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새누리당 조해진 원내수석부대표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복지ㆍ증세 문제와 관련, “경제가 성장하든 후퇴하든 끊임없이 국가적으로 탐구하고 논의하고 합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그는 10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우리 경제 수준에서 가장 최적의 복지수준이 어디까지인가, 그리고 그걸 뒷받침하기 위해 가장 최적의 국민조세부담 수준은 또 어디까지인가, 이건 어느 한 시기에 우리가 고민해야 될 문제가 아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가 대선이나 각종 선거를 거치면서 펼쳐놓은 복지가 굉장히 많은데 이런 것들이 재정에 부담을 주고 또 국민 세부담을 늘릴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의는 계속 있어야 할 것”이라며 “국민적 합의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망을 가지고 합리적 논의를 진행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건 저희가 이론적으로 학문적으로 논쟁을 하자고 해서 끄집어낸 게 아니고 현장에서 국민들의 세금부담이 늘어나면서 국민들 스스로 정치권에 대해 해결책을 내놓으라고 한 상황이기 때문에 국정을 책임지고 있는 정부여당 입장에서 국민께 설명 드리고 앞으로 어떻게 해갈 것인지에 대해 해답을 내놓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그는 ‘논란만 있고 해법은 없는 것 아니냐’라는 비판에 대해서는 “이렇게 큰 국민의 세부담이 늘어나게 된 이유 중 하나가 선거 때마다 복지공약이 하나씩 추가됐기 때문”이라며 “내년 1년 뒤에 또 총선이 있다. 우리가 하고 있는 이 복지로도 국민 세부담으로 감당이 안 돼서 큰 논란이 있는데 이게 정리가 안 된 상황에서 내년 총선에서 또 여야 없이 눈앞의 표 때문에 새로운 복지공약을 제시하고 또 그걸 제대로 도입한다며 그 상황이 더 끔찍할 것”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그런 무책임한 선심성 공약이 남발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표심이 흔들리지 않기 위해서라도 지금 분명히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10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우리 경제 수준에서 가장 최적의 복지수준이 어디까지인가, 그리고 그걸 뒷받침하기 위해 가장 최적의 국민조세부담 수준은 또 어디까지인가, 이건 어느 한 시기에 우리가 고민해야 될 문제가 아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가 대선이나 각종 선거를 거치면서 펼쳐놓은 복지가 굉장히 많은데 이런 것들이 재정에 부담을 주고 또 국민 세부담을 늘릴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의는 계속 있어야 할 것”이라며 “국민적 합의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망을 가지고 합리적 논의를 진행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건 저희가 이론적으로 학문적으로 논쟁을 하자고 해서 끄집어낸 게 아니고 현장에서 국민들의 세금부담이 늘어나면서 국민들 스스로 정치권에 대해 해결책을 내놓으라고 한 상황이기 때문에 국정을 책임지고 있는 정부여당 입장에서 국민께 설명 드리고 앞으로 어떻게 해갈 것인지에 대해 해답을 내놓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그는 ‘논란만 있고 해법은 없는 것 아니냐’라는 비판에 대해서는 “이렇게 큰 국민의 세부담이 늘어나게 된 이유 중 하나가 선거 때마다 복지공약이 하나씩 추가됐기 때문”이라며 “내년 1년 뒤에 또 총선이 있다. 우리가 하고 있는 이 복지로도 국민 세부담으로 감당이 안 돼서 큰 논란이 있는데 이게 정리가 안 된 상황에서 내년 총선에서 또 여야 없이 눈앞의 표 때문에 새로운 복지공약을 제시하고 또 그걸 제대로 도입한다며 그 상황이 더 끔찍할 것”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그런 무책임한 선심성 공약이 남발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표심이 흔들리지 않기 위해서라도 지금 분명히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