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지난 7.30 재보궐선거 패배 이후 당 대표직을 사퇴한 뒤 80여일 만에 '새정치' 2기를 선언하고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안 전 대표는 특히 전문분야인 경제와 교육에 집중하는 대신 그동안 자신이 줄곧 이야기하던 정치개혁 문제에 대해서는 더 이상 이야기 하지 않겠다고 밝혀 이제부터 달라진 모습을 보게 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안 전 공동대표는 22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대선 때부터 지금까진 내게 맞지 않는 역할을 했다. 이제부턴 그냥 하고 싶은 것을 하겠다"며 "전문 분야인 경제와 교육에 집중해서 우리 정치가 국민들에게 해주지 못한 일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안 전 대표는 "지금 돌아보면 후회되는 것이 제 전문 분야가 아닌 정치개혁을 들고나온 것"이라며 "당시 경제와 교육개혁을 가로막는 것이 정치라고 생각해서 정치쇄신 얘기를 했는데 되레 오해를 받았다"고 술회했다.
그러면서 "정치개혁 얘기는 더 이상 하지 않겠다"며 "내 전문 분야인 경제·교육 얘기를 하려고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특히 안 전 대표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개헌’ 언급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견해를 나타냈다.
이는 새정치연합 지도부가 김무성 대표의 ‘상하이발 개헌’ 발언으로 촉발된 개헌 논의를 확산시키기 위해 당력을 집중하고 있는 것과는 상반된 모습이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실제 새정치연합 문희상 비대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개헌은 국민적 흐름의 대세”라며 김무성 대표의 개헌 발언에 힘을 실었다.
새정치연합 박지원 비대위원도 "개헌을 하려면 내년이 마지막이고 적기"라며 "박근혜 대통령도 세월호 참사 이후 국가 개조를 강하게 부르짖었는데 국가 개조의 가장 큰 핵심은 개헌에서부터 출발한다"고 가세했다.
하지만 안 전 공동대표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발언은)기가 막혔다"며 "아무리 당 대표라도 국정감사 기간에 외국에 나가서 개헌 얘기를 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위험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 같은 안 전 대표의 행보에 대해 신율 교수는 “탈당 명분 쌓기”로 규정했다.
안 전 대표는 특히 전문분야인 경제와 교육에 집중하는 대신 그동안 자신이 줄곧 이야기하던 정치개혁 문제에 대해서는 더 이상 이야기 하지 않겠다고 밝혀 이제부터 달라진 모습을 보게 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안 전 공동대표는 22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대선 때부터 지금까진 내게 맞지 않는 역할을 했다. 이제부턴 그냥 하고 싶은 것을 하겠다"며 "전문 분야인 경제와 교육에 집중해서 우리 정치가 국민들에게 해주지 못한 일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안 전 대표는 "지금 돌아보면 후회되는 것이 제 전문 분야가 아닌 정치개혁을 들고나온 것"이라며 "당시 경제와 교육개혁을 가로막는 것이 정치라고 생각해서 정치쇄신 얘기를 했는데 되레 오해를 받았다"고 술회했다.
그러면서 "정치개혁 얘기는 더 이상 하지 않겠다"며 "내 전문 분야인 경제·교육 얘기를 하려고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특히 안 전 대표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개헌’ 언급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견해를 나타냈다.
이는 새정치연합 지도부가 김무성 대표의 ‘상하이발 개헌’ 발언으로 촉발된 개헌 논의를 확산시키기 위해 당력을 집중하고 있는 것과는 상반된 모습이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실제 새정치연합 문희상 비대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개헌은 국민적 흐름의 대세”라며 김무성 대표의 개헌 발언에 힘을 실었다.
새정치연합 박지원 비대위원도 "개헌을 하려면 내년이 마지막이고 적기"라며 "박근혜 대통령도 세월호 참사 이후 국가 개조를 강하게 부르짖었는데 국가 개조의 가장 큰 핵심은 개헌에서부터 출발한다"고 가세했다.
하지만 안 전 공동대표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발언은)기가 막혔다"며 "아무리 당 대표라도 국정감사 기간에 외국에 나가서 개헌 얘기를 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위험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 같은 안 전 대표의 행보에 대해 신율 교수는 “탈당 명분 쌓기”로 규정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