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민 "지역주민들 불안··· 무작정 보내는 건 부적절"
정영철 "막을 근거 없다는 것만으로 피해가선 안 돼"
박상학 대표 "살포 계속할 것"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최근 민간단체가 주도한 대북전단 살포에 북한이 고사포로 대응하면서 남북 긴장이 고조되자 대북전단 살포를 중단하거나 방법을 변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김성민 자유북한방송 대표는 13일 오전 YTN <신율의 출발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탈북자들이 정말 신중을 기하고 있지만 지역주민분들의 불안함 마음에 저희들이 부응하는 그런 새로운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생각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탈북자들이 목숨을 걸고 대한민국에 올 때 하고 싶었던 일들이 얼마나 많았겠는가. 저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고향사람들에게 진실을 알리고 싶다, 또 이게 옳은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얘기하고 있다“며 ”그리고 북한 당국의 대응을 보면 대북전단 살포가 (자신들에게)아프다는 반증이다. 삐라(대북전단)에 대해 그렇게 반응하는 것을 보면 북한 정권에서는 아주 아프다는 뜻이기 때문에 저들(탈북자들)이 더 보람을 느끼고 하는 일이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새로운 방법’에 대해서는 “야간에 한다든가, 아니면 민가가 전혀 없는 지역이 꽤 많은데 이런 곳에서 한다든가, 또 저희들이 삐라를 뿌릴 때 사실 ‘이래야 북한 당국이 아파하더라’라는 이런 나름의 홍보효과도 생각을 하는데, ‘이런 것들은 이제부터 변해야 한다’는 내용들이 탈북자 단체내에서도 나오고 있다”며 “전단 살포의 주역들도 이런 생각을 갖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탈북자들은 북한 주민들을 향해 우리가 외부 소식을 알린다는 마음이 진심이라면 동시에 우리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불안을 줄 수도 없지 않나 하는 마음도 따라야 할 것”이라며 “저들이 무작정 보내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탈북자 단체장들도 생각하고 있고, 또 삐라를 뿌리는 사람들이나 불안해하는 국민들이나 탈북자들이 지혜롭게 판단해서 앞으로 처리를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북전문가인 정영철 서강대 교수는 이날 PBC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정부가 대북전단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정리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정 교수는 “전반적으로 모처럼 만의 (남북간)해빙분위기가 급속하게 위기 국면으로 변한 게 사실이지만 다행인 것은 북한의 총탄 사격이 삐라를 겨냥한 것으로 우리측 지역을 직접 겨냥하지 않았고, 인명 살상도 없었다는 점에 주목을 할 필요가 있다”면서 “고위급 접촉의 가능성이 아직은 유효한 것으로 보이고, 단, 북한이 우리 정부에 대해 삐라 살포 등 소위 비방중상 문제에 대해 어떤 자세와 입장을 보일 것인지를 묻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제2차 고위급 회담에서)이번의 사건이 아니더라도 삐라 문제, 좀 더 넓히면 비방중상 중단 문제를 북한에서는 가장 중요하게 제기했을 것이고, 여기에 5.24 조치 해제 문제나 금강산 관광재개 문제들이 같이 제기됐을 것”이라며 “이제는 제2차 고위급 접촉 성사 여부를 두고 보아야 하겠지만 만약 성사가 된다면 이 문제를 피해가기는 어렵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민간단체의 활동을 법적으로 막을 근거가 없는 것 아닌가’라는 질문에 “남북관계는 법률적인 문제임과 동시에 정치적 문제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정부 및 대통령의 입장에서는 통치의 문제”라며 “이번처럼 남북이 총격을 가하는 상황은 안보의 문제와 직결되기도 하기 때문에 이는 법률적으로 막을 근거가 없다는 것으로만 피해가서는 안 되는 문제”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가 법을 근거로 막을 수 없다고만 할 것이 아니라 여타의 수단을 동원해 합리적으로 문제를 풀어가는 자세가 필요하다”며 “정부가 법률의 근거만을 가지고 북한을 설득하고자 한다면 이 문제는 쉽게 풀리지 못하게 되고, 이 문제로 인해 남북관계라는 더 큰 문제가 풀리지 않게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같은 목소리에도 대북전단 살포를 주도한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는 대북전단 살포를 중단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박 대표는 이날 오전 SBS <한수진의 SBS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지금 우리 언론이 북한의 계략에 놀아나고 있다. 북한이 우리 대한민국에 공포심을 줘서 남남 갈등을 만들고 있고, 북한 인민의 알권리마저 막는데 동참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대북 전단이라는 게 DMZ상 60만명의 젊은 군인들이 나와있는데 이 군인들에게 자유민주주의라는 건 어떤 것인가, 대한민국은 어떤 나라냐, 세계 인권선언문이 어떻게 돼 있느냐, 총 한 발쏘지 않고 평화적으로 적을 무장해제시키는 게 그게 나쁜 것인가”라며 “대한민국을 인간생지옥이라고 가르치고, 북한은 인민의 낙원이라고 가르치는데 그게 맞는 소리인가. 인민을 굶겨 죽이면서 핵과 미사일을 가지고 우리를 공갈 협박하는데 그걸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여야 정치권에서도 대북전단 자제를 요구한 것에 대해 “김무성 (새누리당)대표 아마 그 분이 눈에 꽁깍지가 꼈는지 모르겠는데, 그분이 자기 자신의 인권과 자유를 찾기 위해 얼마나 투쟁했는지 모르겠지만 불과 몇 년 전 원내대표 할 때 110여개의 법안을 날치기 통과시키면서 북한인권법안만 뺐다”며 “그 독재자(김정은)에게 구걸하고 아부해서 뭘 얻자는 것인가. 그 비정상하고 대화해서 뭐 얻을 게 있는가. 북한 인민하고 대화해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영철 "막을 근거 없다는 것만으로 피해가선 안 돼"
박상학 대표 "살포 계속할 것"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최근 민간단체가 주도한 대북전단 살포에 북한이 고사포로 대응하면서 남북 긴장이 고조되자 대북전단 살포를 중단하거나 방법을 변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김성민 자유북한방송 대표는 13일 오전 YTN <신율의 출발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탈북자들이 정말 신중을 기하고 있지만 지역주민분들의 불안함 마음에 저희들이 부응하는 그런 새로운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생각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탈북자들이 목숨을 걸고 대한민국에 올 때 하고 싶었던 일들이 얼마나 많았겠는가. 저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고향사람들에게 진실을 알리고 싶다, 또 이게 옳은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얘기하고 있다“며 ”그리고 북한 당국의 대응을 보면 대북전단 살포가 (자신들에게)아프다는 반증이다. 삐라(대북전단)에 대해 그렇게 반응하는 것을 보면 북한 정권에서는 아주 아프다는 뜻이기 때문에 저들(탈북자들)이 더 보람을 느끼고 하는 일이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새로운 방법’에 대해서는 “야간에 한다든가, 아니면 민가가 전혀 없는 지역이 꽤 많은데 이런 곳에서 한다든가, 또 저희들이 삐라를 뿌릴 때 사실 ‘이래야 북한 당국이 아파하더라’라는 이런 나름의 홍보효과도 생각을 하는데, ‘이런 것들은 이제부터 변해야 한다’는 내용들이 탈북자 단체내에서도 나오고 있다”며 “전단 살포의 주역들도 이런 생각을 갖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탈북자들은 북한 주민들을 향해 우리가 외부 소식을 알린다는 마음이 진심이라면 동시에 우리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불안을 줄 수도 없지 않나 하는 마음도 따라야 할 것”이라며 “저들이 무작정 보내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탈북자 단체장들도 생각하고 있고, 또 삐라를 뿌리는 사람들이나 불안해하는 국민들이나 탈북자들이 지혜롭게 판단해서 앞으로 처리를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북전문가인 정영철 서강대 교수는 이날 PBC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정부가 대북전단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정리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정 교수는 “전반적으로 모처럼 만의 (남북간)해빙분위기가 급속하게 위기 국면으로 변한 게 사실이지만 다행인 것은 북한의 총탄 사격이 삐라를 겨냥한 것으로 우리측 지역을 직접 겨냥하지 않았고, 인명 살상도 없었다는 점에 주목을 할 필요가 있다”면서 “고위급 접촉의 가능성이 아직은 유효한 것으로 보이고, 단, 북한이 우리 정부에 대해 삐라 살포 등 소위 비방중상 문제에 대해 어떤 자세와 입장을 보일 것인지를 묻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제2차 고위급 회담에서)이번의 사건이 아니더라도 삐라 문제, 좀 더 넓히면 비방중상 중단 문제를 북한에서는 가장 중요하게 제기했을 것이고, 여기에 5.24 조치 해제 문제나 금강산 관광재개 문제들이 같이 제기됐을 것”이라며 “이제는 제2차 고위급 접촉 성사 여부를 두고 보아야 하겠지만 만약 성사가 된다면 이 문제를 피해가기는 어렵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민간단체의 활동을 법적으로 막을 근거가 없는 것 아닌가’라는 질문에 “남북관계는 법률적인 문제임과 동시에 정치적 문제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정부 및 대통령의 입장에서는 통치의 문제”라며 “이번처럼 남북이 총격을 가하는 상황은 안보의 문제와 직결되기도 하기 때문에 이는 법률적으로 막을 근거가 없다는 것으로만 피해가서는 안 되는 문제”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가 법을 근거로 막을 수 없다고만 할 것이 아니라 여타의 수단을 동원해 합리적으로 문제를 풀어가는 자세가 필요하다”며 “정부가 법률의 근거만을 가지고 북한을 설득하고자 한다면 이 문제는 쉽게 풀리지 못하게 되고, 이 문제로 인해 남북관계라는 더 큰 문제가 풀리지 않게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같은 목소리에도 대북전단 살포를 주도한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는 대북전단 살포를 중단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박 대표는 이날 오전 SBS <한수진의 SBS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지금 우리 언론이 북한의 계략에 놀아나고 있다. 북한이 우리 대한민국에 공포심을 줘서 남남 갈등을 만들고 있고, 북한 인민의 알권리마저 막는데 동참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대북 전단이라는 게 DMZ상 60만명의 젊은 군인들이 나와있는데 이 군인들에게 자유민주주의라는 건 어떤 것인가, 대한민국은 어떤 나라냐, 세계 인권선언문이 어떻게 돼 있느냐, 총 한 발쏘지 않고 평화적으로 적을 무장해제시키는 게 그게 나쁜 것인가”라며 “대한민국을 인간생지옥이라고 가르치고, 북한은 인민의 낙원이라고 가르치는데 그게 맞는 소리인가. 인민을 굶겨 죽이면서 핵과 미사일을 가지고 우리를 공갈 협박하는데 그걸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여야 정치권에서도 대북전단 자제를 요구한 것에 대해 “김무성 (새누리당)대표 아마 그 분이 눈에 꽁깍지가 꼈는지 모르겠는데, 그분이 자기 자신의 인권과 자유를 찾기 위해 얼마나 투쟁했는지 모르겠지만 불과 몇 년 전 원내대표 할 때 110여개의 법안을 날치기 통과시키면서 북한인권법안만 뺐다”며 “그 독재자(김정은)에게 구걸하고 아부해서 뭘 얻자는 것인가. 그 비정상하고 대화해서 뭐 얻을 게 있는가. 북한 인민하고 대화해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