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당 대표 선거에 출마하는 이인영 의원이 최근 당내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당명 개정’ 문제에 대해 “안철수 전 대표가 반대한다면 당명 개정을 무리해서 추진할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5일 오전 YTN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지금 이미 선관위에 민주당이라는 이름이 등록돼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법적 시비를 일으키기보다는 우리 당이 자랑스러웠던 시절 명예, 자부심, 자존감을 회복하는 것이 최우선”이라며 “이런 것을 바로 논의하기보다는 혁신경쟁에 주력하고 스스로 자강한 이후 당명개정 여부에 대한 합의를 차차 도출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민주당이라는 이름은 고유명사가 아니라 세계적인 보편성을 가지는, 또 대한민국 야당을 대표하는 일반명사”라며 “안철수 의원께서 말씀하시는 새정치의 가치, 이것은 명칭을 넘어 우리 당이 가야 할 방향성이기도 하기 때문에 향후에도 정치 노선과 정강 정책으로 확고하게 자리 잡는다면 언젠가 당명에 대한 정치적 오해 없이 다시 논의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분당 우려가 나오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분당의 가능성은 있을 수 없고, 있어서도 안 된다. 새누리당이 만세 부를 일”이라며 “당보다는 나라의 미래가 더욱 시급하고 서민의 눈물을 닦아주기 위해 새정치민주연합이 먼저 혁신해야 한다는 충언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제가 당을 바꾸기 위해 나섰고, 국민의 삶을 지키겠다는 각오로 나섰기 때문에 당을 혁명적으로 변화시키고 그런 과정에서 당이 변화했다, 믿을만 하다고 생각한다면 설사 분당과 신당 창당을 염두에 두셨던 분들도 다시 믿고 당을 혁신하는데 함께 해 주실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그러면서 그는 “지금 당이 망가진 이유 중 하나는 공천을 잘못한 부분이 있는데 이후 당 대표가 누가 되든지 우리 당의 공천문제 만큼은 당헌과 당규에 명시해 제도와 시스템을 예측 가능한 공천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며 “이걸 특정계파나 특정세력이 자기 유불리에 따라, 이해관계에 따라 함부로 흔들려고 한다면 저부터 목숨 걸고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공천 계량화에 대해서는 "충분히 검토 가능한 방식이고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이라는 생각"이라면서도 "제도와 시스템으로 공천과정을 거치면 누가 봐도 공정했고 투명했기 때문에 시비거리도 없고 분란도 없는 상황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5일 오전 YTN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지금 이미 선관위에 민주당이라는 이름이 등록돼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법적 시비를 일으키기보다는 우리 당이 자랑스러웠던 시절 명예, 자부심, 자존감을 회복하는 것이 최우선”이라며 “이런 것을 바로 논의하기보다는 혁신경쟁에 주력하고 스스로 자강한 이후 당명개정 여부에 대한 합의를 차차 도출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민주당이라는 이름은 고유명사가 아니라 세계적인 보편성을 가지는, 또 대한민국 야당을 대표하는 일반명사”라며 “안철수 의원께서 말씀하시는 새정치의 가치, 이것은 명칭을 넘어 우리 당이 가야 할 방향성이기도 하기 때문에 향후에도 정치 노선과 정강 정책으로 확고하게 자리 잡는다면 언젠가 당명에 대한 정치적 오해 없이 다시 논의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분당 우려가 나오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분당의 가능성은 있을 수 없고, 있어서도 안 된다. 새누리당이 만세 부를 일”이라며 “당보다는 나라의 미래가 더욱 시급하고 서민의 눈물을 닦아주기 위해 새정치민주연합이 먼저 혁신해야 한다는 충언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제가 당을 바꾸기 위해 나섰고, 국민의 삶을 지키겠다는 각오로 나섰기 때문에 당을 혁명적으로 변화시키고 그런 과정에서 당이 변화했다, 믿을만 하다고 생각한다면 설사 분당과 신당 창당을 염두에 두셨던 분들도 다시 믿고 당을 혁신하는데 함께 해 주실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그러면서 그는 “지금 당이 망가진 이유 중 하나는 공천을 잘못한 부분이 있는데 이후 당 대표가 누가 되든지 우리 당의 공천문제 만큼은 당헌과 당규에 명시해 제도와 시스템을 예측 가능한 공천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며 “이걸 특정계파나 특정세력이 자기 유불리에 따라, 이해관계에 따라 함부로 흔들려고 한다면 저부터 목숨 걸고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공천 계량화에 대해서는 "충분히 검토 가능한 방식이고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이라는 생각"이라면서도 "제도와 시스템으로 공천과정을 거치면 누가 봐도 공정했고 투명했기 때문에 시비거리도 없고 분란도 없는 상황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