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이 ‘한수원 해킹’ 사건과 관련, “사이버위기 경보 수준을 즉각 ‘관심’에서 ‘심각’ 단계로 격상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하 의원은 23일 오전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한수원은 마치 뜬 눈 장님처럼 속수무책으로 사이버테러에 당했는데, 지금도 정부는 사태의 심각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원전 사이버테러는 사이버테러 자체로도 심각한 위기를 가져올 수 있지만 사이버테러로 취득한 정보를 악용해 원전에 대한 다른 형태의 공격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을 정부는 인정해야 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난 21일 산업부와 원안위는 공동으로 이번 유출사건에 대해 ‘원전 안전에는 영향 없다’는 입장을 밝혔는데, 정부가 원전 안전에 자신을 하는 이유는 이번에 한수원에서 유출된 자료는 원전 운전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기밀 자료가 아니라는 것과, 설령 해킹에 의한 유출이라 해도 외부에서 인터넷으로 원전 제어망까지 접근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라며 “물론 해킹으로 원전 제어망까지 직접 접근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으나 해킹으로 파악한 정보를 통해 취득한 원전 보안의 허점을 악용해 원전에 대한 물리적 테러까지 이어질 가능성은 원천 배제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자신이 입수한 ‘모 발전소 정기검사 결과보고서’를 인용하며 “사이버보안을 포함한 원전의 물리적 안전 상태가 생각보다 심각함을 알 수 있다”며 “이 보고서에는 ‘사업소 내부 건물벽, 출입문에 대한 설계도면 및 설치정보가 구비돼 있지 않아 침입세력이 건물내부로 침투했을 경우의 물리적 방호 대응전략을 수립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명시돼 있는데, 즉 외부침입이 있다고 하더라도 막기 어렵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해커들이 취득한 문서들 중 이처럼 원전 방호와 안전의 허점을 파악할 수 있는 문서들이 하나도 없다고 한수원은 장담할 수 있는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한수원 자료 유출에 대해 국민들의 불안감은 여전한데, 이번 사건이 한수원 내부 유출인지, 외부 해킹인지, 북한과의 연관성 대문인지 등 정부는 원인조차 현재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는 이번 사건의 원인이 밝혀지기 전까지는 모든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서 엄중히 대처해야 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하 의원은 23일 오전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한수원은 마치 뜬 눈 장님처럼 속수무책으로 사이버테러에 당했는데, 지금도 정부는 사태의 심각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원전 사이버테러는 사이버테러 자체로도 심각한 위기를 가져올 수 있지만 사이버테러로 취득한 정보를 악용해 원전에 대한 다른 형태의 공격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을 정부는 인정해야 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난 21일 산업부와 원안위는 공동으로 이번 유출사건에 대해 ‘원전 안전에는 영향 없다’는 입장을 밝혔는데, 정부가 원전 안전에 자신을 하는 이유는 이번에 한수원에서 유출된 자료는 원전 운전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기밀 자료가 아니라는 것과, 설령 해킹에 의한 유출이라 해도 외부에서 인터넷으로 원전 제어망까지 접근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라며 “물론 해킹으로 원전 제어망까지 직접 접근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으나 해킹으로 파악한 정보를 통해 취득한 원전 보안의 허점을 악용해 원전에 대한 물리적 테러까지 이어질 가능성은 원천 배제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자신이 입수한 ‘모 발전소 정기검사 결과보고서’를 인용하며 “사이버보안을 포함한 원전의 물리적 안전 상태가 생각보다 심각함을 알 수 있다”며 “이 보고서에는 ‘사업소 내부 건물벽, 출입문에 대한 설계도면 및 설치정보가 구비돼 있지 않아 침입세력이 건물내부로 침투했을 경우의 물리적 방호 대응전략을 수립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명시돼 있는데, 즉 외부침입이 있다고 하더라도 막기 어렵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해커들이 취득한 문서들 중 이처럼 원전 방호와 안전의 허점을 파악할 수 있는 문서들이 하나도 없다고 한수원은 장담할 수 있는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한수원 자료 유출에 대해 국민들의 불안감은 여전한데, 이번 사건이 한수원 내부 유출인지, 외부 해킹인지, 북한과의 연관성 대문인지 등 정부는 원인조차 현재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는 이번 사건의 원인이 밝혀지기 전까지는 모든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서 엄중히 대처해야 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