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국내 성형광고 및 의료광고 심의 건수가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유승희 의원(서울 성북갑)은 10일 오전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대한의사협회 및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성형광고 심의건수가 2011년 618건에서 2013년 4389건으로 7.1배 증가했고, 의료광고 전체 심의건수도 2011년 5000건에서 2014년 1만5553건으로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유 의원은 “의료광고 심의가 갑자기 늘어나게 된 것은 최근 의사 신분으로 방송매체에 출연해 간접ㆍ과장ㆍ허위 광고를 하는 의사나 의학과 예능프로그램을 넘나들며 대중에게 얼굴을 알려 연예인 못지 않은 인지도와 인기를 누리면서 일명 ‘쇼닥터’, ‘닥터테이너’가 생기면서부터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국내 미용성형산업이 성장하고 성형수술이 상품화되면서 이로 인한 부작용과 의료사고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고, 많은 미용성형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등장하면서 방송 협찬이라는 명목으로 의료인과 의료기관에 대한 광고가 버젓이 방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건강, 의료정보 프로그램 심의현황’을 보면 2012년부터 2015년 6월까지 단 99건에 불과했으며, 이 수치도 2015년 들어서서 TV방송을 통한 의료인과 의료기관의 방송 출연이 잦아지면서 늘어난 것이며, 2014년까지는 단 46건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의료광고에 대한 심의 의결이 대부분 권고 수준에 그치고 있어 일부 프로그램 제작사가 방송의 공공ㆍ공익성보다 상업성을 앞세우면서 국민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며 “방심위는 국민건강의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의료광고에 대한 심의를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유승희 의원(서울 성북갑)은 10일 오전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대한의사협회 및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성형광고 심의건수가 2011년 618건에서 2013년 4389건으로 7.1배 증가했고, 의료광고 전체 심의건수도 2011년 5000건에서 2014년 1만5553건으로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유 의원은 “의료광고 심의가 갑자기 늘어나게 된 것은 최근 의사 신분으로 방송매체에 출연해 간접ㆍ과장ㆍ허위 광고를 하는 의사나 의학과 예능프로그램을 넘나들며 대중에게 얼굴을 알려 연예인 못지 않은 인지도와 인기를 누리면서 일명 ‘쇼닥터’, ‘닥터테이너’가 생기면서부터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국내 미용성형산업이 성장하고 성형수술이 상품화되면서 이로 인한 부작용과 의료사고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고, 많은 미용성형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등장하면서 방송 협찬이라는 명목으로 의료인과 의료기관에 대한 광고가 버젓이 방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건강, 의료정보 프로그램 심의현황’을 보면 2012년부터 2015년 6월까지 단 99건에 불과했으며, 이 수치도 2015년 들어서서 TV방송을 통한 의료인과 의료기관의 방송 출연이 잦아지면서 늘어난 것이며, 2014년까지는 단 46건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의료광고에 대한 심의 의결이 대부분 권고 수준에 그치고 있어 일부 프로그램 제작사가 방송의 공공ㆍ공익성보다 상업성을 앞세우면서 국민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며 “방심위는 국민건강의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의료광고에 대한 심의를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