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 산업시설 세계유산 등재, 한일관계 좋은 재료”

    정당/국회 / 전용혁 기자 / 2015-07-06 13:28:31
    • 카카오톡 보내기
    하종문 교수, “8월 광복절, 아베 담화 내용이 중요할 것”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일본 메이지시대 산업 시설이 조선인들의 ‘강제노역’ 사실이 인정된 가운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향후 한일관계 개선 가능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종문 한신대 교수는 6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이 문제를 가지고 꽤 오랫동안 한일 양국이 외교적으로 대립하고 있었는데 대화를 통해 풀었다는 것 자체가 향후 한일관계에서는 좋은 재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그러면서 이번 세계문화유산 등재와 관련, “한국 정부에서는 애초에 7개의 시설에서 강제노역이 이뤄졌으니 이 부분은 등록이 되면 안 된다는 게 목표였는데 애초부터 실현 불가능한 내용이었다”며 “‘forced labor(강제노동)’이라는 단어가 빠졌는데, ‘forced labor’은 영어 그 자체로도 일종에 재판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대인의 노역을 포함해 법적 의미가 굉장히 큰데 이 부분은 결국 삽입되지 못했다. 그런 한계는 분명히 지적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일본측 반응에 대해서는 “일본은 일단 자축하고 굉장히 축하하는 분위기가 전체에 번지고 있는 것 같다”며 “앞으로 이런 등록을 계기로 역사를 확실히 배우고 미래를 향해 어떻게 나갈 것인지, 교류를 깊게 하고 싶다는 내용들도 있다. 지금까지의 우리 정부가 원하는 국민적 감정이 원하는 부분을 다 채우지 못했지만 향후 우리의 노력에 의해, 그리고 일본측의 노력을 끌어냄으로써 한일관계에 새로운 전기가 될 수 있을 가능성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우선 7월 초까지 유네스코 세계유산등재라고 하는 고비는 넘어갔지만 8월 광복절이 있고, 가장 문제가 되는 일본의 패전 70주년에 해당하는 아베담화가 있다”며 “이 내용이 어떻게 될 것인가에 따라 9월 이후 어떤 결과를 낳게 될 것인지 아마 판가름이 날 것 같다”고 전망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