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北 성의보이면 환영” vs “우리가 좀 더 유연하게”

    정당/국회 / 전용혁 기자 / 2015-01-02 17:35:13
    • 카카오톡 보내기
    ‘남북정상회담’ 개최 조건 두고 의견차
    [시민일보=전용혁 기자]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1일 신년사에서 남북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언급한 가운데 여야 정치권이 입을 모아 환영의 뜻을 밝혔지만 그 과정에 대해서는 다소 의견차를 드러냈다.

    새누리당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는 2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과연 (정상회담까지)갈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박왕자씨 피살사건, 천안함 사건, 연평도 사건 등 모든 문제를 일거에 해결하는 방법, 그런 과정에서 북한측이 성의를 보인다면 우리 정부는 어떤 형태로든 전향적으로 나갈 자세가 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물론 복잡하고 엉켜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일괄 타결 시킨다면 더 좋은 일이라고 생각하고 그 과정이 결국 최고위급 회담이라는 것도 어느 날 갑자기 할 수는 없는 것인데 그런 과정이 모든 것을 해결하는 해결 방안의 하나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상회담이 실시되는 것 자체에 대해서 필요성이 있다고 보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정상회담을 할 수만 있다면 모든 것이 타결될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답변했다.

    그는 “북한 인권단체에서 대북전단이 가장 강력한 무기라고 주장하는 분들도 있고 그것이 별 효과가 없다고 주장하는 분들도 있는데 어쨌든 이런 것도 북한에 대한 정책적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런 방식이 과연 북한을 얼마나 변화시킬 것이냐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있는 만큼 우리가 더 현실적으로 정부 주도로 또는 최고위급 회담을 통해 북한을 변화시키고 남북간 화해모드를 조성할 수 있다면 나머지 모든 것은 전부 해결할 수 있는 것”이라고 거듭 밝혔다.

    이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민병두 정책연구원장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공약대로 신뢰 프로세스에 따라 상대방에 먼저 신뢰를 보여야 한다는 것을 반복하기 전에 우리가 좀 더 유연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난 번에 남북간 협의할 때 상당히 근접했는데, 연평도 폭침 문제에 대해서는 포괄적으로 정리해나가고 대북 전단 문제에서 마지막에 가로 막힌 것”이라며 “지금 대북전단 문제는 국회에서 대북전단 살포 금지법을 만들고 있는 것 같은데 그러면 그것은 국회의 몫으로 넘기고 정부가 유연한 자세를 취해서 제한해 나가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만약 대북전단을 살포해서 효과도 미미하지만 부분적인 긴장과 갈등, 또 물리적 충돌이 발생한다고 하면 그 책임을 누가 다 감당할 수 있겠는가”라며 “지금은 정부가 전향적으로 변화를 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