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군현, “국가 위해 일할 수 있는 인물 내세워 최선 다할 것”
양승조, “박근혜정부 2년간 불통문제 등 당연히 제기할 예정”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4.29재보궐선거를 한달여 앞둔 가운데 여야의 선거 전략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여당은 색깔론을 부각시키면서 지역일꾼론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대여공세에 집중하고 있는 모습이다.
새누리당 이군현 사무총장은 30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누가 어떻게 연대를 하든 우리는 좋은 후보를 내서 그 지역을 위해, 또 국가를 위해 일할 수 있는 인물을 내세워 최선을 다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방심은 선거에서 금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저희들이 유불리를 따지지 않고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몇 석 정도를 얻어야 여권이 선방했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미리 예단하기는 적절치 않고, 어떤 선거구가 되든 최선을 다한다는 자세로 임해야 할 것”이라며 “이번 선거를 가지고 몇 석을 얻었기 때문에 국민이 정권을 평가 또는 심판 했다, 안 했다고 보긴 무리가 있다”고 즉답을 피했다.
그는 “(선거 지역은)네 곳이지만 세 곳은 19대 총선 때 정치공학적 좌파 선거연대 때문에 통합진보당 의원들이 당선되고 거기에 위헌판결이 나서 보궐선거를 치르는 것”이라며 “사실 그 지역이 상대적으로 지역경제발전이 지체된 측면이 크기 때문에 우리는 지역 밀착형 경제를 살릴 수 있는 일꾼을 뽑는 자세로 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야당의 박근혜정부 경제실패 책임론에 대해서는 “경제가 어렵지 않은 때가 어느 정권이나 있겠는가”라며 “전체적으로 보면 국외적으로, 또 국내적으로 다 경제가 굉장히 어려운데 이런 상황에서 저희는 박근혜정부와 잘 하고 있다는 생각”이라고 일축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양승조 사무총장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박근혜정부 2년간 불통 문제, 특정지역 인사편중 문제 등을 당연히 제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관광활성화법 같은 경우도 학교 앞에 호텔 등을 짓는다는데 경제활성화법이라고 하는 대기업에 특혜를 주는 문제라든지, 우리 교육환경에 커다란 저해를 가져오는 법안이기 때문에 진정한 경제활성화법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며 “진정한 경제활성화법이라면 새정치민주연합이 반대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민생경제 경제 제1정당을 표방하는 만큼 최저임금 인상, 연말정산 폭탄, 건보료정산 폭탄의 시정을 통한 조세정의 실현, 또 부자감세 처리 등을 통한 법인세 정상화 문제, 1089조원에 이르는 가계부채 해결 문제 등을 내용으로 담은 공약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선거 결과 전망에 대해서는 “상당히 어려운 선거이긴 하지만 네 군데 중 한 군데도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한다면 경우에 따라서는 충분히 승리할 수 있다고 예측하고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사실 한 달가량 남은 이 시점에서 예측하긴 어렵지만 우리가 어떤 경우에도 과반 정도는 얻어야 하고, 또 경우에 따라 네 석을 모두 얻어야 한다는 의지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양승조, “박근혜정부 2년간 불통문제 등 당연히 제기할 예정”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4.29재보궐선거를 한달여 앞둔 가운데 여야의 선거 전략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여당은 색깔론을 부각시키면서 지역일꾼론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대여공세에 집중하고 있는 모습이다.
새누리당 이군현 사무총장은 30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누가 어떻게 연대를 하든 우리는 좋은 후보를 내서 그 지역을 위해, 또 국가를 위해 일할 수 있는 인물을 내세워 최선을 다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방심은 선거에서 금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저희들이 유불리를 따지지 않고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몇 석 정도를 얻어야 여권이 선방했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미리 예단하기는 적절치 않고, 어떤 선거구가 되든 최선을 다한다는 자세로 임해야 할 것”이라며 “이번 선거를 가지고 몇 석을 얻었기 때문에 국민이 정권을 평가 또는 심판 했다, 안 했다고 보긴 무리가 있다”고 즉답을 피했다.
그는 “(선거 지역은)네 곳이지만 세 곳은 19대 총선 때 정치공학적 좌파 선거연대 때문에 통합진보당 의원들이 당선되고 거기에 위헌판결이 나서 보궐선거를 치르는 것”이라며 “사실 그 지역이 상대적으로 지역경제발전이 지체된 측면이 크기 때문에 우리는 지역 밀착형 경제를 살릴 수 있는 일꾼을 뽑는 자세로 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야당의 박근혜정부 경제실패 책임론에 대해서는 “경제가 어렵지 않은 때가 어느 정권이나 있겠는가”라며 “전체적으로 보면 국외적으로, 또 국내적으로 다 경제가 굉장히 어려운데 이런 상황에서 저희는 박근혜정부와 잘 하고 있다는 생각”이라고 일축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양승조 사무총장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박근혜정부 2년간 불통 문제, 특정지역 인사편중 문제 등을 당연히 제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관광활성화법 같은 경우도 학교 앞에 호텔 등을 짓는다는데 경제활성화법이라고 하는 대기업에 특혜를 주는 문제라든지, 우리 교육환경에 커다란 저해를 가져오는 법안이기 때문에 진정한 경제활성화법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며 “진정한 경제활성화법이라면 새정치민주연합이 반대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민생경제 경제 제1정당을 표방하는 만큼 최저임금 인상, 연말정산 폭탄, 건보료정산 폭탄의 시정을 통한 조세정의 실현, 또 부자감세 처리 등을 통한 법인세 정상화 문제, 1089조원에 이르는 가계부채 해결 문제 등을 내용으로 담은 공약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선거 결과 전망에 대해서는 “상당히 어려운 선거이긴 하지만 네 군데 중 한 군데도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한다면 경우에 따라서는 충분히 승리할 수 있다고 예측하고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사실 한 달가량 남은 이 시점에서 예측하긴 어렵지만 우리가 어떤 경우에도 과반 정도는 얻어야 하고, 또 경우에 따라 네 석을 모두 얻어야 한다는 의지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