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새누리당 김태호 최고위원이 최근 ‘개헌론’을 비판하며 최고위원직 사퇴 의사를 밝혔지만 정치권 내외에서는 이번 김 최고위원의 돌발 사퇴가 ‘무리수’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홍성걸 국민대 교수는 27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김태호 최고위원의 최고위원직 사퇴 선언에 대해 “진퇴양난”이라고 평가했다.
홍 교수는 “일단 (사퇴)선언을 해놓고 뒤에 따르는 설명이 그 행동을 제대로 정당화 시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서 (최고위원직)복귀를 해도 좀 어울리지 않고 복귀를 안 해도 아주 입장이 난처한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김 최고위원)본인은 개헌논의도 해야 되겠고 경제 문제도 시급한데 국회가 별로 할 일을 안 하고 있다, 나라도 사퇴를 해서 국회에 경종을 울려야 되겠다, 일하는 국회를 만들어야겠다는 것인데, 그런데 왜 당직을 던질까 하는 게 의아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만약 국회가 일을 안 한다고 한다면 국회의원직을 차라리 던지는 게 옳지 않겠는가. 그런데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당직을 던졌다”며 “이게 무슨 뜻일까 그 의미에 대해 상당히 의아한 것이 사실이고, 혹시 청와대와 교감이 있어서 김무성 대표에 대한 경고성, 그런 것에 동참한 것이 아니냐 하는 생각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밖에서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당 최고위원직도 스스로 출마를 해서 당원들에 의해 뽑힌 자리인데 그것이 당의 의사와 전혀 상관없이 국회가 일을 안 한다고 해서 당직을 던진다는 건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상당히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을 대권주자로서 부각시키기 위한 의도는 아니었겠는가’라는 질문에 “(대선까지)시간이 많이 남았을 뿐만 아니라 이렇게 어정쩡한 모습은 대권후보 혹은 지도자로서의 모습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새누리당내 개헌 논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우선 김무성 대표가 상해 발언 이후 자제하고 있고 더 이상 얘기하지 않겠다고 하는데 적어도 정기국회 끝나기 전에는 별다른 얘기가 없을 것”이라며 “개헌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는 의원들이 많은 것 같은데, 그 개헌의 필요성을 공감한다고 해서 그것이 지금이라고 하는데 대해서는 이견이 상당히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과연 개헌논의를 할 때 만약 개헌이 다른 모든 이슈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적인 특성을 가지느냐, 겁을 내고 있는 것이냐 라고 한다면 개헌논의 자체를 하지 말아야 한다는 얘기인데, 그러면 또 민주주의 국가에서 옳은 것이냐 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며 “개헌의 동력이 내년 초에 다시 이어질까 하는 것이 조금은 의문”이라고 부정적으로 내다봤다.
홍성걸 국민대 교수는 27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김태호 최고위원의 최고위원직 사퇴 선언에 대해 “진퇴양난”이라고 평가했다.
홍 교수는 “일단 (사퇴)선언을 해놓고 뒤에 따르는 설명이 그 행동을 제대로 정당화 시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서 (최고위원직)복귀를 해도 좀 어울리지 않고 복귀를 안 해도 아주 입장이 난처한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김 최고위원)본인은 개헌논의도 해야 되겠고 경제 문제도 시급한데 국회가 별로 할 일을 안 하고 있다, 나라도 사퇴를 해서 국회에 경종을 울려야 되겠다, 일하는 국회를 만들어야겠다는 것인데, 그런데 왜 당직을 던질까 하는 게 의아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만약 국회가 일을 안 한다고 한다면 국회의원직을 차라리 던지는 게 옳지 않겠는가. 그런데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당직을 던졌다”며 “이게 무슨 뜻일까 그 의미에 대해 상당히 의아한 것이 사실이고, 혹시 청와대와 교감이 있어서 김무성 대표에 대한 경고성, 그런 것에 동참한 것이 아니냐 하는 생각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밖에서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당 최고위원직도 스스로 출마를 해서 당원들에 의해 뽑힌 자리인데 그것이 당의 의사와 전혀 상관없이 국회가 일을 안 한다고 해서 당직을 던진다는 건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상당히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을 대권주자로서 부각시키기 위한 의도는 아니었겠는가’라는 질문에 “(대선까지)시간이 많이 남았을 뿐만 아니라 이렇게 어정쩡한 모습은 대권후보 혹은 지도자로서의 모습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새누리당내 개헌 논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우선 김무성 대표가 상해 발언 이후 자제하고 있고 더 이상 얘기하지 않겠다고 하는데 적어도 정기국회 끝나기 전에는 별다른 얘기가 없을 것”이라며 “개헌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는 의원들이 많은 것 같은데, 그 개헌의 필요성을 공감한다고 해서 그것이 지금이라고 하는데 대해서는 이견이 상당히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과연 개헌논의를 할 때 만약 개헌이 다른 모든 이슈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적인 특성을 가지느냐, 겁을 내고 있는 것이냐 라고 한다면 개헌논의 자체를 하지 말아야 한다는 얘기인데, 그러면 또 민주주의 국가에서 옳은 것이냐 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며 “개헌의 동력이 내년 초에 다시 이어질까 하는 것이 조금은 의문”이라고 부정적으로 내다봤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