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서울시가 6개 정수센터에 첨단고도정수처리시설 100% 구축을 통해 6월부터는 오존과 숯으로 한 번 더 거른 수돗물을 서울 전역에 공급한다.
또한 6개 정수센터-상수도관-아파트 공용배관 및 각 가정 세대별 급수관으로 이어지는 ‘고도정수처리 수돗물 안전 공급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사적 영역인 옥내 노후급수관과 공공 영역인 노후 상수도관 교체로 2020년까지 100%를 목표로 추진하는 것이다.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하는 ‘서울시 아리수 급수환경 혁신대책’을 11일 발표, 수돗물 아리수를 정수하거나 끓이지 않아도 각 가정의 수도꼭지에서 바로 마실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의 핵심인 개인 주택내 노후 급수관 100% 교체는 그동안 수돗물 맛 저해 요인 중 하나였던 수돗물 전달체계를 전면 개선하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아직 노후 급수관을 쓰고 있는 소규모 주택 30만2408가구와 중ㆍ대형주택 6만8000가구 등 총 37만 가구의 시 지원을 강화해 노후 수도관 교체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소규모 주택의 경우 노후 급수관 교체 공사비를 기존 최대 50%에서 80%까지 상향, 지원한다.
이렇게 되면 단독주택은 최대 150만원, 다가구주택은 최대 200만원에서 250만원으로, 공동주택은 가구 당 최대 80만원에서 120만원까지 교체공사비를 지원받게 된다.
6층 이상 고층아파트 가압직결급수는 올해 대상 아파트 60개 단지 중 30개 단지는 기존에 노후급수관을 교체했거나 노후급수관 교체예정인 아파트를, 나머지 30개 단지는 신축 아파트에 적용한다.
또한 ‘아리수 마시는 마을’은 올 하반기까지 대규모 주거타운인 은평ㆍ상암ㆍ세곡지구 등의 SH공사에서 시공한 아파트 3곳과 민간이 신축하는 공동주택 1곳(2017년)에 시범 조성된다.
이곳에는 자동으로 실시간 수질을 측정해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수돗물이 공급될 경우 탁한 물을 배출하는 ‘관로 자동드레인’, 아파트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도관 중 일부를 투명하게 만들어 지상으로 노출시켜 주민이 육안으로 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 수도관’이 설치된다.
또 단지내 수질전광판과 세대내 ‘월패드’를 부착, 수돗물 수질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고, 각 세대내 아리수 전용 붙박이 음수대와 단지내 놀이터 등에도 음수대를 설치해 아파트 어디에서도 쉽게 아리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는 2017년까지 시내 1345개교 모든 초ㆍ중ㆍ고등학교에 직결급수로 공급되는 아리수 음수대 2만2398대를 설치하고 이중 15곳에는 캐릭터를 활용한 친근한 디자인의 음수대를 시범 설치한다.
시는 앞으로 고도정수와 함께 한강수계의 수질, 댐방류랑, 기온, 강수량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등 빅데이터를 활용해 계절별ㆍ지역별 조류 지도를 작성, 원수 수질변화 상황을 사전에 대처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6개 정수센터-상수도관-아파트 공용배관 및 각 가정 세대별 급수관으로 이어지는 ‘고도정수처리 수돗물 안전 공급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사적 영역인 옥내 노후급수관과 공공 영역인 노후 상수도관 교체로 2020년까지 100%를 목표로 추진하는 것이다.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하는 ‘서울시 아리수 급수환경 혁신대책’을 11일 발표, 수돗물 아리수를 정수하거나 끓이지 않아도 각 가정의 수도꼭지에서 바로 마실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의 핵심인 개인 주택내 노후 급수관 100% 교체는 그동안 수돗물 맛 저해 요인 중 하나였던 수돗물 전달체계를 전면 개선하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아직 노후 급수관을 쓰고 있는 소규모 주택 30만2408가구와 중ㆍ대형주택 6만8000가구 등 총 37만 가구의 시 지원을 강화해 노후 수도관 교체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소규모 주택의 경우 노후 급수관 교체 공사비를 기존 최대 50%에서 80%까지 상향, 지원한다.
이렇게 되면 단독주택은 최대 150만원, 다가구주택은 최대 200만원에서 250만원으로, 공동주택은 가구 당 최대 80만원에서 120만원까지 교체공사비를 지원받게 된다.
6층 이상 고층아파트 가압직결급수는 올해 대상 아파트 60개 단지 중 30개 단지는 기존에 노후급수관을 교체했거나 노후급수관 교체예정인 아파트를, 나머지 30개 단지는 신축 아파트에 적용한다.
또한 ‘아리수 마시는 마을’은 올 하반기까지 대규모 주거타운인 은평ㆍ상암ㆍ세곡지구 등의 SH공사에서 시공한 아파트 3곳과 민간이 신축하는 공동주택 1곳(2017년)에 시범 조성된다.
이곳에는 자동으로 실시간 수질을 측정해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수돗물이 공급될 경우 탁한 물을 배출하는 ‘관로 자동드레인’, 아파트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도관 중 일부를 투명하게 만들어 지상으로 노출시켜 주민이 육안으로 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 수도관’이 설치된다.
또 단지내 수질전광판과 세대내 ‘월패드’를 부착, 수돗물 수질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고, 각 세대내 아리수 전용 붙박이 음수대와 단지내 놀이터 등에도 음수대를 설치해 아파트 어디에서도 쉽게 아리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는 2017년까지 시내 1345개교 모든 초ㆍ중ㆍ고등학교에 직결급수로 공급되는 아리수 음수대 2만2398대를 설치하고 이중 15곳에는 캐릭터를 활용한 친근한 디자인의 음수대를 시범 설치한다.
시는 앞으로 고도정수와 함께 한강수계의 수질, 댐방류랑, 기온, 강수량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등 빅데이터를 활용해 계절별ㆍ지역별 조류 지도를 작성, 원수 수질변화 상황을 사전에 대처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