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안홍준 의원 지적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최근 학생 통학용 버스의 노후화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학생들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안홍준 의원(경남 창원 마산회원)은 6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초ㆍ중ㆍ고등학교‘ 통학버스 운행거리별 비교현황’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 전체 통학버스 총 3250대 중 13.23%인 430대, 중학교 총 523대 중 28.2%인 148대, 고등학교 총 1829대 중 35.6%인 652대가 20만km 이상을 주행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차량의 연평균 운행거리 1만5000~2만km(에너지경제연구원발표 기준)으로 하면 20만km 이상 주행차량은 차량연한이 10년 이상인 차량에 해당된다.
현행법상 버스 차량연한이 10년이고, 승합자동차가 9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초ㆍ중ㆍ고 전체 통학버스 총 5602대 중 폐차시기에 이른 차량 1230대(22%)가 학생들을 싣고 도로 위를 운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심지어 택시폐차 수준인 60km 이상 차량도 다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북 전주시의 근영여고의 통학버스는 무려 226만9701km를 주행했고, 광주광역시 동구의 살레시오 초등학교의 통학버스는 70만2115km를 주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 동대문구에 소재한 경희초등학교의 통학버스는 68만4284km, 서울 광진구에 소재한 대원국제중학교의 통학버스는 87만4470km를 주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폐차대상 차량들이 학생통학에 이용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당국의 학생안전 관리, 감독 부실에 대한 논란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안 의원은 “200만km 이상 주행차량이 운행 중인 것도 놀라운데 학생들 통학버스라는 점은 경악스러운 일”이라며 “20만km 이상 주행해 노후화된 차량이 별다른 제재없이 학생통학버스로 운행되는 것은 학생안전에 큰 위협이다. 당국의 관리ㆍ감독이 강화돼야 하고, 통학버스의 최대운행거리에 제한을 두는 등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최근 학생 통학용 버스의 노후화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학생들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안홍준 의원(경남 창원 마산회원)은 6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초ㆍ중ㆍ고등학교‘ 통학버스 운행거리별 비교현황’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 전체 통학버스 총 3250대 중 13.23%인 430대, 중학교 총 523대 중 28.2%인 148대, 고등학교 총 1829대 중 35.6%인 652대가 20만km 이상을 주행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차량의 연평균 운행거리 1만5000~2만km(에너지경제연구원발표 기준)으로 하면 20만km 이상 주행차량은 차량연한이 10년 이상인 차량에 해당된다.
현행법상 버스 차량연한이 10년이고, 승합자동차가 9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초ㆍ중ㆍ고 전체 통학버스 총 5602대 중 폐차시기에 이른 차량 1230대(22%)가 학생들을 싣고 도로 위를 운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심지어 택시폐차 수준인 60km 이상 차량도 다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북 전주시의 근영여고의 통학버스는 무려 226만9701km를 주행했고, 광주광역시 동구의 살레시오 초등학교의 통학버스는 70만2115km를 주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 동대문구에 소재한 경희초등학교의 통학버스는 68만4284km, 서울 광진구에 소재한 대원국제중학교의 통학버스는 87만4470km를 주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폐차대상 차량들이 학생통학에 이용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당국의 학생안전 관리, 감독 부실에 대한 논란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안 의원은 “200만km 이상 주행차량이 운행 중인 것도 놀라운데 학생들 통학버스라는 점은 경악스러운 일”이라며 “20만km 이상 주행해 노후화된 차량이 별다른 제재없이 학생통학버스로 운행되는 것은 학생안전에 큰 위협이다. 당국의 관리ㆍ감독이 강화돼야 하고, 통학버스의 최대운행거리에 제한을 두는 등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