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방법은 아주 수동적, 완전 격리해야 할 것”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중동호흡기 증후군 메르스의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이 대책방안 모색에 나섰다.
국회는 지난 27일 보건복지부 장관을 대상으로 대책을 따져 물었고, 관련 법안도 발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명연 의원은 28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확진 환자가 발생되지마자 해당 환자의 거주 장소, 이 사람의 이동경로 등을 역추적해서 관련된 사람들 모두 조사하는 적극적인 예방책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메르스 확산에 대한 감염당국의 대응에 대해 “현재의 방법은 아주 수동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초기 1차 감염 당시 감염자를 잘 판단해서 완전 격리해서 했으면 이게 2차 감염이 안 되는데 그것을 방심하고 몰랐기 때문에 2차 감염자가 추가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2차 감염자 중 한명이 증세를 느껴 격리시설로 보내달라고 했지만 감염당국이 거부했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 바이러스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었다면 거꾸로 생각해서 내가 간호하겠다고 하더라도 ‘안 된다. 이 분은 격리 중이라 위험하다’라는 식으로 대응했어야 하는 게 맞는 것”이라며 “이것이 사실이면 너무 충격적인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관련 법안을 제출한 것과 관련해서는 “신고의 대상자인 책임자가 신고를 하게 돼 있는데 신고주체가 명확하지 않고, 집단거주에 대한 정의가 뚜렷하게 나와 있지 않다”며 “이것을 국가가 법으로 어느 시설, 좀 더 세분하게 정확하게 명시를 해주고 그 시설의 대표자가 반드시 신고를 하게끔 의무화하는 내용으로 신고를 좀 높이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중동호흡기 증후군 메르스의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이 대책방안 모색에 나섰다.
국회는 지난 27일 보건복지부 장관을 대상으로 대책을 따져 물었고, 관련 법안도 발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명연 의원은 28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확진 환자가 발생되지마자 해당 환자의 거주 장소, 이 사람의 이동경로 등을 역추적해서 관련된 사람들 모두 조사하는 적극적인 예방책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메르스 확산에 대한 감염당국의 대응에 대해 “현재의 방법은 아주 수동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초기 1차 감염 당시 감염자를 잘 판단해서 완전 격리해서 했으면 이게 2차 감염이 안 되는데 그것을 방심하고 몰랐기 때문에 2차 감염자가 추가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2차 감염자 중 한명이 증세를 느껴 격리시설로 보내달라고 했지만 감염당국이 거부했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 바이러스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었다면 거꾸로 생각해서 내가 간호하겠다고 하더라도 ‘안 된다. 이 분은 격리 중이라 위험하다’라는 식으로 대응했어야 하는 게 맞는 것”이라며 “이것이 사실이면 너무 충격적인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관련 법안을 제출한 것과 관련해서는 “신고의 대상자인 책임자가 신고를 하게 돼 있는데 신고주체가 명확하지 않고, 집단거주에 대한 정의가 뚜렷하게 나와 있지 않다”며 “이것을 국가가 법으로 어느 시설, 좀 더 세분하게 정확하게 명시를 해주고 그 시설의 대표자가 반드시 신고를 하게끔 의무화하는 내용으로 신고를 좀 높이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