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급발진 사고로 신고가 접수된 차량이 매년 급증하고 있고, 최근 5년간 409건에 달하지만 이 가운데 절반은 여전히 도로를 질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박수현 의원은 22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급발진 사고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급발진 사고로 신고가 접수된 차량은 2010년 28건, 2011년 34건, 2012년 136건, 2013년 139건이고, 지난 7월까지 72건 등 총 409건으로 나타났다.
업체별로는 현대가 173건으로 가장 많았고, 기아 68건, 르노삼성 61건, 한국지엠 30건, 쌍용 24건 순이었다.
수입자동차는 BMW가 15건, 도요타 12건, 벤츠 9건 등의 순으로 신고됐다.
유종별로는 휘발유 차량 200건, LPG 100건, 경유 99건, 하이브리드 10건 순이었고, 차종별로는 소나타 LPG가 39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랜저와 소나타가 각각 22건, SM5 LPG 22건, SM5와 SM3가 각각 18건 등의 순이었다.
급발진 사고로 신고된 409대의 차량 가운데 절반이 넘는 244대는 수리 후 여전히 운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고 사고 이후 연락이 안 되는 차량도 25대에 달했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급발진 사고로 의심되는 사고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며 “올해 8월에는 급발진 의심사고로 1명이 숨지고 50여명이 중경상을 입는 대형사고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토교통부와 교통안전공단은 급발진 원인규명 노력과 함께 급발진 사고 차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박수현 의원은 22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급발진 사고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급발진 사고로 신고가 접수된 차량은 2010년 28건, 2011년 34건, 2012년 136건, 2013년 139건이고, 지난 7월까지 72건 등 총 409건으로 나타났다.
업체별로는 현대가 173건으로 가장 많았고, 기아 68건, 르노삼성 61건, 한국지엠 30건, 쌍용 24건 순이었다.
수입자동차는 BMW가 15건, 도요타 12건, 벤츠 9건 등의 순으로 신고됐다.
유종별로는 휘발유 차량 200건, LPG 100건, 경유 99건, 하이브리드 10건 순이었고, 차종별로는 소나타 LPG가 39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랜저와 소나타가 각각 22건, SM5 LPG 22건, SM5와 SM3가 각각 18건 등의 순이었다.
급발진 사고로 신고된 409대의 차량 가운데 절반이 넘는 244대는 수리 후 여전히 운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고 사고 이후 연락이 안 되는 차량도 25대에 달했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급발진 사고로 의심되는 사고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며 “올해 8월에는 급발진 의심사고로 1명이 숨지고 50여명이 중경상을 입는 대형사고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토교통부와 교통안전공단은 급발진 원인규명 노력과 함께 급발진 사고 차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