에 대해 강 의원은 “소방방재청은 소방공무원의 질병과 소방활동 현장상 유해요인의 상관관계에 관해 직업성질환 역학조사를 적극 확대실시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라며 “이와 더불어 소방관들이 화재 등 각종 소방활동과 업무상 질병발생시 전문적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소방전문치료센터를 확대 지정ㆍ운영하는 동시에 각종 진료혜택을 대폭 제공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