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새정치민주연합 홍영표 의원이 최근 국정감사에서 다시금 불거진 이명박정부의 해외자원개발 문제와 관련, “당시에 이걸 총 지휘했던 최경환 현 경제부총리를 대상으로 청문회를 열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홍 의원은 22일 오전 PBC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명백하게 드러난 실패에 대해 왜 그렇게 됐는지, 어떤 사정이 있었는지 이걸 국민 앞에 투명하게 공개를 해야 한다”면서 “그러면 당시 장관으로서 책임을 지고 있던 사람이 나와 증언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금 (최경환 부총리가)국감 일정이 겹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저희들로서는 얼마든지 시간을 조정하면 가능하다고 보는 것”이라며 “단 한, 두시간만이라도 산업위에 와서 최대 현안이 돼 있는 해외자원개발 실패에 관해 증언해야 한다고 보고, 만약 안 한다면 산업위에서 해외자원개발만 가지고 청문회를 열어 그 원인이나 배경, 진행되는 과정,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 이런 것을 얘기 해봐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그는 “3대 공기업의 부채가 5년 사이에 44조원이 늘었다. 이게 국가재정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라며 “이런 문제에 대해 우리가 원인도 알 수 없고, 대책도 없고, 그렇게 돼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실패한 자원외교의 사례로 드러난 것이 석유공사에서 캐나다에 하베스트라는 회사가 있는데 그것을 1조원에 샀다. 그런데 그것의 10분의1도 안 되는 900억원에 재매각하기로 했다”며 “단적으로 얼마나 해외자원 개발이 잘못됐는가를 말해주는 대표적 사례”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명박정부 들어서서 자원의 자주개발률을 높이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전방위적으로 해외자원개발에 나섰지만 이게 실패로 드러났고, 그것 때문에 석유공사, 가스공사, 광물자원공사 등 우리나라 3대 자원 관련 공기업들이 엄청난 부채를 짊어지게 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지난 2007년 말 이명박정부가 시작하기 전까지 부채가 12조8000억원이었는데 2013년 말에 56조8000억원으로 44조나 부채가 늘어났다”며 “물론 모든 사업이 실패한 것은 아니지만 현재까지 드러난 것만으로 봐도 약 4조원 정도가 국민의 혈세가 낭비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이것은 정쟁이라든가 그런 차원에서 바라보면 안 된다. 국가의 미래를 위해 얼마나 중요한 문제인가”라며 “이렇게 국책사업, 국가의 중책에 대해서는 반드시 저희들이 평가를 제대로 하고 넘어가야 다음부터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홍 의원은 22일 오전 PBC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명백하게 드러난 실패에 대해 왜 그렇게 됐는지, 어떤 사정이 있었는지 이걸 국민 앞에 투명하게 공개를 해야 한다”면서 “그러면 당시 장관으로서 책임을 지고 있던 사람이 나와 증언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금 (최경환 부총리가)국감 일정이 겹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저희들로서는 얼마든지 시간을 조정하면 가능하다고 보는 것”이라며 “단 한, 두시간만이라도 산업위에 와서 최대 현안이 돼 있는 해외자원개발 실패에 관해 증언해야 한다고 보고, 만약 안 한다면 산업위에서 해외자원개발만 가지고 청문회를 열어 그 원인이나 배경, 진행되는 과정,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 이런 것을 얘기 해봐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그는 “3대 공기업의 부채가 5년 사이에 44조원이 늘었다. 이게 국가재정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라며 “이런 문제에 대해 우리가 원인도 알 수 없고, 대책도 없고, 그렇게 돼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실패한 자원외교의 사례로 드러난 것이 석유공사에서 캐나다에 하베스트라는 회사가 있는데 그것을 1조원에 샀다. 그런데 그것의 10분의1도 안 되는 900억원에 재매각하기로 했다”며 “단적으로 얼마나 해외자원 개발이 잘못됐는가를 말해주는 대표적 사례”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명박정부 들어서서 자원의 자주개발률을 높이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전방위적으로 해외자원개발에 나섰지만 이게 실패로 드러났고, 그것 때문에 석유공사, 가스공사, 광물자원공사 등 우리나라 3대 자원 관련 공기업들이 엄청난 부채를 짊어지게 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지난 2007년 말 이명박정부가 시작하기 전까지 부채가 12조8000억원이었는데 2013년 말에 56조8000억원으로 44조나 부채가 늘어났다”며 “물론 모든 사업이 실패한 것은 아니지만 현재까지 드러난 것만으로 봐도 약 4조원 정도가 국민의 혈세가 낭비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이것은 정쟁이라든가 그런 차원에서 바라보면 안 된다. 국가의 미래를 위해 얼마나 중요한 문제인가”라며 “이렇게 국책사업, 국가의 중책에 대해서는 반드시 저희들이 평가를 제대로 하고 넘어가야 다음부터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