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권역별 최고위원제' 두고 설전

    정당/국회 / 전용혁 기자 / 2014-12-04 17:41:43
    • 카카오톡 보내기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새정치민주연합은 4일 최고위원 지위를 비롯한 전대룰에 대한 당론 수렴에 나섰다.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 위원장인 김성곤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최고위원의 지위와 구성'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새정치연합은 내년 2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정치혁신실천위원회가 도입을 추진 중인 권역별 최고위원제에 대한 친노(친 노무현)계와 비노(비 노무현)계가 신경전을 벌이고 있어 관심이 모아졌으나 실제 의원들의 참석은 20여 명에 그쳤다.

    정치혁신실천위원회 간사인 김기식 의원은 "2002년 대선에서 '노무현 돌풍'이 일어난 것은 국민참여 경선이라는 정당사의 틀을 바꾼 것이다. 이 같은 과감한 혁신을 해야 변화를 국민이 체감할 것"이라며 "이에 따른 개혁안은 (당 내의) 완벽한 3권분립"이라고 설명했다.

    김기식 의원은 "현행 당 대표는 인사권과 재정권을 갖고 있다. 3권분립 강화는 (이러한) 당 대표의 권한을 축소하게 된다"면서도 "전대를 앞두고 최고위원 출마할 분들이 선거준비를 하는 상황에서 3권분립 도입은 현실적으로 어려웠다. 그 조정안이 권역별 최고위원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행 최고위원은 뽑힌 다음 할 일이 없다. 선출된 최고위원이 대표하는 단위가 없기 때문"이라며 "최고위원이 대표할 단위가 생기면 훨씬 더 최고위원회의 의사결정에 기여하게 되고 당 재정이나 공천 과정에서 당이 민주화 될 것"이라고 제도 도입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정청래 의원은 "기존의 룰을 고치지 말자고 합의했으면 그 정신에 맞게 가는 것이 분란을 줄이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정청래 의원은 "소단위(권역별)로 나눠 뽑으면 투표결과를 좌지우지 하는 세력이 있을 수밖에 없다. 최고위원과 (당) 대표 선거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우리당의 당권은 모든 당원으로부터 나온다. 권역별 당권에 의해 권력이 나오고 지역 당원이 최고위원을 뽑는 것은 헌법 위반이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지금 중요한 것은 대중적 결합과 지지가 당을 밀고가는 원동력이 돼야 한다는 것"이라며 "시대별로 시대정신이 있다. 지금은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시대정신"이라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이어 "보수정당이라고 하는 새누리당은 모바일 투표로 여성과 남성 비례대표 1명씩 뽑겠다고 결정했다"며 "우리당은 모바일 투표조차 못하는 정당이다. SNS 스마트 정당으로 변모시킬 것이냐는 것이 당면 제1과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재성 의원은 정당 권위주의 타파를 위해 당의 3권분립을 위한 당헌 개정을 요구하며 권역별 최고위원제에 대해 간접적으로 지지의사를 밝혔다.

    최재성 의원은 "당연직과 당 대표가 임명하는 사람들로 채우는 대의기구 구성은 그만해야 한다"며 "당 지도부의 독단을 견제하기 위해 지역에서 선출하고 직능과 부문 조직에서 직접 선출된 중앙위원, 당무위원들로 중앙위원회와 당무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최 의원은 "공천 폐해는 지역의 후보를 그 지역 당원과 국민이 공천하는 원칙을 세워고 지켜야 극복될 수 있다. 시도당의 3권분립 원칙을 적용해 분권적 민주질서를 확립하고 그에 걸맞는 권한과 책임이 주어져야 한다"며 "책임정치의 확대가 혁신의 길이다. 승자독식구조의 해체, 분권형 민주질서의 확립을 위한 당헌의 전면적 개정을 제안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준위 소속 최원식 의원은 최고위원회 체제에 대한 구성의 쟁점을 설명하며 "당헌당규분과위에서 선출직 최고위원 5인, 지명직 최고위원 2인으로 하되 여성 최고위원 라운드를 두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선거인단 구성에 대해 전준위에서 다양한 견해가 논의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견임을 전제하며 "권리당원 50%, 대의원 30%, 일반국민 20%의 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