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관석, “국정교과서 전환 대단히 정략적인 태도”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최근 방미 중 역사교과서의 국정교과서 추진 입장을 밝힌 이후 정치권내에서 이를 둘러싼 논란이 재점화 되고 있는 상황이다.
새누리당 강은희 의원은 5일 오전 CBS <박재홍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역사를 보는 어린 학생들의 통일된 역사 인식이 필요하다”며 국정교과서 추진 필요성을 강조했다.
강 의원은 “검정 시스템에 의해 집필기준이 강화되면 되지 않냐는 얘기도 마찬가지인데 집필 기준을 강화하더라도 현실에서 노출될 수 있는 성향을 완전히 배제하기가 어렵다”며 “현재까지도 이런 교과서들을 모두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학교현장에서 배우고 있다는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역사 교육이 획일화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일부 우려의 시각에 대해서는 “지금 고등학교 교과서는 8종인데 얼핏 보면 다양하게 배울 수 있다고 느낄 수 있지만 실제로 배우는 학생들은 1종의 교과서만 배울 수밖에 없다. 8개를 모두 채택해 8개의 교과서에서 균형적으로 얘기하는 모두의 공통점을 배우는 식으로 지금 역사 교육이 이뤄지고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고등학생들이 배우는 역사 교과서는 특정 1개의 교과서가 한 교사에 의해 선택되면 그게 편향성이 있든 간에 다양한 시각을 배우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정 A교과서로 역사를 배우는 학생과 B역사교과서로 배우는 학생들은 서로 상당히 다른 역사 인식을 가질 수가 있다는 것”이라며 “역사를 보는 어린 학생들의 통일된 역사 인식이 필요하다”며 “또 어느 정도 분량을 해야 하는지 등의 균형 있는 역사에 대한 시각이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교과서를 만드는 시스템이나 체계를 보면 굉장히 소수에 의해 교과서가 만들어지고 있는데 소수에 의해 교과서가 만들어지게 되면 한두명의 사고에 의해 교과서나 사람이 정해진다”며 “교과서가 모두 8종이 없어지고 1종이 만들어진다면 1종의 교과서에 모든 시각이 집중될 것이고 그런 상황에서 특정 정권의 정파적 이념을 담을 수 있겠는가”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윤관석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1970년대 유신시대 유물이라고밖에 볼 수 없는 국정교과서 전환을 들고 나온 것은 대단히 정략적인 태도”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그는 그러면서 국정교과서 추진에 대해 “역사를 있는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이념 논쟁의 장으로 몰고 가려는 백해무익한 발언이라는 생각”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김무성 대표의)발언 자체가 역사 문제를 이념적인 논쟁의 장으로 몰고 가서 정략적인 이득을 취하려는 태도로 밖에 볼 수 없다”며 “역사문제에 대해 현재 제도가 보완해야 할 점이 있다면 전문가들이 논의해서 보완하면 되는 것이고, 역사의 사실 관계 확인과 해석의 문제는 역사가와 학자들의 몫”이라고 주장했다.
또 그는 “국정교과서가 말 그대로 국가가 정하는 단일교과서를 얘기하는 것인데, 우리나라가 검인정 체계를 하다가 지난 1974년도 유신시절에 주체적인 민족사관확립을 이유로 국정체제로 전환한 바가 있는데, 결국 일방적으로 독재에 대해 미화하려는 사실관계가 기술됐던 적이 있고, 전세계적으로도 선진국에서 국정교과서를 채택한 나라는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정교과서로 학생들이 다양한 관점을 배울 수 있다’는 강 의원의 주장에 대해서는 “상식적으로 앞뒤가 안 맞는 모순”이라며 “검인정 체계라는 것이 물론 완벽한 것은 아니지만 민주적으로 다양성의 원리가 보장되는 교과서 제도이기 때문에 집필자들이 자의적으로 교과서를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집필기준을 갖고 집필을 하게 되고, 국가가 제시하는 교육과정을 충족시키는 판단에서 교과서를 채택해 나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집필기간이 짧다든가 집필진의 숫자가 부족하다는 지적들은 교육부에서도 받아들여서 집필기간을 늘리고 집필자를 좀 더 보강하고, 또 심사단계를 좀 더 세분화하는 과정으로 보완하려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검인정 체계에 약간의 문제가 있다고 해서 바로 국정교과서로 전환하는 것은 근거가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최근 방미 중 역사교과서의 국정교과서 추진 입장을 밝힌 이후 정치권내에서 이를 둘러싼 논란이 재점화 되고 있는 상황이다.
새누리당 강은희 의원은 5일 오전 CBS <박재홍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역사를 보는 어린 학생들의 통일된 역사 인식이 필요하다”며 국정교과서 추진 필요성을 강조했다.
강 의원은 “검정 시스템에 의해 집필기준이 강화되면 되지 않냐는 얘기도 마찬가지인데 집필 기준을 강화하더라도 현실에서 노출될 수 있는 성향을 완전히 배제하기가 어렵다”며 “현재까지도 이런 교과서들을 모두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학교현장에서 배우고 있다는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역사 교육이 획일화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일부 우려의 시각에 대해서는 “지금 고등학교 교과서는 8종인데 얼핏 보면 다양하게 배울 수 있다고 느낄 수 있지만 실제로 배우는 학생들은 1종의 교과서만 배울 수밖에 없다. 8개를 모두 채택해 8개의 교과서에서 균형적으로 얘기하는 모두의 공통점을 배우는 식으로 지금 역사 교육이 이뤄지고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고등학생들이 배우는 역사 교과서는 특정 1개의 교과서가 한 교사에 의해 선택되면 그게 편향성이 있든 간에 다양한 시각을 배우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정 A교과서로 역사를 배우는 학생과 B역사교과서로 배우는 학생들은 서로 상당히 다른 역사 인식을 가질 수가 있다는 것”이라며 “역사를 보는 어린 학생들의 통일된 역사 인식이 필요하다”며 “또 어느 정도 분량을 해야 하는지 등의 균형 있는 역사에 대한 시각이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교과서를 만드는 시스템이나 체계를 보면 굉장히 소수에 의해 교과서가 만들어지고 있는데 소수에 의해 교과서가 만들어지게 되면 한두명의 사고에 의해 교과서나 사람이 정해진다”며 “교과서가 모두 8종이 없어지고 1종이 만들어진다면 1종의 교과서에 모든 시각이 집중될 것이고 그런 상황에서 특정 정권의 정파적 이념을 담을 수 있겠는가”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윤관석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1970년대 유신시대 유물이라고밖에 볼 수 없는 국정교과서 전환을 들고 나온 것은 대단히 정략적인 태도”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그는 그러면서 국정교과서 추진에 대해 “역사를 있는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이념 논쟁의 장으로 몰고 가려는 백해무익한 발언이라는 생각”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김무성 대표의)발언 자체가 역사 문제를 이념적인 논쟁의 장으로 몰고 가서 정략적인 이득을 취하려는 태도로 밖에 볼 수 없다”며 “역사문제에 대해 현재 제도가 보완해야 할 점이 있다면 전문가들이 논의해서 보완하면 되는 것이고, 역사의 사실 관계 확인과 해석의 문제는 역사가와 학자들의 몫”이라고 주장했다.
또 그는 “국정교과서가 말 그대로 국가가 정하는 단일교과서를 얘기하는 것인데, 우리나라가 검인정 체계를 하다가 지난 1974년도 유신시절에 주체적인 민족사관확립을 이유로 국정체제로 전환한 바가 있는데, 결국 일방적으로 독재에 대해 미화하려는 사실관계가 기술됐던 적이 있고, 전세계적으로도 선진국에서 국정교과서를 채택한 나라는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정교과서로 학생들이 다양한 관점을 배울 수 있다’는 강 의원의 주장에 대해서는 “상식적으로 앞뒤가 안 맞는 모순”이라며 “검인정 체계라는 것이 물론 완벽한 것은 아니지만 민주적으로 다양성의 원리가 보장되는 교과서 제도이기 때문에 집필자들이 자의적으로 교과서를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집필기준을 갖고 집필을 하게 되고, 국가가 제시하는 교육과정을 충족시키는 판단에서 교과서를 채택해 나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집필기간이 짧다든가 집필진의 숫자가 부족하다는 지적들은 교육부에서도 받아들여서 집필기간을 늘리고 집필자를 좀 더 보강하고, 또 심사단계를 좀 더 세분화하는 과정으로 보완하려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검인정 체계에 약간의 문제가 있다고 해서 바로 국정교과서로 전환하는 것은 근거가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