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절’은 한국전 참전용사들에게 감사하다는 뜻 우리 고유의 방식으로 표시”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새누리당 장윤석 의원이 방미 중인 김무성 대표를 둘러싼 ‘과공비례(過恭非禮ㆍ공손함이 지나치면 예의가 아니다)’ 논란에 대해 “너무 국내 정치적 시각으로만 보지 않았으면 한다”고 일축했다.
장 의원은 30일 오전 CBS <박재홍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김 대표가 방미일정 중 선보인 ‘큰절’에 대한 논란과 관련, “한국전 참전용사들에게 감사하다는 뜻을 우리나라 고유의 예절 방식으로 표시한 것이다. 국내에서 ‘과공이 아니냐’하는 보도가 있었다고 하는데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미국에 있는 고위 관료에게 그런 일이 있었다고 하면 그런 비판도 가능하지만 6.25 때 우리나라를 구해 주신 참전용사들에게, 또 한국전의 영웅, 낙동강의 영웅인 워커 장군 묘소에서 우리 방식으로 우리 예절 관습으로 감사의 뜻을 표시한 것이기 때문에 그분들도 감동을 받았다는 얘기를 오히려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보다 미국’이라는 김 대표의 발언에 대한 논란과 관련해서도 “일부 국내 언론에서 오해가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과 미국을 양자택일할 문제가 아니다. 오히려 우리나라는 주위에 있는 미국, 중국, 일본과 같은 강대국과 사실은 함께 살아야 하는 지정학적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런 발언의 진위는 중국은 중요하지만 중국의 중요성도 한미동맹의 굳건한 기초 위에서, 또 중국과의 무역, 중국과의 경제협력도 중요한 것이라는 점에서 미국을 방문한 김무성 대표가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이라며 “중국은 중요하지 않고 미국은 중요하다는 뜻은 전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측의 항의가 있지 않겠는가’라는 질문에 “중국이 이것 가지고 항의할 일은 아니라고 보고, 우리 수출도 여러 나라에 하고 있지만 중국과의 경제교역도 30%에 달한다고 알고 있는데 이런 나라와의 경제협력이 어떻게 중요하지 않겠는가”라며 “그러나 대한민국의 경우 6.25에서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참전국의 도움으로 우리나라가 굳건하게 지켜질 수 있었고 그때 한미동맹이 맺어진 것이며 오늘날 대한민국이 세계 경제 강국으로, 또 선진국 수준으로 진입하는 데에는 근본적으로 한미동맹이 큰 힘이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무성 대표의 발언의 진위는 중국, 일본 또 우리 인접한 국가와의 교류협력도 한미동맹의 굳건한 기초 위에서 다 중요하다는 말씀으로 이해하고 그렇게 이해해주셨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새누리당 장윤석 의원이 방미 중인 김무성 대표를 둘러싼 ‘과공비례(過恭非禮ㆍ공손함이 지나치면 예의가 아니다)’ 논란에 대해 “너무 국내 정치적 시각으로만 보지 않았으면 한다”고 일축했다.
장 의원은 30일 오전 CBS <박재홍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김 대표가 방미일정 중 선보인 ‘큰절’에 대한 논란과 관련, “한국전 참전용사들에게 감사하다는 뜻을 우리나라 고유의 예절 방식으로 표시한 것이다. 국내에서 ‘과공이 아니냐’하는 보도가 있었다고 하는데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미국에 있는 고위 관료에게 그런 일이 있었다고 하면 그런 비판도 가능하지만 6.25 때 우리나라를 구해 주신 참전용사들에게, 또 한국전의 영웅, 낙동강의 영웅인 워커 장군 묘소에서 우리 방식으로 우리 예절 관습으로 감사의 뜻을 표시한 것이기 때문에 그분들도 감동을 받았다는 얘기를 오히려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보다 미국’이라는 김 대표의 발언에 대한 논란과 관련해서도 “일부 국내 언론에서 오해가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과 미국을 양자택일할 문제가 아니다. 오히려 우리나라는 주위에 있는 미국, 중국, 일본과 같은 강대국과 사실은 함께 살아야 하는 지정학적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런 발언의 진위는 중국은 중요하지만 중국의 중요성도 한미동맹의 굳건한 기초 위에서, 또 중국과의 무역, 중국과의 경제협력도 중요한 것이라는 점에서 미국을 방문한 김무성 대표가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이라며 “중국은 중요하지 않고 미국은 중요하다는 뜻은 전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측의 항의가 있지 않겠는가’라는 질문에 “중국이 이것 가지고 항의할 일은 아니라고 보고, 우리 수출도 여러 나라에 하고 있지만 중국과의 경제교역도 30%에 달한다고 알고 있는데 이런 나라와의 경제협력이 어떻게 중요하지 않겠는가”라며 “그러나 대한민국의 경우 6.25에서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참전국의 도움으로 우리나라가 굳건하게 지켜질 수 있었고 그때 한미동맹이 맺어진 것이며 오늘날 대한민국이 세계 경제 강국으로, 또 선진국 수준으로 진입하는 데에는 근본적으로 한미동맹이 큰 힘이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무성 대표의 발언의 진위는 중국, 일본 또 우리 인접한 국가와의 교류협력도 한미동맹의 굳건한 기초 위에서 다 중요하다는 말씀으로 이해하고 그렇게 이해해주셨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