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영표, “검은 거래로 잘못된 투자인지 국정조사 통해 밝혀야”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여야가 이명박정부의 자원외교를 둘러싼 논란과 관련, 비리행위 색출에는 한 목소리를 냈지만 국정조사 실시 여부에 대해서는 이견을 드러냈다.
새누리당은 예산 낭비 등의 비리가 있었다면 따져봐야 하지만 국정조사는 거부하고 있고, 새정치민주연합은 권력형 비리 가능성을 주장하면서 국정조사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새누리당 정책위부의장은 이현재 의원은 25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자원이 없는 나라로서 자원 확보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하는데 지난 정부에 몇 건의 실패 사례가 있어서 많은 국민들의 우려를 낳고 있다”며 “아주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자원개발이라는 게 궁극적으로 시간은 좀 걸리고, 해외에 있다 보니 타당성 조사를 충분히 하고 실사를 해야 하는데 캐나다 NARL정유공장 인수의 경우를 보면 5일 만에 실사 없이 결정하다 보니 이런 부실을 낳은 것”이라며 “또 해외투자를 하게 되면 민간하고 컨소시엄으로 가야 하는데 단독 100% 투자를 하다 보니 전문지식이 다소 해외정보가 부족한 경우가 생기면 그게 커다란 부실로 연결되는 사례들”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야당이 제기하고 있는 ‘비리 의혹’에 대해서는 “이 문제는 감사원에서도 조사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결과를 지켜보는 게 좋을 것”이라며 “대표적으로 몇 건의 부실투자 사례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보면 자원개발은 10년 정도 그 이상을 보고 가야 하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 전부 잘못됐다고 표현하는 것은 지나치다”고 일축했다.
그는 ‘국정조사’ 실시 여부에 대해서는 “당에서는 그 문제에 대해 심도 있게 검토가 안 되는 것으로 알고 있고, 여러 가지 감사도 하고 있으니 그 결과가 나오면 여야 협의에 따라 앞으로 정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이 문제는 회생이 가능한 부분은 잘 회생되도록 하고 또 해외투자한 부분 중 점검을 해봐야 하는데, 문제가 있다고 다 해외자원 투자를 중단하면 안 된다”며 “수익이 날 수 있는 부분은 가되 수익이 도저히 날 수 없는 부분은 정리하는 게 손실을 더 줄이는 방법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NARL정유 같은 경우 계속 끌고 가면 계속 적자만 나서 더 부실을 키우기 때문에 이런 부분은 지금 다소 손해를 보더라도 빨리 손을 떼는 게 바람직하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자원개발국부유출진상조사위원회 소속인 홍영표 의원은 “청와대나 산업부 등에서 사실상 해외투자의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도록 유도하거나 압력을 넣었을 것”이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홍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당시 이명박 대통령이나 또 책임 있는 위치에 있었던 최경환 당시 지경부장관, 윤상직 산업부장관이 다 우리는 아무 관련 없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명박 대통령만 하더라도 자원외교라고 해서 무려 45번의 해외순방을 했다”며 “또 에너지협력외교지원협의회라는 게 있었는데 이런 정체불명의 기구를 만들어 많은 의사결정을 했다. 문제는 이 공기업이 해외자원에 투자를 할 때 그 법과 내부규정에 의한 의사결정과정이 있는데 이것을 지키지 않고 투자를 한 것들이 많이 실패를 했다”고 밝혔다.
그는 “저희가 쿠르드, 이라크 유전개발을 하는 과정에서 투자를 성공시키면 그 중간에 그걸 주선한 사람에게 돈을 주는 소위 성공불이라는 게 있는데, 쿠르드 자치정부에다가 2800억원을 준 사례가 있다”며 “그런데 그런 것들이 상당히 불투명하다고 보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완벽하게 국제적인 사기를 당했거나 아니면 검은 거래로 인해 이런 잘못된 투자가 이뤄진 것 아닌가. 이것을 국정조사를 통해 명백히 밝혀야 할 것”이라며 “그러나 지금 이명박정부나 이런 분들은 전혀 책임이 없고 또 사실을 은폐하려고 하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해 저희가 실체적 진실을 밝히는데 국가적인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여야가 이명박정부의 자원외교를 둘러싼 논란과 관련, 비리행위 색출에는 한 목소리를 냈지만 국정조사 실시 여부에 대해서는 이견을 드러냈다.
새누리당은 예산 낭비 등의 비리가 있었다면 따져봐야 하지만 국정조사는 거부하고 있고, 새정치민주연합은 권력형 비리 가능성을 주장하면서 국정조사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새누리당 정책위부의장은 이현재 의원은 25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자원이 없는 나라로서 자원 확보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하는데 지난 정부에 몇 건의 실패 사례가 있어서 많은 국민들의 우려를 낳고 있다”며 “아주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자원개발이라는 게 궁극적으로 시간은 좀 걸리고, 해외에 있다 보니 타당성 조사를 충분히 하고 실사를 해야 하는데 캐나다 NARL정유공장 인수의 경우를 보면 5일 만에 실사 없이 결정하다 보니 이런 부실을 낳은 것”이라며 “또 해외투자를 하게 되면 민간하고 컨소시엄으로 가야 하는데 단독 100% 투자를 하다 보니 전문지식이 다소 해외정보가 부족한 경우가 생기면 그게 커다란 부실로 연결되는 사례들”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야당이 제기하고 있는 ‘비리 의혹’에 대해서는 “이 문제는 감사원에서도 조사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결과를 지켜보는 게 좋을 것”이라며 “대표적으로 몇 건의 부실투자 사례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보면 자원개발은 10년 정도 그 이상을 보고 가야 하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 전부 잘못됐다고 표현하는 것은 지나치다”고 일축했다.
그는 ‘국정조사’ 실시 여부에 대해서는 “당에서는 그 문제에 대해 심도 있게 검토가 안 되는 것으로 알고 있고, 여러 가지 감사도 하고 있으니 그 결과가 나오면 여야 협의에 따라 앞으로 정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이 문제는 회생이 가능한 부분은 잘 회생되도록 하고 또 해외투자한 부분 중 점검을 해봐야 하는데, 문제가 있다고 다 해외자원 투자를 중단하면 안 된다”며 “수익이 날 수 있는 부분은 가되 수익이 도저히 날 수 없는 부분은 정리하는 게 손실을 더 줄이는 방법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NARL정유 같은 경우 계속 끌고 가면 계속 적자만 나서 더 부실을 키우기 때문에 이런 부분은 지금 다소 손해를 보더라도 빨리 손을 떼는 게 바람직하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자원개발국부유출진상조사위원회 소속인 홍영표 의원은 “청와대나 산업부 등에서 사실상 해외투자의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도록 유도하거나 압력을 넣었을 것”이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홍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당시 이명박 대통령이나 또 책임 있는 위치에 있었던 최경환 당시 지경부장관, 윤상직 산업부장관이 다 우리는 아무 관련 없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명박 대통령만 하더라도 자원외교라고 해서 무려 45번의 해외순방을 했다”며 “또 에너지협력외교지원협의회라는 게 있었는데 이런 정체불명의 기구를 만들어 많은 의사결정을 했다. 문제는 이 공기업이 해외자원에 투자를 할 때 그 법과 내부규정에 의한 의사결정과정이 있는데 이것을 지키지 않고 투자를 한 것들이 많이 실패를 했다”고 밝혔다.
그는 “저희가 쿠르드, 이라크 유전개발을 하는 과정에서 투자를 성공시키면 그 중간에 그걸 주선한 사람에게 돈을 주는 소위 성공불이라는 게 있는데, 쿠르드 자치정부에다가 2800억원을 준 사례가 있다”며 “그런데 그런 것들이 상당히 불투명하다고 보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완벽하게 국제적인 사기를 당했거나 아니면 검은 거래로 인해 이런 잘못된 투자가 이뤄진 것 아닌가. 이것을 국정조사를 통해 명백히 밝혀야 할 것”이라며 “그러나 지금 이명박정부나 이런 분들은 전혀 책임이 없고 또 사실을 은폐하려고 하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해 저희가 실체적 진실을 밝히는데 국가적인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