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강진=정찬남 기자]가축 질병 예방에 가장 먼저 개인적인 소독을 철저히 해야 하는 축산관계자들이 작년 한해, 악성 가축전염병 발생국에 다녀와 제대로 소독예방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축산농가들로부터 빈축을 사고 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황주홍(전남 장흥 영암 강진)국회의원은 8일, 축산관계자 367명이 지난해 국내에 입국하면서 이를 신고하지 않았다고 밝혀 전국에서 AI와 구제역 확산조짐으로 긴장하고 있는 축산농가들로부터 따가운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황 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한해 가축전염병발생국을 다녀온 축산관계자가 7만 3614명에 달해 하루에도 수백 명이 입국한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하루에 한 명은 질병발생국에 다녀온 사실을 신고하지 않아 검역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다.
입국자는 재작년인 2013년 5만 9046명 보다 1.2배 늘어난데 반해, 미신고자는 2013년 59명보다 6.2배나 늘었다.
농림부는, 미 신고자에 대해서도 거주지 관할 지자체 담당자에게 통보를 하는 등 후속조치를 한다는 입장이지만, 입국 당시의 검역 조치 대상에서는 누락됐다. 이들 입국자들이 신고하지 않고 입국하는 경우, 일반인들과 마찬가지로 발판소독조를 밟고 나오는 것 외에 별다른 소독조치를 거치지 않는 것이다.
황 의원은“입국자들의 자진신고에 의존하다보니, 검역에 공백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라며“작년에만 돼지 2만 마리, 닭․오리 1500만 마리를 살(殺)처분 해야 했던 농가의 시름을 헤아려 입국 신고와 명단 등록을 의무화하는 등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