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 고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특별사면 문제를 두고 여야가 연일 진실공방을 벌이고 있다.
새누리당은 참여정부 당시 청와대 주도로 성 전 회장의 특별사면이 이뤄졌다는 주장인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명박 대통령 당선 이후 인수위측의 요청으로 이뤄졌다는 입장이다.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은 24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성 전 의원을 사면할 때 문재인 대표가 민정수석이었고 두 번째 사면할 때는 청와대 비서실장이었는데 그럼 누구보다도 사면의 내용과 사면의 주체가 누군지 잘 알고 계심에도 불구하고 계속 알고 있다는 얘기를 안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 사면의 주체는 노무현(정부) 청와대였는데 당시 비서실장이 문재인 대표였으면 본인이 본인 입으로 누구로부터 요청을 받았다는 것을 명확하게 말씀을 하셔야 하는 것”이라며 “남 얘기하듯이 ‘이상득 전 의원에게 가서 물어봐라, 이명박측에 가서 물어봐라’라고 하는데 물어보라고 하기 전에 그쪽에 누가 어떠한 경위로 어떻게 해달라고 했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면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자기들이 사면 주체로 사면 요청을 받았으니까 평생을 기억할 것 아닌가”라며 “MB측 누가, 누굴 통해 어떤 경위로 어떻게 해 달라고 했는지 그걸 밝히면 되는데 상대방에게 물어보라고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같은 당 정두언 의원이 ‘대통령 사면은 여야 정치권이 협의해서 대상자를 선정한다’고 말한 부분에 대해서는 “사실관계는 모르지만 이렇게 판단된다고 해서 추측을 말씀하신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제가 이명박정부에서 사면 업무를 담당했던 사람인데 사면할 때 협의하지 않고 야당으로부터 사면 요청자 명단을 받아 그 중 누구를 해줄 것이냐는 사면의 주체인 청와대에서 결정할 뿐”이라고 밝혔다.
그는 “야당도 요청한 많은 명단 중 최종적으로 누가 사면이 되는지 발표한 후에만 알 수 있는 상황”이라며 “당시 2007년 노무현 정부 마지막 사면 때 정치인 24명을 했는데 그중 당시 야당이었는 한나라당 사람들은 3명이었고 구색맞추기로 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이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민병두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정확한 건 만약 이 문제를 검찰이 조사하게 되면 이명박 대통령 주변에서 부메랑을 맞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 의원은 “새누리당이 긴급히 초점을 돌리기 위해 여러 가지 논리를 대고 있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당시 상황과 관련, “국회는 예산심의를 12월2일까지 헌법에 정한대로 하게 돼 있는데 이명박 (당시 대통령)후보가 국회 예산심의를 중단하고 다음 대통령 당선자가 예산을 새로 짤 수 있도록 해달라고 했다. 사상 초유의 일”이라며 “이미 이명박 후보측에서는 이미 당선자인 것처럼 행세를 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선거가 끝나고 12월27일 이명박 당선자측에서 몇조 예산을 새로 집어넣어 예산을 편성한 걸로 알고 있는데 당시 사회적 분위기가 그랬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 사건의 본질은 불법대선자금인데 왜 이렇게 곁가지가 중심이 됐는지 모르겠다”며 “지금 돈이 오고 갔다는 증거가 있는가. 또 그것이 있다고 한다면 우리 입장에서는 이명박 당선자 측 주변에서 했었다고 보고 있는 것인데 이 문제가 지금 돈 얘기가 있는 것도 아니고 증거가 있는 것도 아니지 않은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 현재는 사면권에 관한 걸 얘기하는 것이지, 사면권의 행사 과정에서 불법적인 돈이 오고 갔냐 이 문제를 얘기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사면권은 크게 보면 당시 대통령의 고유권한이고 당시 정치권의 요청을 반영해서 한 것이라는 문제인데 이 문제가 왜 이렇게 불법정치자금이 오고 간 것에 비해 더 큰 문제인지, 왜 이 문제를 중점적으로 논의를 해야 한다는 것인지 이해가 안 간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참여정부 당시 청와대 주도로 성 전 회장의 특별사면이 이뤄졌다는 주장인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명박 대통령 당선 이후 인수위측의 요청으로 이뤄졌다는 입장이다.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은 24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성 전 의원을 사면할 때 문재인 대표가 민정수석이었고 두 번째 사면할 때는 청와대 비서실장이었는데 그럼 누구보다도 사면의 내용과 사면의 주체가 누군지 잘 알고 계심에도 불구하고 계속 알고 있다는 얘기를 안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 사면의 주체는 노무현(정부) 청와대였는데 당시 비서실장이 문재인 대표였으면 본인이 본인 입으로 누구로부터 요청을 받았다는 것을 명확하게 말씀을 하셔야 하는 것”이라며 “남 얘기하듯이 ‘이상득 전 의원에게 가서 물어봐라, 이명박측에 가서 물어봐라’라고 하는데 물어보라고 하기 전에 그쪽에 누가 어떠한 경위로 어떻게 해달라고 했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면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자기들이 사면 주체로 사면 요청을 받았으니까 평생을 기억할 것 아닌가”라며 “MB측 누가, 누굴 통해 어떤 경위로 어떻게 해 달라고 했는지 그걸 밝히면 되는데 상대방에게 물어보라고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같은 당 정두언 의원이 ‘대통령 사면은 여야 정치권이 협의해서 대상자를 선정한다’고 말한 부분에 대해서는 “사실관계는 모르지만 이렇게 판단된다고 해서 추측을 말씀하신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제가 이명박정부에서 사면 업무를 담당했던 사람인데 사면할 때 협의하지 않고 야당으로부터 사면 요청자 명단을 받아 그 중 누구를 해줄 것이냐는 사면의 주체인 청와대에서 결정할 뿐”이라고 밝혔다.
그는 “야당도 요청한 많은 명단 중 최종적으로 누가 사면이 되는지 발표한 후에만 알 수 있는 상황”이라며 “당시 2007년 노무현 정부 마지막 사면 때 정치인 24명을 했는데 그중 당시 야당이었는 한나라당 사람들은 3명이었고 구색맞추기로 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이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민병두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정확한 건 만약 이 문제를 검찰이 조사하게 되면 이명박 대통령 주변에서 부메랑을 맞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 의원은 “새누리당이 긴급히 초점을 돌리기 위해 여러 가지 논리를 대고 있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당시 상황과 관련, “국회는 예산심의를 12월2일까지 헌법에 정한대로 하게 돼 있는데 이명박 (당시 대통령)후보가 국회 예산심의를 중단하고 다음 대통령 당선자가 예산을 새로 짤 수 있도록 해달라고 했다. 사상 초유의 일”이라며 “이미 이명박 후보측에서는 이미 당선자인 것처럼 행세를 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선거가 끝나고 12월27일 이명박 당선자측에서 몇조 예산을 새로 집어넣어 예산을 편성한 걸로 알고 있는데 당시 사회적 분위기가 그랬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 사건의 본질은 불법대선자금인데 왜 이렇게 곁가지가 중심이 됐는지 모르겠다”며 “지금 돈이 오고 갔다는 증거가 있는가. 또 그것이 있다고 한다면 우리 입장에서는 이명박 당선자 측 주변에서 했었다고 보고 있는 것인데 이 문제가 지금 돈 얘기가 있는 것도 아니고 증거가 있는 것도 아니지 않은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 현재는 사면권에 관한 걸 얘기하는 것이지, 사면권의 행사 과정에서 불법적인 돈이 오고 갔냐 이 문제를 얘기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사면권은 크게 보면 당시 대통령의 고유권한이고 당시 정치권의 요청을 반영해서 한 것이라는 문제인데 이 문제가 왜 이렇게 불법정치자금이 오고 간 것에 비해 더 큰 문제인지, 왜 이 문제를 중점적으로 논의를 해야 한다는 것인지 이해가 안 간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