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제 "유족 대표는 국민 대표 아냐··· 설득할 것"
박범계 "유가족 특검후보 추천 참여 최대한 노력"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여야가 지난 30일 오후 세월호 특별법과 국회 정상화에 대한 합의문을 극적으로 도출해냈지만 세월호 가족 대책위는 타결안에 대해 거부 의사를 밝히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여야는 유가족들이 합의안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설득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새누리당 이인제 최고위원은 1일 KBS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여야가 충분히 유가족 대표를 만나서 앞으로도 많은 대화를 할 것”이라며 “시간이 가면서 유가족 대표들도 충분히 설득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여당이든 야당이든 세월호 사건에 관해 진상을 숨기려고 하는 당이 없다. 지금 숨기고 말고 할 게 없다”며 “검찰에서도 160명 넘게 구속을 하고 이렇게 어마어마한 수사력을 동원해서 진실을 파헤치고 있기 때문에 이건 빨리 합리적으로 특별법을 만들어서 진상조사위원회를 발족해 구석구석 진상을 조사해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번 양당 합의 사항과 관련, 추후쟁점이 많이 남아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유족의 특별검사 후보군 추천 참여여부를 추후에 논의한다고 유보시켜 놓은 것인데, 그것은 유가족 쪽에서도 자신들도 당사자로 참여해야겠다고 한 것”이라며 “야당은 유가족 대표의 의견을 존중하는 절충안 정도가 어떠냐는 얘기가 있었던 모양인데, 분명한것은 의회주의는 국민의 대표인 여야가 협상의 주역이지, 유가족 대표는 국민의 대표는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여야와 동등하게 3자 합의 주체가 될 수 없기 때문에 이 부분을 가지고 너무 반발이 심하니까 그 부분은 좀 시간을 가지고 논의를 한다고 불확실하게 됐는데 순리대로 잘 해결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박범계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법안을 최종적으로 완성하는 단계에서 유가족의 뜻이 충분히 반영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의원은 “당초에는 여야, 유가족 3자간에 합의가 되는 후보 추천의 안에 대해 유가족과 박영선 원내대표간에 공감이 있었는데 사실상 유가족이 최종합의안에서는 빠졌다”며 “그런 측면에서 유가족들이 합의안을 동의하지 않는다는 발표에 대해 심정적으로 이해가 되는데, 그런 측면을 고려해서 앞으로 10월31일까지 최종적인 합의 법안의 협상이 있을텐데, 어쨌든 유가족이 특검후보를 추천하는데 있어서 참여하도록 최선을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여론에 밀려 급하게 합의했다’는 일부 지적에 대해서는 “이 합의가 모든 내용을 다 담고 있지 못하다는 점에서 모호성이 남아있는 부분이 있지만 정치적 합의, 골조를 일단 이뤘기 때문에 적어도 한 달 정도 여야가 진정성을 갖고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을 통과시키겠다는 의지만 있다면, 어쨌든 개문발차를 한 것이라는 측면에서 의미를 과소평가하기에는 이르다”라고 일축했다.
그는 유가족의 특별검사 후보군 추천 참여 여부에 대해서는 “저희들은 첫째 유가족이 특검후보 추천에 참여하는 데 최대한 노력할 것이고, 야당이 후보를 추천하는 데 있어서 유가족의 뜻을 전적으로 받들어 후보를 추천할 것”이라며 “이 부분이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이고, 충분히 유가족들을 설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당장 오늘(1일)부터 새정치연합의 모든 의원들이 팔을 걷어붙이고 유가족들을 설득하고 지금부터 디테일의 싸움이 시작됐기 때문에 유가족의 뜻을 받드는 분들의 뜻을 담는, 제대로 된 특별법안을 만들겠다는 노력과 다짐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고 밝혔다.
박범계 "유가족 특검후보 추천 참여 최대한 노력"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여야가 지난 30일 오후 세월호 특별법과 국회 정상화에 대한 합의문을 극적으로 도출해냈지만 세월호 가족 대책위는 타결안에 대해 거부 의사를 밝히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여야는 유가족들이 합의안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설득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새누리당 이인제 최고위원은 1일 KBS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여야가 충분히 유가족 대표를 만나서 앞으로도 많은 대화를 할 것”이라며 “시간이 가면서 유가족 대표들도 충분히 설득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여당이든 야당이든 세월호 사건에 관해 진상을 숨기려고 하는 당이 없다. 지금 숨기고 말고 할 게 없다”며 “검찰에서도 160명 넘게 구속을 하고 이렇게 어마어마한 수사력을 동원해서 진실을 파헤치고 있기 때문에 이건 빨리 합리적으로 특별법을 만들어서 진상조사위원회를 발족해 구석구석 진상을 조사해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번 양당 합의 사항과 관련, 추후쟁점이 많이 남아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유족의 특별검사 후보군 추천 참여여부를 추후에 논의한다고 유보시켜 놓은 것인데, 그것은 유가족 쪽에서도 자신들도 당사자로 참여해야겠다고 한 것”이라며 “야당은 유가족 대표의 의견을 존중하는 절충안 정도가 어떠냐는 얘기가 있었던 모양인데, 분명한것은 의회주의는 국민의 대표인 여야가 협상의 주역이지, 유가족 대표는 국민의 대표는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여야와 동등하게 3자 합의 주체가 될 수 없기 때문에 이 부분을 가지고 너무 반발이 심하니까 그 부분은 좀 시간을 가지고 논의를 한다고 불확실하게 됐는데 순리대로 잘 해결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박범계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법안을 최종적으로 완성하는 단계에서 유가족의 뜻이 충분히 반영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의원은 “당초에는 여야, 유가족 3자간에 합의가 되는 후보 추천의 안에 대해 유가족과 박영선 원내대표간에 공감이 있었는데 사실상 유가족이 최종합의안에서는 빠졌다”며 “그런 측면에서 유가족들이 합의안을 동의하지 않는다는 발표에 대해 심정적으로 이해가 되는데, 그런 측면을 고려해서 앞으로 10월31일까지 최종적인 합의 법안의 협상이 있을텐데, 어쨌든 유가족이 특검후보를 추천하는데 있어서 참여하도록 최선을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여론에 밀려 급하게 합의했다’는 일부 지적에 대해서는 “이 합의가 모든 내용을 다 담고 있지 못하다는 점에서 모호성이 남아있는 부분이 있지만 정치적 합의, 골조를 일단 이뤘기 때문에 적어도 한 달 정도 여야가 진정성을 갖고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을 통과시키겠다는 의지만 있다면, 어쨌든 개문발차를 한 것이라는 측면에서 의미를 과소평가하기에는 이르다”라고 일축했다.
그는 유가족의 특별검사 후보군 추천 참여 여부에 대해서는 “저희들은 첫째 유가족이 특검후보 추천에 참여하는 데 최대한 노력할 것이고, 야당이 후보를 추천하는 데 있어서 유가족의 뜻을 전적으로 받들어 후보를 추천할 것”이라며 “이 부분이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이고, 충분히 유가족들을 설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당장 오늘(1일)부터 새정치연합의 모든 의원들이 팔을 걷어붙이고 유가족들을 설득하고 지금부터 디테일의 싸움이 시작됐기 때문에 유가족의 뜻을 받드는 분들의 뜻을 담는, 제대로 된 특별법안을 만들겠다는 노력과 다짐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