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이 ‘성완종 리스트’에 대한 수사와 관련, “검찰이 수사하면 사건의 실체적 진실은 묻히고 정치적 싸움만 남을 것”이라며 연일 ‘특검’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하 의원은 14일 오전 SBS <한수진의 SBS 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사건이 정쟁화될 소지가 충분히 있는 것 같다. 야당 인사 관련된 자료가 나와 검찰이 수사하겠다고 하면 야당에서는 ‘야당 탄압, 정치탄압’이라고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고, 야당에서는 또 총리와 현직 실장 직무를 정지시키라고 한다”면서 이같이 말하며 “바로 특검으로 가면 그런 정쟁의 소지가 완전히 사라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국회 여야 합의하에서 특검이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특검에게 맡기면 되는 것”이라며 “국회는 지금 공무원연금개혁 등 산적한 국정과제가 있는데 이런 문제에 집중해서 역할 분담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지금 여야 양 대표들이 입을 맞추듯 ‘특검은 뒤로 미루자’라고 하는데 이건 정치적 사건”이라며 “정치 사건을 지금 현재 권력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검찰이 조사하고 있는데 이걸 그대로 방치하면서 또 권력을 비판한다는 것 자체가 모순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검찰이 수사를 잘 하겠지만 그런 인식은 일부 검찰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의 인식이지, 대다수 국민들은 인사권자가 대통령이기 때문에 국민들 눈높이에서는 그렇게 생각 안 한다”며 “이 문제는 단순히 사법적 문제 뿐 아니라 우리나라 정치 문화의 선진화, 국민들이 정치를 바라보는 신뢰의 문제가 같이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어차피 지금 수사는 진행되고 있으니까 일단 수사는 할 수밖에 없지만 빨리 특검을 만들면 지금 수사하는 걸 인수인계 하면 된다”며 “만약 여야가 합의할 수만 있으면 한 달안에 특검은 모두 끝날 수 있고 현재 특검법이 있기 때문에 특검 추천만 하면 된다. 대통령이 임명만 하면 끝나기 때문에 빠르면 1~2주 안으로 끝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여야 모두 수사선상에 올려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최근 김무성 대표가 한 발언이 약간 표현에 오해의 소지는 있다고 보이는데 ‘수사 범위를 한정해서는 안 된다’는 말씀을 하시고 싶었던 것”이라며 “만약 정황이 있으면 야당도 (수사를)해야 한다는 것이고, 야당 탄압이라는 명분을 줄 수 있다고 야당을 빼버리면 안 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더더욱 현 정권 하에 있는 검찰에 맡기게 되면 이것이 정치적 탄압의 소지를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특검으로 가야 한다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너희 초ㆍ재선의 입장에서는 이번 사건이 정치 선진화의 계기가 돼야 하고 투명하고 사건의 실체적 진실이 밝혀져야 된다는 것”이라며 향후 계속 특검을 요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저희들 생각은 이것이 마지막 남은 정경유착의 뿌리이고, 이 뿌리를 발본색원하게 되면 우리 정치가 완전히 새로운 정치로 다시 태어날 수 있다는 인식이 강하게 있다”며 “저희들이 한 치의 의혹도 없이 투명하게 하자는 의미에서 계속 특검을 주장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 의원은 14일 오전 SBS <한수진의 SBS 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사건이 정쟁화될 소지가 충분히 있는 것 같다. 야당 인사 관련된 자료가 나와 검찰이 수사하겠다고 하면 야당에서는 ‘야당 탄압, 정치탄압’이라고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고, 야당에서는 또 총리와 현직 실장 직무를 정지시키라고 한다”면서 이같이 말하며 “바로 특검으로 가면 그런 정쟁의 소지가 완전히 사라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국회 여야 합의하에서 특검이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특검에게 맡기면 되는 것”이라며 “국회는 지금 공무원연금개혁 등 산적한 국정과제가 있는데 이런 문제에 집중해서 역할 분담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지금 여야 양 대표들이 입을 맞추듯 ‘특검은 뒤로 미루자’라고 하는데 이건 정치적 사건”이라며 “정치 사건을 지금 현재 권력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검찰이 조사하고 있는데 이걸 그대로 방치하면서 또 권력을 비판한다는 것 자체가 모순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검찰이 수사를 잘 하겠지만 그런 인식은 일부 검찰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의 인식이지, 대다수 국민들은 인사권자가 대통령이기 때문에 국민들 눈높이에서는 그렇게 생각 안 한다”며 “이 문제는 단순히 사법적 문제 뿐 아니라 우리나라 정치 문화의 선진화, 국민들이 정치를 바라보는 신뢰의 문제가 같이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어차피 지금 수사는 진행되고 있으니까 일단 수사는 할 수밖에 없지만 빨리 특검을 만들면 지금 수사하는 걸 인수인계 하면 된다”며 “만약 여야가 합의할 수만 있으면 한 달안에 특검은 모두 끝날 수 있고 현재 특검법이 있기 때문에 특검 추천만 하면 된다. 대통령이 임명만 하면 끝나기 때문에 빠르면 1~2주 안으로 끝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여야 모두 수사선상에 올려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최근 김무성 대표가 한 발언이 약간 표현에 오해의 소지는 있다고 보이는데 ‘수사 범위를 한정해서는 안 된다’는 말씀을 하시고 싶었던 것”이라며 “만약 정황이 있으면 야당도 (수사를)해야 한다는 것이고, 야당 탄압이라는 명분을 줄 수 있다고 야당을 빼버리면 안 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더더욱 현 정권 하에 있는 검찰에 맡기게 되면 이것이 정치적 탄압의 소지를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특검으로 가야 한다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너희 초ㆍ재선의 입장에서는 이번 사건이 정치 선진화의 계기가 돼야 하고 투명하고 사건의 실체적 진실이 밝혀져야 된다는 것”이라며 향후 계속 특검을 요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저희들 생각은 이것이 마지막 남은 정경유착의 뿌리이고, 이 뿌리를 발본색원하게 되면 우리 정치가 완전히 새로운 정치로 다시 태어날 수 있다는 인식이 강하게 있다”며 “저희들이 한 치의 의혹도 없이 투명하게 하자는 의미에서 계속 특검을 주장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