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기 "가토, 언론자유로 포장된 궤변"

    정치 / 전용혁 기자 / 2014-10-12 14:52:48
    • 카카오톡 보내기
    "공정보도부터 하라" 일갈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한국 검찰이 명예훼손 혐의로 불구속 기소한 가토 다쓰야(加藤達也·48) 전 산케이신문 서울지국장은 지난 10일 산케이신문 1면에 게재한 ‘수기’를 통해 박근혜 정권의 최대 문제는 ‘언론자유에 대한 협량(狹量·도량이 좁다)’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중앙일보 김현기 도쿄 총국장은 12일 “언론 자유로 포장된 궤변”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김 총국장은 “기사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는데, 사과 한마디 없이 억지 주장을 되풀이 하고 있다”며 “언론 자유 누리려면 공정보도부터 하라”고 쏘아 붙였다.

    그는 가토 전 지국장이 “10월 2일 세 번째 조사에서 검사가 ‘(세월호 사고 당일의)대통령 소재 문제가 (한국 내에서)금기시돼 있는데 그걸 쓴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어왔다. 난 이 말에 강한 위화감을 느꼈다. 일본에선 매일 상세히 공개되는 국가 지도자 동정이 ‘금기’란 것이다. 금기를 건드린 자는 절대 용서 않겠다는 정권의 뜻을 여실히 보여주는 발언이었다”고 한 것에 대해 “가토는 교묘하게 괄호를 이용, 마치 한국에서 대통령의 세월호 당일 행적을 논하는 것이 금기인 것처럼 오도했다. 한국 지도자의 동정은 시시콜콜 공개되지 않는다. 365일 그렇다. 한국뿐 아니다. 미국·영국 등도 세세히 일반에 일정을 공개 않는다”며 “일본과 다르다는 이유로 ‘정권의 뜻’ 운운하는 건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했다.

    가토 전 지국장이 “소송을 남발하는 박 정권에 한국 국내에선 이미 위축, 영합하고 있는 듯한 보도가 엿보인다. 박 정권은 도대체 언제까지 미디어에 대한 탄압적 자세를 계속할 것이냐”고 주장한 것에 대해 김 총국장은 “한국만큼 자유롭게 정권을 비판하는 나라도 드물다는 건 대다수 일본 기자도 인정하는 부분이다. 가토 전 지국장도 특파원 재임 3년 동안 제대로 한국 신문을 봤다면 알 것이다. 지면에 정권 비판 기사가 없는 건 오히려 아베 정권 아래의 산케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그는 “산케이는 분명 지나쳤다. 언론의 자유는 공정보도의 책임을 다할 때 비로소 주어지는 것”이라면서 “설사 비방할 의도가 없었다 해도 기사내용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그렇다면 ‘유감’ 한마디라도 표명하는 게 옳다. 하지만 산케이신문 어디를 봐도 ‘사과’나 ‘유감’은 보이지 않는다. ‘궤변’만 반복될 뿐”이라고 비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